•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S DIVERSITY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3초

울릉도 미역고사리(Polypodium vulgare L.) 자생지의 입지환경특성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leung-do)

  • 천경식;한준수;김경아;옥길환;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울릉도 미역고사리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미역고사리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410~748m 범위와 경사 $12{\sim}80^{\circ}$의 암석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분석결과 4개 지역의 1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66분류군이었다. 자생지 상층수목 중 교목층의 중요치는 고로쇠나무(49.52%)가 아교목층은 당마가목(28.99%)이 가장 높았으며, 관목층은 바위수국(51.99%), 섬쥐똥나무(8.82%), 너도밤나무(7.25%)가 높은 값을 보였다. 초본층은 미역고사리가 23.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큰두루미꽃(9.65%), 파리풀(9.23%), 관중(8.40%), 산꼬리사초(6.75%), 섬바디(5.42%)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종류들이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1.18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11와 0.84로 확인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토성은 사양토로 나타났으며, 포장용수량은 30.42%, 유기물함량은 17.95%, pH는 4.70으로 측정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 및 토양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종다양도와 종풍부도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다양도와 우점도 그리고 미역고사리의 피도와 종풍부도는 부의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한국의 서해안 영흥도 조간대의 거머리말(Zostera marina) 서식지와 비서식지에서 퇴적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 (Distribution of Sedimentation Environments and Benthic Macro-fauna Communities in Habitats and Non-habitats of Zostera marina on the Yeongheung-do Tidal Flats, West Coast of Korea)

  • 배종일;신현출;황성일;이정호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07-116
    • /
    • 2018
  • 이 연구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의 서식지와 비서식지에서 퇴적환경과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영흥도에 서식하는 거머리말은 1월과 4월 사이에 성장을 시작하며, 7월에 급성장을 보이고 11월부터 입과 마디 탈락이 시작되고 나서 겨울에는 성장을 멈추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퇴적환경은 서식지에서 Sand와 같은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고, Sand와 Mud가 혼합된 퇴적 양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비서식지에서는 Slit와 같이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하였으며, 계절적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그 결과로 거머리말의 서식지가 비서식지와 상이한 입도조성 및 유기물함량을 보이며, 이에 따라 대형저서동물의 종조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형저서동물군집은 서식지에서 비서식지에 비하여 높은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종조성에 기초한 생태학적제지수의 평가결과, 군집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들이 서식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종풍부도지수(J)의 경우는 2배 정도의 차이를 보일 정도로 큰 차이를 나타내며, 군집의 안정성에서 거머리말 서식지가 더욱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Similarity 50에서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2개의 정점군은 거머리말의 서식지와 비서식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도심내 생태수목원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A Study on Creation Method of Ecological Arboretum as Wildlife Habitat in Urban Area -A case study of Daejon Metropolitan City-)

  • 김귀곤;임봉구;진혜영
    • KIEAE Journal
    • /
    • 제1권2호
    • /
    • pp.55-62
    • /
    • 2001
  • This is a study on how to create an ecological arboretum that would promote biodiversity by creating wild animal habitats in terms of using large-scale remnants in urban areas and that would serve as a field for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its locational feature of being an urban area and its accessi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this is the first arboretum to be created in urban area. However, it has a couple of limitations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since an arboretum creation plan is a mid/long-term plan,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biodiversity promotion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abitats and creation techniques. Second, as the space was created by considering ecological features and utilizing natural prototype, the diversity of forest trees in here is lower than that of a traditional arboretum.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Rare Mucoralean Species with Specific Habitats

  • Lee, Seo Hee;Nguyen, Thuong T.T.;Lee, Hyang Burm
    • Mycobiology
    • /
    • 제46권3호
    • /
    • pp.205-214
    • /
    • 2018
  • The order Mucorales, the largest in number of species within the Mucoromycotina, comprises typically fast-growing saprotrophic fungi. During a study of the fungal diversity of undiscovered taxa in Korea, two novel mucoralean strains, CNUFC-GWD3-9 and CNUFC-EGF1-4, were isolated from specific habitats including freshwater and fecal sampl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quence analys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large subunit ribosomal DNA, the CNUFC-GWD3-9 and CNUFC-EGF1-4 isolates were confirmed to be Gilbertella persicaria and Pilobolus crystallinus, respectively. It is ecologically, pathologically, and mycologically significant to find such rare zygomycetous fungi in such specific habitats.

어류서식처 평가 및 목표종 도입을 통한 하천복원방향 - 부안댐 상류 거석천과 청림습지를 대상으로 - (Stream Restoration Guidelines by Evaluation of Fish Habitat and Introducing of the Keystone Species - Geo-seok Stream and Cheonglim Wetland in Upper Stream of Buan-Dam -)

  • 박선아;이명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36
    • /
    • 2008
  • The essence of a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providing habitats for various creatures in terms of the stream's environmental func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problems of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by studying streams in terms of habitats for creatures and reviewing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s on existing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As a solution for the above, this research suggests a preservation method for biotope of upper stream areas focusing on the fish biotope area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value of the respective stream so that the stream can be preserved as habitats for creatur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Cheonglimli Baekcheon region which is an upper stream area of Buan-Dam located in the public park in Byunsanbando, Buangoon, Jeonlabookdo. We suggest the preservation method based on the habitat environment and keystone species of fish. The habitat environment evaluation was carried out mainly being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habita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reservoir's features and fish way and the diversity of fish. By improving the problematic elements discovered through such evaluation, it tries to improve the biotope of the stream and continuously preserve the stream. In addition, in order to restore the stream as habitats for various creatures, this research suggests to select keystone species which are suitable for the stream environment and restore the habitats based on the keystone species rather than restoring habitats for all species. Fish not only plays the role of a consumer of Epilithic algae and water beetles but also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as a food for birds or small mammalia. If such ecologically important biotope for fish is preserv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stream will be maintained more stably.

Importance of microbial diversity

  • Ahn, Tae-Seok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5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88-88
    • /
    • 1995
  • Microorganism are centIal core to biosphere sm1ainablity and biogeochemical cycles on this earth. Most of food, medical and pabamceutical new materials through biotechnology are derived from many kinds of microorganisms. Microorganisms are important resources of biotechnology. Beside these, micorbial diversity is key to explore the frontiers of knowledge about the strategies and limits of life. Through the micorotganisms, we can monitor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conditions. Moreover, the microorganismsms play a role i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gher plants and animals. And we can get a lot of ecological, evolutionary knowledges from microbial models. In spite of these importances, the microbial diversity is not properly evaluted because of their unculturablity. Only 0.001 - 3 % of total bacteria in natural habitats are cultumble and the rest are viable but uncultumble. Only 3,100 species are listed up in the Bergey's Manual. Considering the symbisis and estimated numbers of insect are more than 800,000, the symbiotic microorganisms are about 1,000,000 species. Recently, by using the genetic and molecular technics, the microbial diversity is now unveiled. In this symposium, the genetic, species and ecological diversity will be given. given.

  • PDF

New Record of Two Oligohymenophorean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from Korea

  • Jung, Jae-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4호
    • /
    • pp.280-286
    • /
    • 2021
  • During a field survey on Korean coastal marine waters, two ciliates belonging to the genera Pseudovorticella Foissner & Schiffmann, 1975 and Frontonia Ehrenberg, 1838 in the class Oligohymenophorea de Puytorac et al., 1974, were collected. Even though the two genera are very common in the aquatic ecosystems, they had been superficially studied in Korean habitats. Using the observation of living cells and specimens impregnated by protargol, silver carbonate, and silver nitrate, two newly recorded ciliate are identified as P. paramarina Sun, Ji, Warren & Song, 2009 and F. ocularis Bullington, 1939. A brief diagnosis, remark, and comprehensive micrographs are provided for each species.

Ecogeographical variations of the vegetative and floral traits of Lilium amabile Palibian

  • Nguyen, Viet Yen;Rai, Rameshwar;Kim, Jong-Hwa;Kim, Ji-Young;Na, Jong-Ku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236-245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in the vegetative and floral traits of 73 wild Lilium amabile plants from six habitats in Korea. It was observed that L. amabile is distributed nationwide at any altitude from 300 m (Mt Mangdaeam) to 1550 m (Mt Halla). The majority of the natural habitats of L. amabile were found on mountain slopes, and some were found in rugged mountain regions. The down-facing flowers of this species not only had many blotches but also dense trichomes, and the flowering time was found to be from mid-June to mid-July. ANOVA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vegetative and floral traits among the six habitats, indicating that the environment has substantial influences on the various growth parameters of L. amabile, such as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bracts, papillae, and flowers; leaf angle; and lengths of the anther, longest blotch, and nectary of the petiole. In addition, the vegetative and floral traits were found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under the direct impact of the environment. These findings will facilitate to find the appropriat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L. amabile population as future lily-breeding materials.

금강초롱꽃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식생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Hanabusaya asiatica Habitats)

  • 장수길;천경식;정지희;김진수;유기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97-506
    • /
    • 2010
  • 특산 식물인 금강초롱꽃 자생지의 환경요인과 식생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금강초롱꽃은 해발 580-1,396m에 위치하였고, 경사는 $5-80^{\circ}$ 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10개 지역 32개 방형구를 조사한 결과 금강초롱꽃의 중요치는 8.8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대사초(8.67%), 단풍취(7.10%), 실새풀(6.79%), 뱀고사리(5.33%), 노루오줌(3.11%) 등이 높게 나타나 이 종류들이 금강초롱꽃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층수목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가 우점하였으며, 관목층에서는 철쭉과 메역순나무가 높은 출현 빈도와 피도를 보였다. 종다양도는 평균 1.30,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과 0.88로 산출되었다. 토양의 토성은 사양토가 우세하였고, 포장용수량은 평균 23.95%로 확인되었으며, 유기물함량은 12.28%, pH는 5.79, 그리고 유효인산함량은 $25.48{\mu}g{\cdot}g^{-1}$으로 나타났다. 환경특성과 식생조사 및 토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관분석에서는 상층수목의 피도가 종풍부도, 종다양도, 우점도, 균등도 및 금강초롱꽃의 피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표지자를 이용한 한국꿩의 유전적 다양성 및 아종간의 유연관계 분석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Korean Phasianus colchicus karpowi and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ubspecies of Phasianus spp.)

  • 윤성일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66-75
    • /
    • 2008
  • 한국꿩 (Korean ring-necked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karpowi)과 외국 아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야생 한국꿩, 사육 한국꿩, 사육 한국꿩과 외국꿩간의 잡종꿩,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을 대상으로 ISSR 표지자 분석과 AM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야생 한국꿩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4.08%가 서식지 내 개체간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고, 5.9% ($\Phi$st=0.059)가 서식지간 차이에 기인하였다. 사육 한국꿩이 유전적으로 야생 한국꿩 보다는 외국꿩 4아종과 가깝게 나타났다. AMOVA분석과 cluster분석에서 사육 한국꿩이 야생 한국꿩은 물론 외국꿩 4아종과도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육되고 있는 한국꿩은 한국꿩과 외국 아종간의 다양한 교잡에 의해 생겨난 잡종일 가능성이 높다.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6.63%가 아종내 개체간 차이에 기인하고. 3.4% ($\Phi$st=0.034)로 아종간 차이에 기인하여 외국꿩 4아종의 아종간 유전적 차이가 야생 한국꿩의 서식지간 차이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분석에 사용된 외국꿩 4아종이 형태적으로는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지만 유전적으로는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7서식지의 야생 한국정과 외국꿩 4아종을 각각 야생 한국꿩 그룹과 외국꿩 그룹으로 분류하여 두 그룹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유전변이 중 그룹간 차이의 비율은 17% 이상(그룹 내 서식지/아종간 차이는 약 4%)으로 야생 한국꿩이 아종 관계인 외국꿩 4아종과 상당한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결과에서 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의 외국꿩 3 아종은 유전적으로 외국 아종에 가까운 사육한국꿩, 잡종꿩과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하면서 야생 한국꿩 그룹으로부터 98% 신뢰수준에서 뚜렷하게 구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