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SUITABILITY MODEL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2초

댐 하류 하천에서 하상변동 모델을 이용한 어류 물리서식처 변화 모의 (Simulation of Change in Physical Habitat of Fish Using the Mobile Bed Model in a Downstream River of Dam)

  • 김승기;최성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317-323
    • /
    • 2015
  • 본 연구는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이용하여 댐 하류 하천에서의 하상변동이 어류 물리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흐름모형은 준정류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서식처 모형은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 모형을 이용하였다.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위하여 Exner 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하상재료 입도분포의 변화를 고려하였다. 내성천 영주댐 하류에서 모의결과 침식과 장갑화가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피라미의 물리서식처가 변하게 되었다. 지형과 하상재료의 변화가 어류 물리서식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와 서식적합도 분석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and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by Stable Channel Design)

  • 이웅희;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85-293
    • /
    • 2016
  • 본 연구는 원주천을 대상으로 하천시설물의 최적 설계를 위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구간별 안정경사를 분석하였으며, 안정경사를 만족하기 위한 하천시설물의 개선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그에 따라 각 시나리오에 대한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통해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적 교란개선을 위한 최적의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적 교란개선을 위한 하천시설물의 개선 시 물리 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원주천의 하천 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사용한 서식적합도 분석은 PHABSIM 모형을 이용하였다. 예측 평가를 수행한 결과 서식적합도와 가중가용면적은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천시설물의 개선에 따른 영향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주천의 물리적 건전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천시설물의 배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물리 서식처의 변화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하천복원 기술을 통한 원주천의 어류 서식처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sh Habitat through Various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in the Wonju-cheon Stream, Korea)

  • 김종주;최종근;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3호
    • /
    • pp.145-153
    • /
    • 2019
  • 본 연구는 저수로 변화를 통한 하천 복원이 수생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주천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어종은 원주천에 서식하는 우점종인 피라미를 대상으로 하였다. 흐름 분석은 2차원 모형인 River2D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서식처 분석은 서식처 적합도 곡선을 이용하여 서식처의 양과 질을 산정하는 서식처 적합도 모형을 사용하였다. 먼저 저수로 복원을 위하여 자연 하도에 가까운 형태로 복원을 하고 저수로 폭을 확대 및 축소하여 설계하였다. 그 결과 저수로 폭의 변화를 확대하였을 때 대상 어종의 가중가용면적은 각각 약 72% 향상되었으며, 저수로 폭을 축소하였을 때는 서식처가 약 25%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률밀도함수를 고려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에 의한 피라미 생태유량 산정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rate for Zacco platypus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consider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장경호;박영기;강재일;김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3호
    • /
    • pp.207-2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확률밀도함수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사용하여 도심하천구간과 자연하천구간에서 유량점증방법론(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FIM)을 토대로 피라미 서식처의 생태유량을 모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HABSIM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식처 적합도 지수(Kang, 2010)를 기초로 확률밀도함수의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확률밀도함수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개발하여 생태유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심하천구간에서는 정규분포가 자연하천구간에서는 2변수 log-pearson 분포가 Kang (2010)의 생태유량에 가장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다. 확률밀도함수에 의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와 하천구간별로 생태유량을 모의하여 확률론적 방법을 적용한 생태유량 산정기법을 제안하였다.

Modeling potential habitats for Pergularia tomentosa using maximum entropy model and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its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arid rangelands, southeastern Iran

  • Hosseini, Seyed Hamzeh;Azarnivand, Hossein;Ayyari, Mahdi;Chahooki, Mohammad Ali Zare;Erfanzadeh, Reza;Piacente, Sonia;Kheirandish, Rez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27-239
    • /
    • 2018
  • Background: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of plants in arid regions, especially for medicinal ones, is very important. Although Pergularia tomentosa is a key species for medicinal purposes, it appears in very low density in the arid rangelands of Iran, needing an urgent ecological attention. In this study, we modeled and predicted the potential habitat of P. tomentosa using maximum entropy, an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geology, geomorphology, altitude, and soil properties) o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 tomentosa was absent in igneous formation while it appeared in conglomerate formation. In addition, among geomorphological units, the best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P. tomentosa was belonged to the conglomerate formation-small hill area (plant aerial parts = 57.63 and root length = 30.68 cm) with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silt, and $CaCO_3$ content. Conversely, the species was not found in the mountainous area with igneous formation. Moreover, plant density, length of roots, and aerial parts of the spec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sand, while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CaCO_3$, EC, potassium, and silt content. The maximum entropy was found to be a reliable method (ROC = 0.91) for predicting suitable habitats for P. tomentos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evaluating the plant's habitat suitability in arid regions, contrary to the importance of the topography, some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geomorphology and geology can play the main role in rangeland plants' habitat suitability.

HSI와 MaxEnt를 통한 나도승마 핵심서식지 발굴 연구 (Study of the Derive of Core Habitats for Kirengeshoma koreana Nakai Using HSI and MaxEnt)

  • 김선령;장래하;도재화;김민한;최승운;윤영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50-463
    • /
    • 2023
  • 본 연구는 전문가 기반형 모델(Habitat Suitability Index)의 한계로 지적되는 주관적 기준, 통계분석의 부재 등과 통계기반형 모델(MaxEnt)의 한계로 지적되는 현장검증, 전문가 의견 반영 등의 극복을 위하여 각각의 모델을 개발하여 통합하는 방식으로 핵심서식지를 도출하였다. 핵심서식지 발굴을 위해 문헌분석 및 공간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전문가 자문과 GIS 도면 구축 가능성을 고려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주요 환경변수는 식생대, 임상, 임분밀도, 연평균 강수량, 유효토심으로 선정되었다. 그 결과 현재 나도승마가 분포하고 있는 16지점 중 15지점이 핵심서식지로 나타났으며, 개발된 모델은 약 93.75%의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연구대상지의 약 27.8%가 핵심서식지로 나타남에 따라, 추후 서식변수 및 공간자료 정밀화를 통한 모델의 고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높은 등급으로 확인된 서식지라도 대상종의 서식유무 파악을 위한 현장검증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HSI와 MaxEnt의 상호보완적 활용은 생물종의 분포와 서식지 이용 특성을 통하여 적합 서식지를 예측하고, 신규 서식지 발굴 및 대체서식지 선정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생이 서식처 복원을 위한 서식처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hinemys reevesii)

  • 김수련;이지현;송재영;장민호;성현찬;조동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25
    • /
    • 2013
  • In this research, a habitat model for Chinemys reevesii is suggested based on the components and variables of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which was determined through a series of literature researches, site surveys, and behavioral analysis. After reviewing the general habitat requirements, the site surveys(9 reservoirs) from July to December 2010, and the behavioral analysis of five Chinemys reeves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al and habitat use patter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ite surveys and behavioral analysis, the ecological core area(FK 50%) was about 0.96ha on average, the influence area(FK 90%) 4.22ha, and the home range was about $37.75{\pm}17.26m$ on average. As for the habitat use pattern of Chinemys reevesii, it travels through canals, and is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land uses. Also when there is a lack of food, the home range increases, and during hibernation, Chinemys reevesii prefers to be in an area within 1~2m range of water shores of fine textured soil and aquatic plants. After analyzing the information, the HSI standard was set and its components were determined as food, sunbathing and cover, aquatic environment, and spatial relationships. And the variables and the ranges of the components was determined as aquatic plant cover(0~49.81%), sandy area($3{\sim}13m^2$) and water velocity(0~60cm/s) etc. Lastly, plans and sections of the habitat model is provided desig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researches, and problems to consider during habitat restor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about Chinemys reevesii habitat.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잠재력 평가 -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하천의 차수,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Habitat Potential Evaluation Using Maxent Model - Focused on Riparian Distance, Stream Order and Land Use -)

  • 이동근;김호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61-172
    • /
    • 2010
  • As the interest on biodiversity has increased around the world, researches about evaluating potential for habitat are also increasing to find and comprehend the valuable habitats. This study focus on comprehending the significance of stream in evaluating habitat's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abitat potential with applying stream as a main variable, and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habitat potential. Basin is a unit that has hydrological properties and dynamic interaction with ecosystem. Especially, biodiversity and suitability of habitat in basin area has direct correlation with stream. Existing studies also are proposing for habitat potential evaluation in basin unit, they applied forest, slope and road as main variables. Despite stream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asin area, researchers haven't applied stream as a main variable.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that can demonstrate hydrological properties are selected, which are, riparian distance, stream order and land use disturbance, and evaluate habitat potential. Habitat potential is analyzed by using Maxent (Maximum entropy model), and vertebrate's presence data is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stream order map and land cover map is used as base data of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habitat potential is higher at riparian and upstream area, and lower at frequently disturbed area. Result indicates that adjacent to stream, upstream, and less disturbed area is the habitat that vertebrate prefer. In particular, mammals prefer adjacent area of stream and forest and reptiles prefer upriver area. Birds prefer adjacent area of stream and midstream and amphibians prefer adjacent area of stream and upriv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help to establish habitat conservation strategy around basin unit in the future.

자연유황 회복을 위한 댐 운영에 따른 금강의 물리서식처 변화 분석 (Investigation of the change in physical habitat in the Geum-gang River by modifying dam operations to natural flow regime)

  • 최병웅;장지연;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85-998
    • /
    • 2021
  • 일반적으로 상류의 댐은 하류 유황을 자연 상태에서 발전방류 조건으로 심각하게 변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서식처모의를 통하여 국내 조절하천에서 자연유황 패턴이 하류의 어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하도는 금강의 용담댐 하류 13.4 km 구간으로 설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대상하도에서 피라미, 쉬리, 그리고 끄리가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중 끄리는 금강에 서식하는 토착어종이다. 이들 3종을 물리서식처모의를 위한 대상어종으로 선정하였다. 수리해석과 서식처모의를 위하여 2차원 천수방정식에 기반한 Nays2D 모형과 HIS 모형을 각각 사용하였다. 자연 유황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댐 유입 유량과 발전유량을 이용하였다. 물리서식처모의 결과, 자연유황 조건에서 대상하도의 복합서식처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BA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하도에 자연유황에 대한 댐 운영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시나리오 1을 위하여 유입유량의 양과 지속기간을 고려하는 수문학적 방법을 이용하였고, 시나리오 2는 유입유량을 월별로 평균하여 구축하였다.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를 통해서 구현된 자연유황 조건이 발전방류에 비해 가중가용면적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댐 운영을 자연유황 조건으로 변환시켜 방류하였을 때 하류의 어류 서식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ode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lack-Necked Cranes in Ladakh Using Maximum Entropy

  • Meenakshi Chauhan;Randeep Singh;Puneet Pandey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2호
    • /
    • pp.79-85
    • /
    • 2023
  • The Tibetan Plateau is home to the only alpine crane species, the black-necked crane (Grus nigricollis). Conservation efforts are severely hampered by a lack of knowledg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breeding habitats of this species. The ecological niche modeling framework used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based on the maximum entropy and occurrence record data, allowed us to generate a species-specific spatial distribution map in Ladakh, Trans-Himalaya, India. The model was created by assimilating species occurrence data from 486 geographical sites with 24 topographic and bioclimatic variables. Fourteen variables helped forecast the distribution of black-necked cranes by 96.2%. The area under the curve score for the model training data was high (0.98), indicating the accuracy and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model. Of the total study area, the areas with high and moderate habitat suitability for black-necked cranes were anticipated to be 8,156 km2 and 6,759 km2, respectively. The area with high habitat suitability within the protected areas was 5,335 km2. The spatial distribution predicted using our model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peculated conservation areas bordered the existing protected areas of the Changthang Wildlife Sanctuary. Hence, we believe, that by increasing the current study area, we can account for these gaps in conservation areas,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