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 moros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4초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지상 활동 (Aboveground Activities of Larger Black Chafer(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Adults)

  • 김기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6-491
    • /
    • 1992
  • 1991~1992년에 야외 및 실내에서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지상 활동을 조사하였다. 야외의 강실에서 큰검정풍뎅이 성충은 19 : 40~21 : 00시에 지상 출현하였으며, 참검정풍뎅이 성충은 19 : 30~22 : 00시에 출현하였다. 출현 후, 큰검정풍뎅이에 있어 자충, 웅충 모두 1분 이내의 시간 동안 활발히 비상하였으며, 참검정풍뎅이에 있어 웅충은 활발하지 않게 비상하였고 자충은 전혀 비상하지 않았다. 두 종의 비상 또는 출현 성충은 식물 잎에서 교미 또는 섭식을 하였으며, 동틀녘까지 지상에 머무는 것으로 보였다. 큰검정풍뎅이 성충은 야외에서 blacklight trap에 주로 20 : 10~22 : 00시에 유인되었다. 큰검정풍뎅이 자충 및 유충은 수조 내에서 2일 간격으로 토양으로부터 출현하였다.

  • PDF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형태 생활사 (Bionomics of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 Histories)

  • 김기황;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27
    • /
    • 1988
  • 인삼 해충, 큰컴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형태 및 생화사를 구명키 위해 1984-1986년에 걸쳐 야외조사 및 실내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큰검정충뎅이는 형태적으로 모든 충태에 있어서 유사하였으며, 유충은 두폭과 체장에 있어 큰 검풍뎅이가 다소 컸으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다. 큰검정풍뎅이는 년 1에 발생하여 산란기는 7월 중순-8월 하순에 9월에는 대부분 종유충인 3형충이 된 후 초동하여 이듬해 5월 하순부터 용화하여 6월 하순에는 우화하였다. 참검정풍뎅 2년에 1에 발생하며 산란기는 5월 하순-7월 상순으로 9월에는 대부분 3영춘이 된후 초동하여 이듬해 4월이면 다시 지표 가까이로 올라와 생식을 계속하다 7월 하순부터 용화, 8월 중순부터 우화하여 성충으로 그대로 추동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대부분 홀수 해에 비산 및 산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두 종간에 산란기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유충기간 및 용기간은 참검정풍뎅이가 현저히 길었으며, 특히 3영기간은 55일이다.

  • PDF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토양내 수직분포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Vertical Distribution of Larger Black Chafer (Holo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in Soil)

  • 김기황;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4-199
    • /
    • 1988
  • 1984년부터 1986년 까지 야회에서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토양내 수직분포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 종 모두 란, 섭식지유충 및 성충은 주로 지표에서 10cm깊이에 위치하였으며 유츙이 월동을 위해 밑으로 이동을 시작하는 시기는 10월 하순-11월 상순으로 5cm깊이의 지온이 $10^{\circ}C$ 내외로 떨어진 때였다. 유충의 월동깊이는 큰검정풍뎅이가 10-40cm, 참검정풍뎅이가 30-80cm였다. 큰검정풍뎅이는 월동장소에서 그대로 부하 및 우화하였으나 참검정풍뎅이는 월동 후 이듬해 4월에 다시 지표 가까이로 올라와 섭식 하다 6월하순경 다시 ?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10-40cm, 깊이에서 부하 및 우화하여 월동하였다.

  • PDF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활동 (Flight Activities of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 김기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2-229
    • /
    • 1990
  • 1984-1989년의 6년간 Blacklight trap에 유살된 성충수를 통하여 큰검정풍댐이와 참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활동을 조사하였다. 큰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 활동은 주로 6월 하순-8월 상순에 이루어지고 7월 중순에 peak으며,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 활동은 주로 홀수년도의 5 월 상순-6월 하순에 이루어졌는데 peak의 시기는 해에 따라 일정치 않았다. 두 종의 비상 기간 중의 비상 활동은 모두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 활발하였으며 참검정풍뎅이 월동 성충의 비상 활동은 일평균기온 $15^{\circ}C$ 이상 되면서 시작되는 것으로 보였다. Blacklight trap에 유살된 성충의 성비에 있어, 큰검정풍뎅이는 자충이 53.3%였으나 참검정풍뎅이는 야외 채집 성충의 57.4%가 자충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충이 전혀 없었다.

  • PDF

인삼을 가해하는 큰검정풍뎅이(Hozotrichia morose Waterhouse)의 산란선호성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Damaging Ginseng Plants)

  • 김기황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74-177
    • /
    • 1989
  • 인삼의 주요 해충의 하나인 큰검정풍뎅이의 발생요인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몇 가지 환경요인에 대한 산란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큰검정풍뎅이는 지피식물이 없는 나지에는 전혀 산란하지 않았고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쑥. 망초, 바랭이, 쇠비름 등에는 잔디나 달맞이꽃에 비해 산란수가 많았으며, 토끼풀에는 산란하지 않았다. 지피식물이 바랭이일 때 지피도 높은곳, 토양경도가 낮은 곳에서 산란수가 많았다. 지피물이 볏짚인 곳은 산란수가 있어 나지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볏짚은 산란유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토양내의 부숙볏짚 역시 산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과건 또는 과습토양에서는 산란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산란활동 (Oviposition Activities of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 김기황;손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65-270
    • /
    • 1991
  • 1985~1990년에 실내 및 야외에서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산란활동을 조사하였다. 실온하에서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산란기간은 31.70$\pm$13.33일, 61.17$\pm$23.15일, 실제산란일수는 9.00$\pm$5.03일, 22.33$\pm$11.72일, 자충당 총산란수는 23.43$\pm$16.26립, 65.67$\pm$37.97립, 자충당 1일 산란수는 2.60$\pm$2.50립, 2.94$\pm$2.34립으로 자충당 총산란수의 차이는 주로 산란일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였다. 큰검정풍뎅이에 있어 실온하에서의 산란시기는 야외에서의 산란시기보다 현저히 늦어졌으나, 참검정풍뎅이에 있어서는 실온과 야외에서의 산란시기가 거의 중복되었다. 야외에서 참거정풍뎅이의 장란충율은 큰검정풍뎅이보다 명백히 높았으나 장란충당 장랑수는 두 종이 거의 같았다. 참검정풍뎅이 성충은 망실 내에서 잡초의 초종간에 뚜렷한 산란 및 섭식선호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풍뎅이류에 있어서의 인삼의 잠재 해충 (Potential Pests of Ginseng in Scarabaeids)

  • 김기황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00-204
    • /
    • 1991
  • Densities and larval food habits of Holotrichia titanis belonging to Melolonthinae, and of Anomala corpulenta and A. mfocuprea belonging to Rutelinae, collected from surroundings of ginseng field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potentia]s as ginseng pests in scarabaeids. H. titanis had similar food habit to the ginseng pests, H. morosa and H. diomphalia, although the density of H. titanis was relatively low during the period of survey, which indicates that the scarabaeid may have potentials to be a major pest with build-up or the population in the fields. However, A. corpulenta and A. rufacuprea with higher populations than H. morose and H. dicmphalia had no or low potency as ginseng pests since they had little preference to ginseng roots or did not feed on these. The latter two species in Rutelinae showed different food habits in relation to dead organic matter.

  • PDF

수원과 전주 지방에서 blacklight trap에 유인된 우단풍뎅이아과, 검정풍뎅이아과 및 줄풍뎅이아과 풍뎅이의 종류와 발생 소장 (Species and Seasonal Occurrences of Sericinae, Melolonthinae, and Rutelinae Chafers Captured by Blacklight Traps in Suwon and Chonju)

  • 김기황;강여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4-419
    • /
    • 1993
  • 1989~1991년에 수원과 전주지방에 blacklight trap에 유인된 우단풍뎅이아과, 검정풍뎅이아과 및 줄풍뎅이아과 풍뎅이의 종류와 발생 소장을 조사하였다. 수원과 전주 지방에서 유인된 종수는 각각 우단풍뎅이아과 6종과 6종, 검정풍뎅이아과 8종과 7종, 줄풍뎅이아과 7종과 8종, 합계 21종과 21종이었다. 두 지방에서 각 아과 중 보다 많이 유인된 종은 우단풍뎅이아과의 애우단풍뎅이, 검정풍뎅이아과의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줄풍뎅이아과의 다색줄풍뎅이와 애풍뎅이였다. 위 5종의 성충은 수원 지방보다 전주 지방에서 10~20일정도 빨리 유인되었다. 참검정풍뎅이 성충은 전주 지방에서 주로 홀수해에 발생하여 수원 지방에서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 PDF

인삼포(人蔘圃) 및 그 주변 포장(圃場)에서 채집(採集)된 굼뱅이의 종구성(種構成) 및 외부형태(外部形態) (External Morphology and Species Components of the White Grubs Collected from Ginseng Field and Its Neighbouring Fallows)

  • 김기황;김상석;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9-182
    • /
    • 1986
  • $1983{\sim}1984$ 제(第)에 걸쳐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수원경작시험장 인삼포(人蔘圃) 및 그 주변에서 궁뱅이를 채집(採集)하여 외부형태상(外部形態上)의 특징, 종구성(種構成) 및 인삼가해여부(人蔘加害如否)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채집(採集)된 굼뱅이는 항문공(肛門孔)의 모양과 여상부에 있는 융기선(隆起線)의 유무(有無)에 따라 검정풍뎅이 아과(亞科), 줄풍뎅이 아과(亞科), 우단풍뎅이 아과(亞科)로 나뉘어지고, 이들은 다시 두부(頭部)나 제10복절(第10腹節) 복면(腹面)의 자모(刺毛) 배열(配列), 두개(頭蓋)의 광택 정도에 띠라 8종(種)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인삼포(人蔘圃) 주변의 포장(圃場)이나 휴한지(休閑地)에서 주로 다색풍뎅이 애풍뎅이 다색줄풍뎅이 참검정풍뎅이 큰검정풍뎅이 등이 채집(採集)되었으나, 인삼포(人蔘圃)에서는 참검정풍뎅이와 큰검정풍뎅이만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의 인삼(人蔘) 가해(加害)가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