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ungbuk Provinc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경기와 경북지역의 제수 비교 연구 (Research on the comparison on the ritual food of Gyeonggi and Gyungsangbuk-do province)

  • 김정미;장성현;김종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62-570
    • /
    • 2003
  • The awareness of ritual foods in general rituals were surveyed and compared in the Gyeonggi and Gyungsangbuk-do area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ituals and establish desirable ritual foods. As materials for "Jeon" (fried pan cakes) in rituals, fish fillets, meat and vegetables were largely used in the Gyeonggi region. In the Gyeongbuk region, all three of these ingredients were the most highly used for "Jeon" also. In the case of rice cakes, "Songpyun" steamed on a layer of pine needles, "Jeolpyun" and "Sirudduk", with a red beans, were mostly used in Gyeonggi-do, while "Songpyun", "Jeolpyun" and "Ingelmi" were largely used in Gyeongsangbuk-do. As seasoned vegetables and herbs, fernbrakes, root of bell flowers, green bean sprouts and bean sprouts were largely used in Gyeonggi-do region, whereas, fernbrakes, bean sprouts, root of bell flowers and spinaches were mainly used in Gyeongbuk region. The use of fernbrakes was highest in both regions.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side dishes, 2∼3 kinds of seasoned herbs and 3∼4 kinds of fruits were mostly used, but with slightly higher numbers in the Gyeongsangbuk-do than the Gyeonggi-do region. With regard to liquor used for rituals, clear strained rice wine was used most in the Gyeonggi-do area, while more unrefined rice wine was used in the Gyeongbuk region. Meat was the most used ingredient in broth slices of dried meat and cod were highly used in the Gyeonggi region, but slices of dried squid were most widely used in the Gyeongbuk region. Most households in both regions tended not to use raw fish in the rituals, and as for the ingredients of Korean Kabobs, meat was the most widely used, then fish and finally vegetables were the most used ingredients. Beef soup was the most used, but more green vegetable soup was used in the Gyeongbuk than the Gyeonggi region. Sweet drink made from fermented rice (sikhe) was generally used in the rituals. It was the most widely used in the Chusok-Hangawi Ritual in the Gyeonggi region, while it was used in the New Year's Ritual in the Gyeongbuk region.

한국 속 재래품종의 지리적 분포와 형질변이 및 주변지역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Collected Local Lines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in Korea and Their Ethnobotanical Relation to Adjacent Areas)

  • 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339
    • /
    • 1983
  • 재배식물이나 품종의 분화 발달 및 분포와 그의 주변지역과의 개연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재래성이 강한 속품종을 전국적으로 91계통을 수집하여 아세아수개국에서 수집된 238품종 또는 계통과 함께 조사 연구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수집계통의 66%가 차조이고 이들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메조는 32%로서 산간지와 재배밀도가 높았든 제주도에 주로 분포된 경향이었다. 2. 저온(8$^{\circ}C$)에서의 발아율 및 평균발아일수로 나타낸 저온발아성은 수집계통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경기 및 전남북지방에서 수집된 계통들간에 변이가 크고 다양하였으나 품종의 지리적 분포와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다. 3. 수집계통들의 1,000립중은 변이가 크고 대체로 대립품종은 전남 및 제주와 같은 극남부지방 수집계통중에 많고 중북부 산간지에서 수집된 것 중에 소립계통이 많은 경향이었다. 4. 종피색은 황색계통이 전체의 약 70%로서 주류를 이루고 황백색, 등색 및 회색의 순이었으며 경북수집계통들이 가장 다양하고 충남, 전남 및 경남 수집계통들은 모두 황색이며 회색종피는 전남 및 경북 수집계통에서만 볼 수 있었다. 5. 한국 수집계통은 저온발아성이 중화민국품종에 비하여 높은 계통이 많고 또한 일본 및 중화민국 품종에 비하여 대립계통도 많은 경향이었다. 6. Pheonl반응은 한국 수집계통중 2계통을 제외하고는 모두 -반응을 나타내어 일본 및 중공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한 반면에 +반응을 나태내는 품종이 많은 중화민국(대만),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7. Esterase isozyme의 분석결과는 한국 수집계통들의 zymogram형은 ZT-1과 ZT-8형이 주이고 ZT-3과 ZT-9형이 약간 있어서 일본품종들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하지만 ZT-4, ZT-9 및 ZT-3형이 주가 되고 있는 중국품종이나 전부가 ZT-1 및 ZT-3형을 나타내는 중화민국,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전혀 다른 pattern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한국과 중공이 변이가 많은 다양성의 중심지역임을 나타내었다.

  • PDF

자두 검은점무늬병원균의 PCR진단 및 검출 (PCR Primer Developed for Diagnosis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n Prune)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5-128
    • /
    • 2010
  • 자두 주산지인 경북 김천을 비롯하여 의성, 경산, 군위지역에 발생하는 자두과실의 검은점무늬병 병원균을 조기 검출하기 위하여 integrons를 이용한 primer를 제작하고 DNA 추출향상을 위해 전배양법을 그리고 검출감도 향상을 위해 nested PCR을 시도하였다. 제작된 integrons primer로 병반 시료를 PCR한 결과 예상되는 크기인 760 bp로 증폭이 되어 검은점무늬병의 원인 병원균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로 확인되었고 진단용 primer로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NA 추출 방법별로 PCR 진단효율은 조사한 결과 직접 추출하는 방법보다는 10% LB배지로 전배양한 다음 DNA를 추출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고 nested PCR을 이용할 경우에는 과원내 강우중의 X. arboricola pv. pruni의 검출도 가능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Integrons primer를 이용, 전배양법과 nested PCR을 실시할 경우 1일 이내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유묘에서의 X. arboricola pv. pruni 감염여부나 식물검역에서의 X. arboricola pv. pruni 감염식물 진단 등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마을 재생을 위한 정자쉼터 공간구조분석과 이용 후 평가 - 경산권, 김천권 정자쉼터를 대상으로 - (Spatial Structure Analysi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 On the Jungja Shelter in Gimcheom city and Kyeongsan city -)

  • 구민아;엄붕훈
    • 농촌계획
    • /
    • 제23권4호
    • /
    • pp.99-110
    • /
    • 2017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POE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14 Jungja shelter space at rural villages in Gyu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otal 139 residents as POE.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Jungja shelter space, wer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mean of satisfaction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an be objective data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In satisfaction level, 'Continuous use intention'(3.99), 'Well-suited approach'(3.87), and 'Helpful in resident living'(3.84) were shown to be high points of agreement in 5 point Likert type scale. But, the mean points were low as 2.01 in 'Surrounding landscape', 'Creation of green areas'(3.22), and 'Traffic safety'(3.22), respectively. Within use satisfaction, 5 factors were categorized, 'Use', 'Safety', 'Facility', 'Management' and 'Users'. B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of 'Continuous use', 'Convenient location', and 'Image improvement', were shown to be main affecting variables to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in spatial structure analysis, 4 types were categorized with the aspect of landform, roads, and location in villag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shown to be high in village type of semi-open, road type of circular, and location type of center/back. Conclusively, these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and useful tool of space-structural satisfaction analytic method, and for each stage of planning/design and remodeling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인의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종단 두시점 비교연구 (A Longitudinal Comparative Study of Two Periods regarding the Influences of Psycho-Social Factors on Emotional Distress among Korean Adults during the Corona virus Pandemic(COVID-19))

  • 이동훈;김예진;황희훈;남슬기;정다송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629-659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동안 한국인이 겪는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을 서로 다른 두 시점에서 비교하였다. 1차 조사시기는 WHO에서 코로나 19 팬데믹을 선언하고, 대구 경북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정되었던 2020년 4월 13일부터 4월 21일까지이며, 연구참여자 6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 조사시기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가 재확산되고, 수도권에서 처음으로 집단감염이 확산되면서 일주일동안 수도권에서만 확진자가 1,000명이 넘었던 시점인 2020년 8월 21일부터 9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1차 조사의 연구참여자 중 482명이 2차 조사에 응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본 연구는 시점별로 개인특성요인, 코로나 19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활동 제약요인, 대인관계갈등 및 수입감소 요인이 코로나 19로 인한 디스트레스(스트레스, 우울, 불안, 분노)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시점 모두에서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삶의 질, '코로나 19 관련 정보 수시 확인', '코로나 19 이후 삶을 예측할 수 없어 두려움', '병원 이용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시점1에서만 유의한 변인으로 '공적일정에 차질', 시점 2에서만 유의한 변인으로는 연령, 감염취약성, '개인일정에 차질'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지자체별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ropland Sector on Local Government Levels based on 2006 IPCC Guideline)

  • 정현철;김건엽;이슬비;이종식;이정환;소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42-847
    • /
    • 2012
  • 본 연구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에서 향후 적용될 2006 IPCC 신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16개 지자체별로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고 배출량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지자체 별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한 결과 전남 (JN)지역에서 가장 많은 배출량을 차지하였으며, 연 평균 배출량 또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온실가스 종류($CH_4$, $N_2O$, $CO_2$)별 배출량 및 배출원 (벼 재배, 농경지 토양, 작물잔사 소각 및 요소 시용)별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또한 전남 (JN)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전남 (JN) 지역에서 배출량이 많았던 주요 원인은 작물 재배면적이 가장 넓기 때문이며 이에 따른 작물생산량, 질소 비료 시용량 및 요소 시용량 또한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물잔사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경종부문 총 배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op-down 방법을 적용하여 산정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과 2006 신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Bottom-up 방법으로 산정한 지자체별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1990년의 경우 이번 배출량 평가에서 더 적은 배출량을 나타냈으며, 가장 큰 원인은 이번 산정에서는 2006 가이드라인의 기본 배출 계수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며, 가축분뇨 투입에 따른 질소 배출량 기본 계수값이 더 작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한 지자체별 배출량 평가와 분석을 위해서는 작물별 재배면적, 생산량, 화학비료 및 가축분뇨 투입량 등의 활동자료 뿐만이 아닌 지자체 고유의 영농방법 (물 관리 방법, 유기물 시용 방법 등)에 대한 활동자료 구축과 더불어 이를 적용한 배출량 산정이 필요하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기본 계수를 사용할 경우 국내의 농업환경을 반영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으며, 불확도 또한 클 수밖에 없다. 향후, 2006 신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고 국내 농업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Tier 2 수준의 온실 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국가 고유의 배출계수 개발과 더불어 신뢰도 높은 활동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