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sang region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4초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in Frontal Sinus, Orbital Cavity and Ethmoid Cavity

  • Lee, Jeong Hwan;Kim, Nam Gyun;Lee, Kyung Suk;Kim, Jun Si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5-128
    • /
    • 2014
  •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are extremely rare soft tissue sarcomas. Among various locations, the trunk and extremities are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s, with only 15% of such lesions occuring in head and neck region. Here, we report a case of a 74-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forehead swelling and right eye deviati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revealed a tumor involving the frontal sinus, ethmoid sinus, and the orbital cavity. The patient underwent a surgical excision of the lesion, whic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o be a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내시경과 Cerclage Wire를 이용한 식도내 낚시바늘 제거: 증례보고 (Endoscopic Retrieval of Esophageal Fishhooks Using Cerclage Wire: A Case Report)

  • 김영기;엄미영;서유진;하미현;왕지환;정인조;장홍희;이희천;조규완;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22-626
    • /
    • 2007
  • 1년 6개월령의 수컷 비글견이 3일간의 연하통증과 식욕부진으로 내원하였다. 환축은 병력청취와 방사선학적 검사결과 낚시바늘에 의한 식도와 위내 이물로 진단되었다. 위식도 내시경을 시행한 결과 하나의 낚시바늘은 흉부식도의 심장기저 부에 나머지 하나의 낚시바늘은 위 분문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두 낚시바늘은 하나의 낚싯줄로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연결된 낚싯줄을 끊고 위내 낚시바늘을 제거하기 위해 위 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위 절개술 후 식도내 바늘을 제거하기 위해 세 갈래, 다섯 갈래 내시경 포셉과 생검 포셉을 이용한 내시경적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낚시바늘이 식도의 점막에 깊게 박혀있어 견인에 실패하였다. 낚시바늘을 더욱 단단히 잡아줄 수 있는 장치를 위해 정형외과용 스테인리스 와이어(16G)를 올가미 포셉 형태로 제작한 뒤 내시경을 통한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바늘에 걸어 제거하는데 성공하였다. 시술 10일 후 환축은 회복되어 퇴원조치 되었다.

남부지역 구실잣밤나무의 임분특성 및 지역별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ccording to Stan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원경록;홍남의;정수영;유병오;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14-720
    • /
    • 2015
  • 목재의 물리, 역학적 특성은 토양,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인자뿐만 아니라 임분특성에 의해서도 바뀌게 되므로 남부 세 지역의 임분특성이 목재의 재질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별 물리, 역학적 특성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남, 제주도의 구실잣밤나무 임지에 대하여 임분특성과 목재재질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는데 이들 간에는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실잣밤나무의 기건밀도의 물리적 특성과 휨, 압축, 전단강도의 역학적 특성은 임분 특성에서 흉고직경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표고, 배수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부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물리 역학적 특성에서도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재 재질특성 분석결과, 남부지역의 구실잣밤나무는 난대 지역의 유용한 산림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벤로형 온실의 잉여 태양에너지 분석 (Analysis of Surplus Solar Energy in Venlo Type Greenhouse)

  • 최만권;신익수;윤성욱;김현태;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1-99
    • /
    • 2013
  • 본 연구는 주간동안 온실 내에서 발생되는 잉여 태양에너지 축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확보한 표준기상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로형 온실을 대상으로 잉여 태양에너지를 분석하였다. 파프리카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약 1,107.8GJ, 1,010.0GJ 및 3,118.5GJ로 분석되었다.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제주지역 1,845.4GJ, 진주지역 1,881.8GJ, 대관령지역은 2,061.8GJ로 나타나 대관령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11.7% 및 9.6% 정도 크게 나타났다. 국화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지역 1,202.5GJ, 진주지역 1,042.0GJ, 대관령지역은 3,288.6GJ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별 차이는 파프리카의 경우와 유사였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1,435.2GJ, 1,536.2GJ, 및 1,734.6GJ로 나타나 대관령 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20.9% 및 12.9% 정도 크게 나타났다.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경우가 국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에 관계없이 난방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고 잉여 태양에너지는 많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관령지역을 제외하면 잉여 태양에너지가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소요 난방에너지는 지역 및 재배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오이가 일반적으로 많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국화 및 파프리카 순이었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대체적으로 파프리카, 오이 및 국화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Surgical Removal of Intrathoracic Lipoma from Herniated Omentum through the Diaphragmatic Defect in an Abyssinian Cat

  • Lee, Jiyeon;Park, Hyojin;Kim, Jieyoo;Kim, Na-Hyun;Lee, Dongbin;Lee, Hee-Chun;Hwang, Tae-Sung;Lee, Jae-H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74-178
    • /
    • 2021
  • A nine-year-old neutered male cat was presented with chronic cough and vomiting. Thoracic radiography showed regions of fatty opacity in the right caudoventral region. On positive contrast celiography, contrast agent did not move into thoracic cavity.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7-mm diameter of defect at the right diaphragmatic crus and a 2-mm diameter defect at the left ventral diaphragmatic crus. Through the right diaphragmatic defect omental herniation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contrast enhanced omental vessel running across the diaphragm. On exploratory thoracotomy, the omentum protruded into the thorax through the right diaphragmatic defect, and it contained a yellowish lipomatous mass. The protruded omentum containing a mass in the thorax was removed, and the right diaphragmatic defect was close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protruded omentum showed normal omental structure and the adipose mass showed lipoma surrounded by fibrous tissue. In conclusion, a thorough examination is necessary to confirm the origin of the mass located near the diaphragm.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II) - 사면(斜面)의 안정해석(安定解析)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Slope Stability Analysis -)

  • 박재현;최경;배종순;마호섭;이종학;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377-386
    • /
    • 2005
  •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의 발생특성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연구를 진행중에 있으며, 본보에서는 지반조사, 시추공내영상촬영, 탄성파탐사 및 실내시험 후 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안정해석결과, 영역 I 지역은 집중호우 시 땅밀림 산사태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므로 계측기를 설치하여 지표의 변위발생을 모니터링하고, 변위가 발생될 경우 긴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영역 II는 토사유실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붕괴(slope failure)가 예상되므로, 향후 지속적인 관찰과 보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역 Ill은 상부로부터 집수되는 지표수 배제 및 상부 너덜(talus)지역으로부터 침투된 지하수의 배제를 위한 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역 IV는 현재 안정한 지역으로 가능하면 절취 등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온산공단 주변 산림토양과 인동덩굴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of Forest Soil and Lonicera japonica near Onsan Industrial Region)

  • 박은희;조민기;양재경;김종갑;문현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2-228
    • /
    • 2006
  • 본 연구는 온산 공단지역 산림토양과 그곳에 우점하고 있는 인동덩굴의 기관별 중금속(As, Cd, Cr, Cu, Fe, Mn, Ni, Pb, Zn) 함량을 분석하고 산림토양과 식물체간 중금속 함량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덩굴식물인 인동덩굴을 중금속 오염지의 토양 정화 및 식생복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토양중금속 중 As, Cd, Cu, Pb, Zn은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Fe, Mn 및 Ni 함량은 산림지역이 공단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Cd, Cu, Pb과 Zn은 인동덩굴의 잎, 줄기, 뿌리에 있어서 공단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체의 함량이 산림지역의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토양의 As, Cd, Cu, Pb, Zn 함량과 인동덩굴 기관별 함량은 높은 정의 혹은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으며, Cu가 산림토양과 인동덩굴의 기관간에 $0.93{\sim}0.99$의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식물체의 기관 내 높은 중금속 함량과 산림토양과의 높은 상관계수를 고려하면, 인동덩굴은 공단지역과 같이 중금속(특히 Cd, Cu, Pb와 Zn)에 오염된 산림토양에서 정화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xternal Auditory Canal Atresia with Otitis Media in a Dog

  • Kim, Ah Reum;Han, Changhee;Hwang, Gunha;Kim, Rakhoon;Go, Woohyun;Lee, Ji Yeong;Lee, Jongbong;An, Soyon;Hwang, Tae Sung;Lee, Dongbin;Lee, Jae-Hoon;Lee, Hee Ch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9-162
    • /
    • 2021
  • A 5-year-old, intact male, poodle dog with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obstruction and subaural mass was presented.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opening was absent and right head tilt was identified. Aspiration in right subaural mass revealed a small amount of dark brown exudate. Streptococcus canis and Staphylococcus spp. were identified on the microbial culture. Radiography of the skull was revealed absence of air-filled ear canal at the right external ear canal (EEC) level.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well capsulated, hypoattenuated mass in the right EEC region. On the contrast enhanced CT images, rim enhancement around the mass and ear canal obstruction were identified. Fluid attenuated material filled with right bulla. Mild thickening of the right tympanic bulla wall with mild lytic lesion of the ventral wall were found. Based on the images findings, the case was tentatively diagnosed as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atresia with otitis media. Total ear canal ablation and lateral bulla osteotomy was performed. The entire ear canal was removed, numerous hair in the canal and the thickening wall were founded. Right ear canal was sent for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and found to otitis externa. The patient was followed up for two weeks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This report described the CT diagnosis of right EEC atresia with otitis media rarely reported in small breed dogs.

후외측 목에 생긴 큰 규모의 근육간 지방종: 증례보고 (A Large Intermuscular Lipoma of the Posterolateral Neck: A Case Report)

  • 이경석;신재봉;김준식;도기철;김민형;김남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9-21
    • /
    • 2023
  • Lipomas are a common soft-tissue tumor of mesenchymal origin, but intermuscular lipomas are very infrequently found especially in the cervical region. Although lipoma itself rarely causes complications, an accurate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important. Surgical excision is indicated for deep lipomas that are 5 cm or larger, grow, or are accompanied by symptoms such as pain. It is also important to differentiate malignant tumors through pathological examination. Since the size of the lipoma was large, lipoma was divided into several pieces to successful removal, and the patient in this case showed successful recovery after surgery.

GABAergic neuronal development in the embryonic mesencephalon of mice

  • Kim, Mun-Ki;Lee, Si-Joon;Vasudevan, Anju;Won, Chung-Ki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201-205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neurogenesis and neuronal migration patterns of gamma-aminobutyric acid-ergic (GABAergic) neurons during mesencephalic development of mouse. After neurons from embryonic day (E) 10-16 were labelled by a single injection of 5-bromo-2'-deoxyuridine (BrdU),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Neurogenesis were mainly generated in the mesencephalic region at E10 to E13. After E14, BrdU positive cells were observed only in the dorsal mesencephalon. GABAergic neurons were mainly originated in the ventrolateral region of the mesencephalon at the early embryonic stage, especially at E11 to E13. E10-labeled cells showed positive for GABAergic neuron in the basal plate of the mesencephalon at E13. At E15, GABAergic neurons were observed in the entire basal plate and some regions of the ventral and dorsal mesencephalon. They were present in the whole basal plate, the ventral and dorsal mesencephalon of E17, spreading more outward of the mesencephalon at P0. Our study demonstrates that major neurogenesis of GABAergic neurons occurs at E11 to E13. However, neuronal migration continues until neonatal period during mesencephalic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