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 Ju

검색결과 1,435건 처리시간 0.036초

학동기 소아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실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elementary children)

  • 안영준;김은영;문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03-1108
    • /
    • 2009
  • 목 적:만성질환자가 아닌 일반 학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며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대처 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3개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 1,68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중 설문지가 회수된 794명(47%)을 분석하였다. 결 과:일반적인 학동기 아동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278명(35%)이었고, 보완대체요법의 종류는 한약제 62.6%, 보조식품 31.3%, 비타민 30.2%, 선식 11.2%, 침술 11.2%, 체 냄, 수지침 순이었다.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 이상 일 때, 종교가 있을 때, 가정 월 총수입이 100만 원 이상일 때 의미 있게 높았으며 이용하게 된 동기는 질병예방목적이 가장 많았고, 주로 주변 사람이나 매체를 통해 이용하였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는 16%였고, 재사용 의향이 없는 경우는 20.5%였고, 환아가 건강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아가 영양결핍, 아토피 피부염, 관절통증, 알레르기비염, 비만, 천식 때 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보완대체 의학의 사용이 아이의 건강상태와는 밀접하지 않으며 사용 경로 또한 주변 사람의 권유나 방송 매체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원치료와 병행 시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부작용, 효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만성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현대의학의 적극적인 치료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종슬러지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이용 바이오메탄 생산 비교 (Evaluation of different types of mixed microbial culture for biomethanation of CO2)

  • 김태훈;임병서;이승주;윤광수;안병규;미치드마;윤여명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1호
    • /
    • pp.65-72
    • /
    • 2020
  • 본 연구는 초기 식종슬러지 종류별 CO2의 생물학적 바이오메탄 생산 적용 가능성을 비교를 위해 국내 혐기성 소화조로부터 획득한 식종미생물을 종류에 따라 Specific methanogenic activity (SMA) test를 수행한 결과이다. 36일간의 실험 결과 CH4 yield는 2,434-2,051mL CH4/g COD의 범위를 얻었고 생산된 가스 내 CH4 분압은 맥주공장과 음식물류 폐기물 식종슬러지에서 가장 높은 89.3-91.9% CH4 분포를 보인 반면 하수슬러지 식종슬러지로부터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냈다. 반응조의 CH4 production rate/CO2 consumption rate 비교를 통해 CH4전환 속도 및 CO2소비율의 간접적 물질 수지 비교가 가능했으며 SMA test 실험 기간 중 반응조 내 아세트산의 농도의 검출이 확인되었다. 이는 식종슬러지 내부의 잔류 유기물들의 분해, 식종미생물의 사멸 및 이들의 분해, Homoacetogenic bacteria의 활성에 의해 반응조 내 Metabolic pathway가 부분적으로 Hydrogenotrophic methanogenesis 단계에서 Acetoclasctic methanogenesis로의 변환됨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

A 4-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Study of Mecasin in Sprague-Dawley Rat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Doses for a 13-week, Repeated Toxicity Test

  • Cha, Eunhye;Lee, Jongchul;Lee, Seongjin;Park, Manyong;Song, Inja;Son, Ilhong;Song, Bong-Keun;Kim, Dongwoung;Lee, Jongdeok;Kim, Sungchu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50
    • /
    • 2015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4-week repeated-dose oral toxicity of gami-jakyak gamcho buja decoction (Mecasin) to develop safe treatments. Metho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4-week oral toxicity of Mecasin, we administered Mecasin orally to rats. Sprague-Dawley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male and five female animals per group: group 1 being the control group and groups 2, 3, and 4 being the experimental groups. Doses of Mecasin of 500, 1,000, and 2,000 mg/kg of body weight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a dose of normal saline solution of 10 mL/kg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We examined the survival rate,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findings for four week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Animal Ethics Committee. Results: No deaths occurred in any of the four groups. No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s or food consump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observed. Serum biochemistry revealed that some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inorganic phosphorus (IP) (P < 0.05). During necropsy on the rats, one abnormal macroscopic feature, a slight loss of fur, was observed in the mid dosage (1,000 mg/kg) male group. No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any other rats. In histopathological findings, the tubular basophilia and cast of the kidney and extramedullary hematopoiesis of the spleen were found. However, those changes were minimal and had occurred naturally or sporadically. No other organ abnormalities were observed. Conclusion: During this 4-week, repeated, oral toxicity test of Mecasin in SD rats, no toxicity changes due to Mecasin were observed in any of the male or the female rats in the high dosage group. Thus, we suggest that the doses in a 13-week, repeated test should be 0, 500, 1,000, and 2,000 mg/kg respectively.

Mass-Based Metabolomic Analysis of Lactobacillus sakei and Its Growth Media at Different Growth Phases

  • Lee, Sang Bong;Rhee, Young Kyoung;Gu, Eun-Ji;Kim, Dong-Wook;Jang, Gwang-Ju;Song, Seong-Hwa;Lee, Jae-In;Kim, Bo-Min;Lee, Hyeon-Jeong;Hong, Hee-Do;Cho, Chang-Won;Kim, Hyun-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925-932
    • /
    • 2017
  • Changes in the metabolite profiles of Lactobacillus sakei and its growth media, based on different culture times (0, 6, 12, and 24 h), were investigat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S) and liquid chromatography-MS with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is organism. Cell and media samples of L. sakei were significantly separated on PLS-DA score plots. Cell and media metabolites, including sugars,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were identified as major metabolites contributing to the difference among samples. The alteration of cell and media metabolites during cell growth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energy production. Glucose, fructose, carnitine, tryptophan, and malic acid in the growth media were used as primary energy sources during the initial growth stage, but after the exhaustion of these energy sources, L. sakei could utilize other sources such as trehalose, citric acid, and lysine in the cell. The change in the levels of these energy sources was inversely similar to the energy production, especially ATP. Based on these identified metabolites, the metabolomic pathway associated with energy production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proposed.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based metabolomic analysis might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 sakei, the most important bacterium associated with meat and vegetable fermentation, during growth.

방음벽 전면형상에 따른 소음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Effect of Surface Shape and Pattern of Noise Barrier Panel on the Noise Reduction)

  • 김일호;안호상;박종빈;김광수;이주행;고준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35-839
    • /
    • 2012
  • 도심의 교통량의 증가와 더불어 급증하는 교통소음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로변 지역에 방음벽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방음벽 설치되었고,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방음성능, 시야확보측면, 유지관리 등에서 장단점이 존재한다. 최근 꾸준하게 적용되고 있는 반사형 투명형 방음벽의 경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외관이 우수하지만 반사음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음벽 전면 형상에 의한 반사음의 영향을 분석하여 반사형 방음벽을 최적화하여 반사음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방음벽 전면에 두께가 다른 블록을 설치하고 일반 반사형 방음벽의 소음 반사 효과와 비교한 결과, 일반 반사형 투명 방음벽에 비하여 0.9~1.5 dB(A)의 소음저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반사음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공간적 영역이 블록의 두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방음벽 전면 형상에 따라 소음의 집중 및 확산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며 방음벽을 최적화하는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 하였다.

위험도로 곡선반경 개선의 경제적 접근에 관한 연구 (An Economic Approach for Improvement of Radius for Hazarouds Road)

  • 하태준;김정현;윤판;박제진;김영운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81
    • /
    • 2003
  • 정부는 1980년대 이후 급증하는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실질적인 교통안전대책 추진 방안으로 "교통사고 잦은 지점"과 "위험도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중 "위험도로"의 경우는 도로여건이 조악하여 주행차량의 안전운행에 무리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는 도로구간이며 도로의 기하구조와 기타 환경적 요인에 일정 점수를 부여하여 그 평점으로 선정된다. 이런 위험도로에 대한 개선사업은 차량의 도로 주행시 차량안전만을 고려한 기하구조 개선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어지고 있어 이로 인한 각 사업에 과다한 사업비가 투자되기도 하여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하에 개선안 제시에서부터 경제적 접근이 필요하게 되어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개선안 제시를 통해 사고에 대한 안전성 향상과 과다투자로 인한 경제적 낭비를 막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5년에 선정된 건설교통부 광주국도유지사무소 관할 위험도로 자료를 선택하여 통계적 처리를 통한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도로기하구조와 교통사고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나타냄으로서 특정 요인의 통제를 통한 교통사고 감소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노선변경법을 기반으로 위험도로 개선방안의 적정 공사비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제시되어진 적정 공사비 산출식을 통한 공사비와 개선사업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간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료선별의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다양한 개선안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어 이를 극복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ost-Traumatic Cerebral Infarction : Outcome after Decompressive Hemicraniectomy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 Ham, Hyung-Yong;Lee, Jung-Kil;Jang, Jae-Won;Seo, Bo-Ra;Kim, Jae-Hyoo;Choi, Jeong-Wo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4호
    • /
    • pp.370-376
    • /
    • 2011
  • Objective : Posttraumatic cerebral infarction (PTCI), an infarction in well-defined arterial distributions after head trauma, is a known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head trauma. The primary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PTCI, and to assess the effect on outcome of decompressive hemicraniectomy (DHC) in patients with PTCI. Methods : We presen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0 patients with PTCI who were treated between January 2003 and August 2005. Twelve patients among them showed malignant PTCI, which is defined as PTCI including the territory of Middle Cerebral Artery (MCA).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imaging studies of patients were reviewed. Results : Infarction of posterior cerebral artery distribution was the most common site of PTCI. Fourteen patients underwent DHC an average of 16 hours after trauma.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5%. Glasgow outcome scale (GOS) of survivors showed that one patient was remained in a persistent vegetative state, two patients were severely disabled and only two patients were moderately disabled at the time of discharge. Despite aggressive treatments, all patients with malignant PTCI had died. Malignant PTCI was the indicator of poor clinical outcome. Furthermore, Glasgow coma scale (GCS) at the admission was the most valuable prognostic facto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 GCS less than 5 on admission and high mortality (p<0.05). Conclusion : In patients who developed non-malignant PTCI and GCS higher than 5 after head injury, early DHC and duroplasty should be considered, before occurrence of irreversible ischemic brain damage. High mortality rate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malignant PTCI or PTCI with a GCS of 3-5 at the admission. A large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ill be required to justify for aggressive treatments including DHC and medical treatment in these patients.

학교 집단급식소 내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분석 및 위해요인 평가 (A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Hazard Factor Evalu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Schools)

  • 박성준;홍성호;이하영;김철주;김수진;김성균;고광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76-386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hazards posed by food utensils and fixtures in food service operations at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Methods: We collected 200 samples of utensils and fixtures including cups, spoons/chopsticks, food trays and table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in Seoul. Target microorganism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tal bacterial count and total coliform as indicator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pathogens of food poisoning. We used selective media to quantify microbial concentration and 16S rRNA PCR assay for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intensive interviews with nutritionists were conducted and observations were made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microbial contamin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peration. Results: The level of microbial concentration in school B and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school A, D and E (p<0.05). Some samples from school A, D and E showed over 3.4 log CFU/100 $cm^2$ (total bacterial count) and 1.0 log CFU/100 $cm^2$ (total coliform), which requires immediate hygienic action. The number of customers per staff member, periodicity of hygiene education for staff and daily operation time of sterilizer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related with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service opera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t only a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pproach, but also efforts to assess internal risk factors within operations be needed to reduc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assessing microbial hazards in food service operations.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THE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OF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8-113
    • /
    • 2004
  •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 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sim}6$ 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sim}6$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 PDF

재가노인 대상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trengths-based Case Management for the Elderly)

  • 한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243-263
    • /
    • 2009
  • 본 연구는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강점관점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제로 운영해 보고, 이 프로그램이 노인의 욕구에 기반한 장기목적과 단기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지, 그리고 일상생활 기능(ADL, IADL 수행능력)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노인대상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적용 및 확산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6명의 사례관리자가 G시에서 재가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 8명을 대상으로 2008년 11월 부터 2009년 4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강점관점 사례관리서비스를 직접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대상 노인의 일상생활 기능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대상 노인별 사전, 사후평가와 함께 비교집단노인(24명)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강점관점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은 단기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ADL이나 IADL 수행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프로그램이 생활만족도에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입증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도 노인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단기목표를 달성하고,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고무적인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진국에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강점관점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노인들에게도 효과적이며, 앞으로 노인복지 설천현장에서 적용되고 확산되어야 할 당위성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