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ngji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남양주 궁집의 공간계획 및 의장특성 (The Space Plan and Design Characteristic for the Gungjip in Namyangju)

  • 조중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39-48
    • /
    • 2010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ce plan and design charateristic of the Gungiip(宮家) built on near the 1770 in Namyangju. It has been called Gungjip since it was constructed from the timber and by carpenters sent of the government. It has a great scientic value because it is the best house constructed by carpenters of the royal palace. It help to know prototype of their excellent design skill. that is skill of work upon of colum, curvatere of ridge in roof, trust the eaves. This paper shows that this house has a different scale and form from other houses. In addition, Anchae was built with the aim of making the most use of sunlight and securing its best convenience. Sarangchae aims at serving as a cultural space for its neighbor. The house seems to reflect the carpenter' architectural viewpoints, and its building style shows its contempory people's life style.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techenial charateristics of its design result from the correlectin of colum(Ki-Sot-Um and An-Sol-Lim), curvatere of ridge in roof(Ma-Ru-Gock), and trust the eaves(Ang-Goak and An-Hu-Ri).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Namyangju Gugjip House Complex)

  • 민병욱;김미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6-100
    • /
    • 2020
  •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 '궁집'과 그 일대에 대한 복합문화시설화 계획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특히, 차후 공공에 개방될 궁집과 한옥 부속사들로 구성된 역사·문화단지의 외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 궁집은 건축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된 상태지만, 궁집과 건물군으로 구성된 단지로서 대상지는 체계적인 공간 체험에 대한 계획의 부재, 구체적인 공간프로그램의 미비, 관리되지 않은 녹지로 인한 공간의 음지화 등의 문제로 공공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안은 크게 공공공간으로서 역사경관에 대한 의미 존중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균형을 추구하였다. 기초조사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전략은 크게 궁집의 장소성 강화,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 존중 및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조화, 동시대에 적합한 공간프로그램의 제시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전체 공간에 대한 틀을 개념적으로 외원(外園), 간정(間庭), 주정(主庭), 후원(後園) 나누고 체계적인 경관 활용과 체험을 제안하였다. 본 계획안은 건축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보존하되, 궁집의 장소성에 기반한 전체 공간의 합리적 토지이용과 의미 있는 경관체험을 엮어내려는 조경적 접근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

조선후기 건축의 표준척도 운용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Standard Scale of Architec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이강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105-116
    • /
    • 2018
  • This study deals with 8-cheok(ch"), equivalent to 2.4m as the standard scale of architectural module in Korea. 8ch" of Korean module was a unique dimensions compared to other East-Asian architecture. It is inferred that it spread in Joseon Dynasty by the effects of the law which limited the size of buildings and materials according to social rank. 8ch" module was applied to the Palace architecture and the highest grade mansions rather than common and small houses. The application of 8ch" module changed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br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in terms of appearance and techniques. In addition, it developed to gain multiformity of composition by combination of other modu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