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Namyangju Gugjip House Complex

  • 민병욱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미연 (디자인스튜디오 지공)
  • 투고 : 2020.08.13
  • 심사 : 2020.10.05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 '궁집'과 그 일대에 대한 복합문화시설화 계획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특히, 차후 공공에 개방될 궁집과 한옥 부속사들로 구성된 역사·문화단지의 외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 궁집은 건축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된 상태지만, 궁집과 건물군으로 구성된 단지로서 대상지는 체계적인 공간 체험에 대한 계획의 부재, 구체적인 공간프로그램의 미비, 관리되지 않은 녹지로 인한 공간의 음지화 등의 문제로 공공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안은 크게 공공공간으로서 역사경관에 대한 의미 존중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균형을 추구하였다. 기초조사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전략은 크게 궁집의 장소성 강화,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 존중 및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조화, 동시대에 적합한 공간프로그램의 제시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전체 공간에 대한 틀을 개념적으로 외원(外園), 간정(間庭), 주정(主庭), 후원(後園) 나누고 체계적인 경관 활용과 체험을 제안하였다. 본 계획안은 건축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보존하되, 궁집의 장소성에 기반한 전체 공간의 합리적 토지이용과 의미 있는 경관체험을 엮어내려는 조경적 접근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design proposal to create a history and culture complex for the "Gungjip," an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and its surroundings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the purpose is to introduce a new design approach to a historical and cultural complex consisting of the Gungjip House and Hanok annexes to be opened to the public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lthough the architectural condition of Gungjip House is well preserved, several problems have been found in the use of the site as a public space due to the lack of a plan for systematic space experience, lack of specific spatial programs, and the too much shade due to uncontrolled green areas, etc. Therefore, the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largely sought to respect the meaning of historical landscape as a public space and to balance with the contemporary needs. The design strategies derived through basic research are to strengthen the sense of place as a cultural heritage; to respec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suggest spatial programs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needs. Based on these strategies, the framework for the entire space is conceptually composed of four spaces; Oewon, Ganjeong, Jujeong, and Huwon, and proposes systematical land use and landscape experience. The main feature of this plan is the landscape approach, which aims to preserve the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in their original form, but to create a reasonable land use and meaningful landscape experience based on the sense of plac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경자(2013). 한국 전통조경의 현대적 재해석 연구, 한국조경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3 Nov. 01: 53-54.
  2. 문화재청(2006). 문화재보호법. http://www.law.go.kr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4. 오현석(2010). 전통가옥 등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연구보고서.
  5. 문화재청(2006). 한국의 전통가옥 - 궁집, 중요민속자료(제130호) 기록화보고서: 궁집.
  6. 조중근(2010). 남양주 궁집의 공간계획 및 의장특성.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2(2): 39-48.
  7. 주남철(2003). 궁집, 일지사.
  8. 김종훈(2009). 남양주 궁집의 조영특성.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9.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517155700060
  10. 류호철(2014). 문화재 활용의 개념 확장과 활용 유형 분류체계 구축. 문화재. 47(1): 4-17.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1.4
  11.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003280343053283
  12.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00312150937202
  13. 정시춘(1989). 한국 전통 건축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통사찰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4): 91-101.
  14. 김정민, 이재근(2012). 담양 명옥헌 원림(鳴玉軒 苑林)의 경관색채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7(0): 203-218.
  15. 김진균(1994).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2): 75-83.
  16. 정우진, 심우경(2012).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30(2): 46-63.
  17. 신영훈(1983). 한국의 살림집 上, 열화당.
  18. 주남철(2000). 한국 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 김동욱(2001).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21. Vector Architects http://www.vectorarchitec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