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mi city are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구미지역의 지중온도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to Predict Underground Temperature in Gumi City)

  • 정수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7-33
    • /
    • 2002
  • In Gumi area, the heating and cooling loads for underground building could have not been correctly evaluated since there were no systems accurate underground temperature. For solving this problem two ways of predicting the underground temperature were propose. Firstly, it is to estimate the underground temperature of Gumi area by averaging out the underground temperature of the areas around Gumi city. However, the underground temperature data of the areas around Gumi city was only limited to 0.5m and 1.0m under the ground. Secondly, it is to calculate the underground temperature of Gumi area by using a periodic equation with variable about underground properties. Among these methods, the method of the average date was more correct, but the method of the variable date was more available.

구미 지역 주부들의 먹는 물과 물 환경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Drinking Water and Water Environment among Housewives in Gumi City Area)

  • 정철;박혜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1호
    • /
    • pp.73-84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구미 지역 주부들의 먹는 물과 물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주부들의 먹는 물로서의 수돗물과 수돗물 오염에 대한 생각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구미 지역 주부 20명을 대상으로 먹는 물과 물 환경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대상자들은 구미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자원으로서의 먹는 물과 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또한 대상자의 35%는 정수기로 정수된 물을 마시고, 30%는 수돗물을 끓여서 마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돗물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75%였으나, 먹는 물의 안전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주부들은 먹는 물 보전 캠페인과 능동적인 참여가 지역 사회와 연계할 때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더욱이 먹는 물과 물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먹는 물로서의 수돗물에 대한 인식이 촉진될 수 있다고 하였다.

  • PDF

대구-경북지역 광역대도시와 산업도시 환경기준 대기오염물질의 시간적 및 공간적 오염도 특성 (Temporal and Spatial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Ambient Criteria Pollutants in Metropolitan and Industrial Cities of Daegu-Gyeongbuk Area)

  • 이현철;조완근;김종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329-337
    • /
    • 2007
  •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dioxide ($NO_2$), ozone ($NO_3$) and sulfur dioxide ($SO_2$) in three cities of Daegu-Gyeongbuk Area (Daegu, Pohang, and Gumi), which have different city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over a time period of 2 years. The diurnal, weekly, monthly and seasonal concentration variations of criteria air pollutants were attributed to compounds or city types. However, the seasonal variations of $O_3$ concentrations were dependent on compounds, but not on city types. Lower $O_3$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July when comparing with other summer months. For $SO_2$ and $NO_2$,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Daegu when compared to Pohang and Gumi, while the concentrations of $O_3$ were higher in Pohang and Gumi. $SO_2$ exhibited higher levels in the morning hours, while $O_3\;and\;NO_2$ exhibited higher levels in the afternoon hours for all cities. For $O_3$, the concentrations observed during Sunday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week or weekend days. Furthermore, the monthly and seasonal concentration variations of air pollutants depended on compounds or city types. It if noteworthy that the current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consistent with several prey ious studies.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Industrial Crisis Area: Industrial Environment and Crisis Status in Gumi Region)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303
    • /
    • 2019
  • 본 연구는 구미지역을 둘러싼 산업 환경의 변화와 그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의 구미지역의 산업위기 실태를 분석하였다. 구미지역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전환, 모바일기기 및 디스플레이 업종을 비롯한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그리고 삼성과 LG그룹 등 중핵기업의 역외 이전과 같은 국제적 국가적 국지적 차원에서의 환경 변화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한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에 지역 차원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하기 위해 자동차부품, 첨단의료기기 그리고 탄소소재 산업 등의 육성을 통해 산업구조를 다각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구미지역은 여전히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모노컬쳐적이고 대기업 의존적인 산업구조에 지나치게 고착되어 있어 지역산업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지역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다. 기업차원에서는 2010년대 들어 대기업의 역외 이전이 활발해지면서 각종 환경 변화에 대한 대기업의 보호막이 축소되었다. 그 결과 영세한 중소기업들의 위기 요인들이 점차 국가적 국제적 스케일로 확대되고 보다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어 현재의 산업위기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미지역은 산업위기 극복에 있어서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의 강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차원에서 융 복합 기술에 기반한 혁신역량의 향상 및 사업다각화의 실현과 지역차원에서 기업과 산업의 자생적인 공진화를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제도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2SFCA 기반 공간적 접근성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구미시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 Based on 2SFCA : A Case Stud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Gumi City)

  • 안재성;김이배;박미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2-1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구미시를 사례로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른 2SFCA(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기반 접근성 변화의 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2SFCA는 기본인구가 증가하면 접근성이 감소하고, PPR(Provider to Population Ratio)이 증가하면 접근성이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구미시 내부의 지역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민감도 분석 과정에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미시 읍면 외곽지역처럼 노인복지시설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은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미미하였다. 둘째, 기존 노인복지시설 주변 지역은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라 접근성이 개선되거나 약화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노인인구가 많고 노인복지시설이 밀집해 있는 동 지역에서는 PPR의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크고, 나머지 지역은 기본인구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매개 변수값이 커지면 여러 곳의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구미시 중앙구역에서 전반적으로 접근성이 양호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향후, 2SFCA 기반의 접근성 분석 과정에서 매개 변수값 선택을 위한 신중한 시나리오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구미시내 긴급차량의 도달시간 산정을 위한 Network해석 (Network Analysis for Estimating Reach Time of Emergency Vehicles in Gumi City)

  • 이진덕;박민철;박희영;강소희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3-365
    • /
    • 2010
  • In this study, based on numerical map GIS-T Dataset build and by using ArcGIS Network Analysis emergency vehicle's reach time were analyzed. AutoCad using 1: 50,000 based on roads and hospitals of numerical map were creating a Polyline and Point and Network Dataset made using ArcCatalog. ArcGIS Analysis setting the interval for the period reached 3 minutes, 5 minutes, 15 minutes was set and then U-Turn was set to not allow because U-turn takes a long time to calculate and does not happen often on the real road. Intersection of the passage of time, considering that the emergency vehicles were set to 3 seconds. To expand by taking advantage of this facility on Vulnerable area will be used as base material. If we focus on analyzing the emergency activity to convert little data, To prepare for disaster and disaster will be able to use the materials.

  • PDF

국내 중소 도시지역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in Small City Urban Area)

  • 이홍신;이승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202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중소 도시지역에서 강우 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경향을 분석하고 초기강우기준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국가산업단지가 소속되어 있는 구미시 원평동의 주거지역으로 선정 되었으며 모니터링 기간은 3개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유역면적은 24.9 ha이고, 토지이용형태는 주거지역으로 대상유역의 80%가 불투수 면적(포장의 형태: 아스팔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은 총 6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모든 수질항목에 대해 EMC (Event Mean Concentration)와 SMC (Site Mean Concentration)를 산정하였다. 또한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입경크기분포의 변화와 초기세척 현상을 관찰하였는데, 입경크기분포는 10%입경($D_{0.1}$), 50%입경($D_{0.5}$, 90%입경($D_{0.9}$이 각각 9.82 ${\mu}m$, 38.99 ${\mu}m$, 159.61 ${\mu}m$로 나타났고, 초기세척 현상은 용존성 물질보다 입자성 물질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MFF_n$ (Mass first flush)을 이용하여 초기강우기준을 검토한 결과 초기우수유출수의 부피 30%에 오염물질부하량의 부피 44.4~58.5%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FF_n$과 입경크기분포는 자연형, 장치형 시설과 같은 다양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및 운전과 초기강우기준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나무심기운동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 분석 - 구미시를 사례로 - (Analysis of Changes i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ree Planting Campaign to reduce Urban Heat Island - A Case Study for Gumi, South Korea -)

  • 김경훈;김형수;권용하;박인선;정윤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27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서 전 세계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도시를 중심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룬 우리나라는 도심지역에 대해서 열섬현상, 대기 오염 등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도시 숲, 공원 조성 등의 나무심기운동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심기운동에 따른 도심지역의 녹지 증가와 식생의 생장 상태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고 이에 따른 도심지역의 지표면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미지역에 대해서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나무심기운동이 진행되기 전, 실행된 직후, 사업이 중간 정도 진행된 시점, 최종적으로 완료된 시점에 대해서 녹지면적과 식생지수, 지표면 온도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지역에 대해서 녹지면적이 각각 7.24km2, 4.93km2 증가하였고 식생지수는 0.14~0.16 증가하였으며, 지표면 온도는 0.8~1.2℃ 감소하였다. 나무심기운동은 도시의 지표면 온도를 낮추는 역할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 탄소 흡수, 녹색 휴식 공간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낙동강 중류(구미 지역)의 어류군집구조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dle of Nakdong River)

  • 서준원;금지돈;양홍준;강영훈
    • 생태와환경
    • /
    • 제37권2호통권107호
    • /
    • pp.227-235
    • /
    • 2004
  • 2001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낙동강 중류-구미지역 중심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10과 32속 39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잉어과 어류가 25종 (64.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 어류가 3종(7.7%)이었다. 한국고유종은 4과 11속 14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35.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 어종은 Micropterus salmoides (2.5%)였다. 출현종 중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36.7%), 아우점종은 끄리 (22.7%)였으며, 붕어와 여울마자가 상대풍부도 4.0${\sim}$4.3%로서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칼납자루, 왜몰개, 왕종개, 쉬리, 갈문망둑, 참중고기, 메기, 가물치는 1${\sim}$3개체만 출현하여 희소종이었다. 1990년대 중반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육식성인 끄리(O. uncirostris amurensis) 개체군의 밀도가 낙동강 중류역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분포상 주목되는 흰수마자는 하상이 주로 모래로 된 여울(유속 0.43${\sim}$o.67m $s^{-1}$)에 서식하였으며, 보호가 요망된다. 조사지역의 어류군집을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 균등도 및 우점도지수는 각각 1.008, 0.633 및 0.196으로 나타났다. 수변식물이 발달하고 다양한 서식처를 포함하는 지류부의 종다양도가 1.112로 0.787의 본류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골재채취로 인해 하천생태계가 교란된 St. 3, 11, 13, 14에서 종다양도가 0.421 ${\sim}$ 0.574로 낮게 나타났다.

유출저감을 위한 유역내 침투시설의 적용 (An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for Reducing the Runoff in the Basin)

  • 이재준;설지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3-141
    • /
    • 2011
  • 유역의 도시화는 유출총량과 첨두유량의 증가와 도달시간이 감소시키며, 홍수피해의 위험성을 더욱 크게 만든다. 침투시설은 도시유역의 유출총량과 첨두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종류에는 침투트렌치와 투수성 포장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구미시 옥계동의 $0.18km^2$와 공단동의 $0.67km^2$의 면적을 가진 도시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유역특성을 분석하고, 유출총량 및 첨두유량의 저감량을 WinSLA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첨두유량저감효과를 분석하였고, 침투시설 면적비와 유출저감률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