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ded Line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초

Cysteamine 첨가가 희소한우 OPU 및 도축난소 유래 난자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ysteamine on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from rare breed hanwoo (albino White and Black) ovum pick-up and slaughterhouse derived oocytes)

  • 김성우;김민수;김찬란;김동교;김남태;성환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1-197
    • /
    • 2016
  • Historically, Korea old cattle had been consisted with various lines of coat color brindle, black and white-brown breeds or more. The two rare lines of black and white coat color are maintained for animal resources and preserved criticall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otential usage of cysteamine supplementation during in vitro matration (IVM) and in vitro culture/production of embryo (IVP) by transvaginal ultrasound-guided follicle aspiration (Ovum Pick-Up: OPU) for the establishment of cryo-banking system. Immature slaughterhouse-derived cumulus-oocyte complexes (SL-COCs) were matured in IVM medium supplemented with 0, 0.1, 0.3 or 0.9 mM cysteamine, and then cultured in mSOF-BAS for 8 day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The treatment of 0.1 mM cysteamine on SL-COCs showed higher rate of blastocyst, so OPU-derived COCs from rare breeds were matured in TCM media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0.1 mM cysteamine, FSH and 5% FBS. The embryos were evaluated their developmental stages on day 8. During IVM, cysteamin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mbryo production rate of slaughterhouse-derived COCs (19.6% vs. 30.5%). The presence of cysteamine during IVM of OPU-derived COCs from rare Korean cattle breeds (albino white and black line) also increased embryo production rates than those from SL-COCs (27.4% vs. 41.9% and 36.4%). With these results, cysteamine treatment during IVM is one of key factors IVP of blastocysts to establish banking system of endangered rare Koarean cattle with OPU derived transferable blastocysts.

Taxifolin Inhibit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Rhee, Man-Hee;Endale, Mehari;Kamruzzaman, SM;Lee, Whi-Min;Park, Hwa-Jin;Yoo, Myung-Jo;Cho, Jae-Yo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7-155
    • /
    • 2008
  • In previous works, we found that solvent extract of Opuntia humifusa Raf., a member of the lactaceae family, displayed pote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us, all solvent fractions, except for the water layer, showed potent scavenging effects. According to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ne of active radical scavenging principles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found to be taxifoli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axifolin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In addition, taxifolin modulated nitric oxide (NO) release an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such as interleukin-$1{\beta}$ (IL-$1{\beta}$), IL-6,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and TNF-${\alpha}$. Taxifolin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ith the $IC_{50}\;of\;8.5{\pm}1.4\;and\;9.3{\pm}1.0{\mu}M$ using xanthine/xanthine oxidase (XO) assay and 2,2-Diphenyl-lpicrylhydrazyl radical (DPPH) assay, respectively. We next determined the role of taxifolin on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using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cells. Taxifolin dose-dependently inhibited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264.7. It also significantly block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mRNA in th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taxifolin pote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GM-CSF mRNA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but not that of TNF-${\alpha}$ Moreover, taxifol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activator protein -1 (AP-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xifolin may downregulate inflammatory iNOS, IL-$1{\beta}$, IL-6 and GM-CSF gene expressions through inhibition of NF-K and AP-1 activa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PDF

레버 증폭 구조의 플렉서를 이용한 공초점 현미경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Confocal Microscopy Using the Amplified Double-compound Flexure Guide)

  • 이상원;김위한;정영대;박민규;김지현;이상인;이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6-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레버 증폭 구조를 이용한 플렉서 기반의 나노 스테이지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나노 스테이지를 샘플 스테이지로 채용한 공초점현미경을 개발하였다. 2차원 이미징의 구현을 위해서, 기존의 공초점현미경은 레이저를 이미징 평면상에 스캐닝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백 나노미터의 구동정밀도를 가지는 나노 스테이지 위에 놓인 샘플을 2차원으로 스캐닝하면서 2차원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공초점현미경을 개발하였다. 플렉서 기반의 나노 스테이지는 이중 판스프링, 변위증폭 레버, PZT 엑추에이터 그리고 변위 센서로 구성 되어 있다. 스테이지의 구동 성능 해석을 위해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현미경에 사용되는 광원은 적색광 레이저이며, 레이저는 여러 광학요소를 거쳐 샘플스테이지의 샘플에 입사되고, 반사된 빛은 광센서인 PMT(Photo Multiplying Tube)로 계측되게 된다. 계측된 빛의 크기를 이용하여서 2차원 이미징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공초점 현미경으로 생쥐 귀의 피부조직을 관찰하여 현미경의 이미징 성능을 검증하였다. 설계된 샘플 스테이지는 기존의 공초점 현미경의 기계적인 Beam 스캐너를 대신함으로써 현미경의 광경로 및 전체시스템을 간소화 하였다.

Proliferative Effects of Flavan-3-ols and Propelargonidins from Rhizomes of Drynaria fortunei on MCF-7 and Osteoblastic Cells

  • Chang, Eun-Ju;Lee, Won-Jung;Cho, Sung-Hee;Choi, Sang-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620-630
    • /
    • 2003
  • The proliferative effects of thirty Oriental medicinal herbs on MCF-7 (estrogen-sensitive breast cancer cell line) and ROS 17/2.8 osteoblast-like cells were determined using the MTT assay.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herbs was found to show proliferative activity on the above two cell lines in the range of 5 to 100 $\mu$g/mL. Among these active herbs,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rhizomes of Drynaria fortunei showed the most potent proliferative activity, and the cell prolife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 by 136 and 158% in the MCF-7 and ROS 17/2.8 cells, respectively, when treated with 100 $\mu$ g/mL. Through a bioassay-guided separation, eight flavonoids, including four new flavan-3-ols and two propelargonidins, together with the known (-)-epiafzelechin and naringin, were isolated.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as (-)-epiafzelechin (1), (-)-epiafzelechin-3-O-$\beta$-D-allopyranoside (2), (-)-epiafzelechin-3-O-(6"-O-acetyl)-$\beta$-D-allopyranoside (3), 4$\beta$-carboxymethyl-(-)-epiafzelechin methyl ester (4), 4$\beta$-car-boxymethyl-(-)-epiafzelechin sodium salt (5), naringin (6), (-)-epiafzelechin-(4$\beta$\rightarrow8)-4$\beta$-car-boxymethylepiafzelechin methyl ester (7) and (-)-epiafzelechin-($4\beta\rightarrow8, 2\beta\rightarrowΟ\rightarrow7)-epiafzelechin-(4\beta\righarrow8)-epiafzelechin (8) by extensive 1D and 2D NMR spectroscopy. Most of these flavonoids, in the range of $10^{-15}∼10^{-6}$ M, accelerated the proliferation of MCF-7 cell, with compounds 7 and 8, in the range of $10^{-15}∼10^{-12}$ M, showing especially potent proliferation effects. Meanwhile, seven flavonoids, with the exception of compound 4,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ROS 17/2.8 cells in the range of $10^{-15}∼10^{-6}$ M, with compounds 5-8 especially accelerating the proliferation, in dose-dependent manners ($10^{-15}∼10^{-9}$ M), and their proliferative effect was much stronger than that of $E_2$ and geniste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pelargonidin dimers and trimers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Drynaria fortunei may be useful as potential phytoestrogens, which play important physiologic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n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 황충주;김석현;길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1-230
    • /
    • 1997
  •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기 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 에 비해 Cl III 에서 설골이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 N B, Wits 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 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 (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 와 Cl III 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 과 NSL/VER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표암(豹菴)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Content and Meaning of Royal Garden Sightseeing Event in Pyoam's 「Hogayugeumwongi」)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암의 "호가유금원기"에 담긴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료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이 친히 신하들에게 궁원을 안내하고 설명한 일을 기록한 "호가유금원기"는 한국의 조경문화사에 있어 매우 귀한 사료이다. 이러한 일은 중국은 물론 조선시대에도 전무후무한 일이다. 2. 특히 이 일을 기록한 사람이 당대에는 시 서 화 삼절로 이름이 높았고 후대에는 '예원(藝苑)의 총수(總帥)'로 평가받는 표암 강세황이라는 점은 이 사료의 가치를 더한다. 3. 이 유람 행사의 성격은 정조의 집권 초반기에 친정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규장각의 완비, 왕의 위엄을 나타내는 어진 도사 등에 기여한 근신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자리였다. 정조는 자신의 정치 이념을 실현하는데 공이 큰 근신들의 노고에 대한 은전을 베풀기 위해 궁중 내에 금단의 공간인 금원을 활용하였다. 4. 창덕궁 후원에 대한 유람 동선의 하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후원을 유람하는 동선이 고정적이지는 않았으나 이것은 이날의 가을 정취를 즐기기 위해 정조가 의도적으로 선택한 최선의 유람 동선이었을 것이다. 5. 이 행사의 특징은 격식이 없고 다소 즉흥적인 '유람'이었다. 즉 정조 치세 중반 이후에 신하들에게 베푼 '상화어조연(賞花漁釣宴)'은 꽃구경과 낚시, 시 짓기 등 행사의 개최시기와 형식, 참가자격 등의 틀을 갖춘 궁중 '연회'였음에 비해 이날의 행사는 비교적 사적이고 자유로운 '놀이(遊)'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관련 사료들의 고찰을 통해 "호가유금원기"를 쓴 전후 맥락을 비롯해 이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호가유금원기"는 귀중한 문화콘텐츠로서 추후 궁원 관람에 있어 스토리텔링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