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duration

검색결과 910건 처리시간 0.033초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 환아에서 동맥내 Urokinase 국소 주입요법의 효과 (Intraarterial Catheter-directed Urokinase Infusion for Femoral Artery Thrombosis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이형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97-1402
    • /
    • 2002
  • 목 적 : 대퇴동맥 혈전증은 하지 절단같은 극단적인 재앙뿐만 아니라 하지의 성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심도자술의 심각한 합병증이지만, 소아에서 이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저자는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에서 urokinase의 동맥내 국소 주입요법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심도자술 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으로 동아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동맥내 urokinase 국소 주입법을 이용해 혈전용해술을 받은 9명, 12례를 대상으로 하여, 병력지와 혈관조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퇴동맥을 이용한 심도자술이 행해진 391례 중 전신적 헤파린 또는 urokinase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대퇴동맥 혈전증의 발생빈도는 2.8퍼센트였다. 2) 대상 환아들의 연령은 기하평균 5.8개월(1-71개월)이었고 체중은 $8.5{\pm}4.6kg$(3.5-20.5 kg)였다. 3) Urokinase는 1,000-4,400 unit/kg/hr로 $50.6{\pm}29.2$시간(18-110시간)에 걸쳐 주입하였는데, 치료중 2례에서 환측의 천자부위로 출혈이 있었으며, 한명은 수혈이 필요했다. 심도자술후 4일 이내에 치료를 시작했던 환아들은 모두 혈전의 완전 소실을 보였다. 혈전 형성후 각각 12일과 19일째 치료를 시작했던 2례는 호전되지 않아 풍선 혈관성형술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결 론: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에서, 전신적 혈전용해제 투여로 회복되지 않으면, 반대측 대퇴동맥을 통한 국소적 동맥내 혈전용해제 투여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teomics를 이용한 콩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단백질 발현 양상 비교 분석 (Characterization of Protein Function and Differential Protein Expression in Soybean under Soaking Condition)

  • 조성우;김태선;권수정;;이철원;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4-122
    • /
    • 2015
  • 침종 기간과 침종 후 발아의 유무에 따른 단백질 발현을 이차원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양상을 확인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 침종 기간과 침종 후 발아의 유무에 따른 단백질 발현 양상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며, 주요 단백질의 발현에는 차이가 없었다. 침종 기간에 따른 품종별 단백질 발현 양상은 침종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단백질 발현정도가 점차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시품종들 중 황금콩, 단엽콩, Peking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침종 4일후에 단백질 발현정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침종 후 발아 유무에 따른 단백질 발현양상은 소수의 단백질 spot들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모든 공시 품종들에서 발아한 종자에서의 단백질 발현정도는 미발아 종자에서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씨감자 “대지” 품종의 휴면타파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 효과 (Effect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Dormancy Breaking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Dejima"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 김재성;김동희;백명화;정혁;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1
    • /
    • 2001
  • 저선량 ${\gamma}$선 조사가 기내 유기한 감자 소괴경에서 생산한 "대지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품종 씨감자의 맹아발생과 포장에서의 생육과 수량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저온 저장한 감자 괴경에 ${\gamma}$선을 $0.5{\sim}30$ Gy 까지 조사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선량 ${\gamma}$선 조사한 감자 괴경의 맹아 출현율은 저장 기간에 관계없이 대체로 1 Gy와 2 Gy 조사구에서 높았고 맹아 길이는 2 Gy와 4 Gy 조사구에서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맹아수에서는 15일 저장구의 4, 8, 16 Gy 조사구에서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였다. 포장생육에서는 45일 저장구가 모든 선량에서 유의성있는 생육 및 수량 증가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4 Gy 조사구에서 뚜렷한 증가효과를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저선량 조사와 생육에 따라 어떠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catalase는 모든 저선량 조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peroxidase는 생육이 양호하였던 45일 저장구의 4 Gy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다.

  • PDF

액아배양에 의한 유묘 및 성숙 히어리나무의 기내번식 (Micropropagation of Juvenile and Mature Tree of Corylopsis coreana by Axillary Bud Culture)

  • 문흥규;노은운;하유미;심경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17-121
    • /
    • 2002
  • 히어리나무 1년생 및 10년생을 재료로 액아배양을 통한 기내번식을 시험하였다. 줄기의 증식은 zeatin과 BA의 공조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MS배지에 zeatin 0.5∼3.0 mg/L, 0.2 mg/L BA 처리시 주효하였다. 1년생이 10년생보다 전반적으로 증식 및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배양 6개월 후에는 10년생에서도 매월 절편 당 3개의 줄기유도가 가능하였다. 기내 줄기의 발근은 1년생은 97%, 10년생은 62%를 나타내었고, 토양이식시 1 년생 유래 배양묘는 67%, 10년생은 48%생존되어 모수령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본 실험결과 히어리나무의 액아배양으로 유시, 성숙목의 대량번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나 선발개체의 효율적인 기내번식을 위해서는 재유령화의 기술개발과 토양순화율을 증진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줄넘기와 스위스볼 운동이 취학 전 유아의 골형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ope Jumping and Swiss Ball Exercise on Young Children's Bone Formation Markers)

  • 김태운;이경희;전재영;정성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116
    • /
    • 2009
  •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12주간 줄넘기운동과 스위스 볼 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체조성의 변화 각 집단 내 운동 효과에 대한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산장, 체중,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시기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스테오칼신 각 집단 내 운동 효과에 대한 오스테오칼신의 변화에서 운동군은 남아, 여아 모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대조군은 여아의 경우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시기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각 집단 내 운동효과에 대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변화에서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기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줄넘기 및 스위스 볼 운동이 취학전 유아의 시기에 따른 집단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내지 못했지만 집단 내 변화에서 대조군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변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골량의 형성기인 유아들에게 줄넘기 및 스위스 볼 운동의 적용이 발율 향상과 골 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오스테오칼신 농도의 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운동강도와 운동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가 요구된다.

경기.강원 지역의 전통발효 청국장으로부터 Bacillus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분석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p. from the Traditionally fermented Cheonggukjangs in the Gyeonggi and the Gangwon Provinces)

  • 이남근;전은희;이효진;조일재;함영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76-28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경기(용인, 안성, 광주) 및 강원지역(오대산)에서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을 수집하여 지역별 발효 균주들의 동정과 특성분석 및 당 발효능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청국장에서 22종류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DNA의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대부분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경기지역의 주요 발효 균주는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 강원 지역은 B.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으며, 일반적인 생장 특성은 $5{\sim}7$시간의 유도기를 지나 $23{\sim}40$시간 이후에 휴지기로 접어들었다. 휴지기에 접어든 분리 균주들의 최대 생장 총 균수는 $1{\times}10^6\;CFU/ml$$5{\times}10^7\;CFU/ml$ 사이에 있었다. 균주들 간 당 발효능의 차이에 있어서 용인 지역은 D-xylose, xylitol, D-tagatose, Methyl-$\alpha$-D-mannopyranoside가, 안성은 D-lactose, D-tagatose, D-xylose, Methyl-$\alpha$-D-mannopyranoside, amygdalin, arbutin, esculin, 2-keto-gluconate가, 광주는 L-rhamnose, inositol, D-mannitol, D-sorbitol, celibiose, gluconate가, 그리고 오대산은 D-lactose에서 좋은 당 발효능을 보였다.

낙엽송(Larix kaempferi) 현탁배양된 배발생세포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를 위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효과 (Effect of kinds and concentrations of osmoticum on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from suspended embryogenic cell in Larix kaempferi)

  • 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41-146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 배발생세포의 배양기간에 따른 현탁세포의 생장,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를 위한 다양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발생 현탁세포의 생장은 배양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settled cells volume (SCV)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배양 18일 경에는 최대 10.1 ml의 SCV를 보였고, 그 이후로는 세포생장이 감소하였다. 현탁세포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효과 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2 M sucrose 처리구에서 352.3개(/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203.7) 및 0.3 M maltose (193.7) 처리구에서 또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7.5% polyethylene glycol (PEG)이 첨가된 0.15 M sucrose 혹은 maltose 각각의 처리구에서는 체세포배 발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양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 비교에서는 최대 자엽 형성율(25.2%) 0.3 M maltose, 하배축 형성률(39%), 뿌리 발생율(30.3%) 및 식물체 재분화율(3.5%)은 0.2 M sucrose 처리구에서 각각 나타났다.

생장지역에 따른 소나무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Cambium Activity of Pine Trees at Different Growth Sites)

  • 박소연;엄창득;서정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11-420
    • /
    • 2015
  • 동일 수종이라도 생장지역과 영급에 따라 수형 또는 재질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차이는 형성층 활동에 따른 목부세포의 양과 질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게 된다. 본 연구는 소광리와 안면도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여 소나무 목재의 재질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형성층 활동 분석 결과, 소광리 5영급 임분은 목재세포 분열을 4월 중순에 시작하였으며, 안면도는 5영급과 9영급 모두에서 4월 초에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경우는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으로 조사되었다. 형성층에서 세포분열이 종료되는 시기는 소광리 9영급을 제외하고 소광리와 안면도 모두 10월 중순부터 10월 말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형성층 내 세포분열 종료는 10월 초였다. 형성층의 계절별 활동을 조사한 결과, 소광리의 형성층 분열기간이 안면도보다 짧게 나타났다. 반면, 소광리 소나무의 형성층으로부터 분열된 세포 수는 안면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지구엽초 실생 및 지하경번식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ling and Rhizome Propagation in Epimedium koreanum NAKAI)

  • 노준현;김영진;최강준;김세원;김승경;김종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5-160
    • /
    • 2003
  • 삼지구엽초는 그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생지의 무분별한 채취로 멸종위기에 있으나 이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보존과 작물화를 위해 실생 및 지하경번식 특성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번식 체계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삼지구엽초의 삭과는 개화 후 40일 가량 성숙된 후에 낙과되며, 낙과시 미성숙배를 가진 종자이었으며 종자는 250일 이상 노천매장하여 파종할 경우 발아온도 $20^{\circ}C$에서 출아일수가 8일이었고 신근장은 0.46 cm이었다. 2. 삼지구엽초의 생장은 근삽 후 60일까지는 지상부의 생장이 이루어지고, 그 이후는 지하부가 생장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근삽에 적합한 유기물 시용량은 우분 발효퇴비 2,000 kg/10a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3. 유기물 종류와 시용수준에 따른 icariin 함량은 부엽토 3,000 kg/10a 시용시 자생지와 유사한 생육을 보였으나, 유기물 시용 확보 면에서 우분 발효퇴비 시용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4. 근삽묘의 성묘율 향상을 위하여는 모래와 펄라이트를 각각 50% 혼용하는 것이 밭흙보다 유리하였고 화학비료를 시용할 경우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생육이 불량하여 성묘율이 감소하였다 5. 양액을 이용한 근삽 시 ${\frac{1}{2}}$원시액에 팽화왕겨 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Comparison of Vertical Axillary Minithoracotomy and Median Sternotomy

  • Poyrazoglu, Huseyin Hakan;Avsar, Mustafa Kemal;Demir, Serafettin;Karakaya, Zeynep;Guler, Tayfun;Tor, Fund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340-345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whether or not the method of right vertical axillary minithoracotomy (RVAM) is preferable to and as reliable as conventional sternotomy surgery, and also assesses its cosmetic results.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7 males, 26 females) with atrial septal defect were admitted to the Cardiovascular Surgery Clinic of Cukurova University from December 2005 until January 2010.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3 to 22. Patients who underwent vertical axillary minithracotomy were assigned to group I, and those undergoing conventional sternotomy, to group II. Group I and group II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riables. Group I included 12 females and 4 males with an average age of $16.5{\pm}9.7$. Group II comprised 14 female and 3 male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18.5{\pm}9.8$ showing similar features and pathologies. The cases were in Class I-II according to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ification, and patients with other cardiac and systemic problems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The ratio of the systemic blood flow to the pulmonary blood flow (Qp/Qs) was $1.8{\pm}0.2$. The average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35{\pm}10$ mmHg. Following the diagnosis, performing elective surgery was plann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average time of the patients' extraportal circulation, cross-clamp and surgery (p>0.05).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of the cases,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the drainage volume in the first 24 hours, and the hospitalization tim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ere similar (p>0.05). Postoperative pains were evaluated together with narcotic analgesics taken intravenously or orally. While 7 cases (43.7%) in group I needed postoperative analgesics, 12 cases (70.6%) in group II needed them. No mortality or major morbidity has occurred in the patients. The incision style and sizes in all of the patients undergoing RVAM were preserved as they were at the beginning. Furthermore, the patients of group I were mobilized more quickly than the patients of group II. The patients of group I were quite pleased with the psychological and cosmetic results. No residual defects have been foun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nd after the end of the follow-up periods. All of the patients achieved functional capacity per NYHA. No deformation of breast growth has been detected during 18 months of follow-up for the group I patients, who underwent RVAM. Conclusion: To conclude, the repair of atrial septal defect by RVAM, apart from the limited working zone for the surgeon in these pathologies as compared to sternotomymay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outcomes, and early and late complications. And this has accounted for less need of analgesics and better cosmetic results in recent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