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Narrativ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웹툰 <미생>의 드라마 <미생>으로의 재매개- (A Case Study of Cross-Media Storytelling : Remediation of Webtoon to Drama Series )

  • 김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30-140
    • /
    • 2015
  • 미디어 플랫폼이 증가하고 콘텐츠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공한 콘텐츠를 다른 미디어 장르로 재매개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웹툰이 원천 콘텐츠(source genre)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웹툰 <미생>이 TV드라마로 재매개 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서사가 확장되고 개조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변형을 불러온 미디어의 특성과 수용자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특정 대상층을 목표로 하는 웹툰 <미생>이 바둑의 기보를 바탕으로 종합상사 비정규직 계약사원을 중심으로 직장인의 삶과 애환을 담담하게 그려냈다면, 보다 폭넓은 시청자를 확보해야 하는 TV드라마에서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의 애환', '직장내 성차별과 성희롱', '워킹맘의 애환' '신입 동기들간의 로맨스' 등 대중적 서사를 강화한 '확장'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 극적 재미를 위해 명확히 선악이 구분되는 인물 구도를 통한 갈등의 고조, 휴머니즘과 희극성의 강화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사용하였다.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637-649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서울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총 82명의 학생들이었으며, 실험군이 52명, 대조군이 3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으로 수행하였다. 부모의 자서전은 프롤로그,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에필로그로 구성하였다. 자서전의 각 장은 부모의 주요 사건을 기술하는 성장서사 부분과 대필자의 느낌을 기술하는 성찰서사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관계를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 존경 요인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엄격 요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애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동청소년기에 아버지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상담자의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f a Counselor's Experience of Violence from Father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

  • 송정애;박유범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79-85
    • /
    • 2023
  • 본 연구는 아동 청소년기에 아버지로부터 받은 가정 폭력 경험이 한 상담자의 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삶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 왔는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이 상담자의 삶의 연구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다른 내담자에게 긍정적 효과로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접과 관찰을 통해 대상자를 이해하고,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동 청소년기에 경험한 가정 폭력이 한 사람의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극복'을 통해 '폭력'의 부정적인 삶을 '상담사'가 되는 긍정적인 삶으로 재구성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은 한 사람의 생애사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보는 시각과 성장과 성숙의 기회로 삼는 의미를 부여했다.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by the N-po Generation)

  • 서연주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1호
    • /
    • pp.55-85
    • /
    • 2019
  • 본고에서는 한국의 N포세대가 그려지는 사회적 맥락을 최근의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의 풍속도를 분석해 보고 대중매체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전 지구적인 청년실업과 삶의 양극화, 불안정성, 성과사회의 각박한 현실에 혼밥하는 것으로 잉여자가 된 자신을 위무하며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하는 N포세대의 내면에 주목하게 되었고(드라마 <혼술남녀>, <식샤를 합시다>), 주거고민이 결혼 기피로까지 이어지는 N포세대가 추구하는 '합류적 사랑'의 경향을 엿볼 수 있었다.(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영화 <소공녀>)는 문화적 감수성의 새로운 세대 출현이 진행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진정성 있는 삶에 대한 성찰을 던져주었다. 드라마 <청춘시대>는 청년 실업, 비정규직, 파편화된 가족, 데이트 폭력 등을 비중있게 다루면서 타인의 상처에 대해 공감하고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실천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감정공동체의 성장담으로 그려졌다. 살펴본 작품들은 지금 한국사회가 숙고해야 할 문제는 결국 생존 자체를 넘어선 사람답게 사는 것, 사람됨의 조건을 찾아가는 것이란 성찰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공공성이다. 때문에 세대별 갈등이 촉발될 수밖에 없는 현실 가운데 공감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대중매체의 감수성 훈련이 긴요해진다. 이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공론화하는 것이 또한 대중매체의 책무가 아닐까 한다.

영화 <버닝>과 윤리적 주체 (Burning and The Ethical Subject)

  • 곽한주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7-144
    • /
    • 2020
  • 영화 <버닝>(이창동, 2018)은 정교한 서사를 섬세한 영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서 근래 가장 주목받은 한국영화 중 한 편이다. 이 영화는 서로 다른 유형의 인물들이 등장하고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욕망이 뒤얽히는 다성성의 텍스트여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텍스트이다. 이 글은 이 영화가 현대 한국 청년의 현실이라는 특정한 사회역사적 조건을 넘어서는 보편적이면서도 중대한 윤리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해 <버닝>을 주인공 종수를 중심으로 하는 윤리적 담론으로 읽으려 한다. 종수가 처하는 상황과 이에 대한 그의 반응을 무엇보다도 종수의 윤리적 각성과 도약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종수는 현재를 사는 대한민국 비정규직 젊은 남성이라고 요약될 수 있는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서 해미와 벤을 만나고 관계 맺으며 세상의 미스터리를 접하고 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영화가 촘촘히 보여주는 그의 궤적은 문예창작학과 출신 흙수저 청년의 혼란과 좌절이라는 사회역사적인 차원과 가족해체의 현실과 연인의 갑작스런 실종이라는 개인 심리적 차원이 필연적으로 교차한다. <버닝>은 종수가 비우호적인 조건, 즉 프레카리아트 청년의 처지, 현실 인식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직면하고 미스터리를 탐구하면서 '함께 삶'을 지향하는 윤리적 주체로 우뚝 서는 과정을 그린 감동적인 스토리로 읽힌다. 이 과정은 종수의 고통스런 성장담으로서 무기력했던 비정규직 배달노동자였던 종수가 '작가'가 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버닝>은 자신에게 비우호적인 현실 속에서 혼란스러워 하고 무기력했던 청년이 타자들과의 만남을 겪은 뒤 나름대로 타자들과 세상을 파악하며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실천하는 윤리적 주체로 일어서는 과정을 그리며, 윤리적 사유를 자극하는 텍스트이다.

예능프로그램의 부캐릭터 전략 연구 - <놀면 뭐하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y of Sub-Character in Entertainment Programs )

  • 이의정;이종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09-716
    • /
    • 2021
  • The current trend of entertainment programs is an "Sub-character."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strategies were chosen, considering the entertainment program "Hang Out With Yoo" as the beginning and front-runner of craze for Sub-charact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duced: implementation of trendy characters, aggressive acceptance of growth narrative and expansion of episod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n entertainment program depends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differentiated characters. At this point in time when Sub-characters are continuously developed,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sented the strategies for Sub-characters reflecting the demand of audience.

James Joyce's 'The Dead' Revisited

  • Kim, Donguk
    • 영어영문학
    • /
    • 제55권3호
    • /
    • pp.429-440
    • /
    • 2009
  • This paper does not follow the well-known critical practice of Charles Perke, Edward Brandabur and Phillip Herring who, regarding The Dead, James Joyce s earliest masterpiece, as the conclusion of Dubliners, classify Gabriel as one of the dead. Instead it concurs with such critics as William York Tindal, Kenneth Burke and Allen Tate who, interpreting The Dead as a story of Gabriel s spiritual maturation, discuss the famous snow vision at the end of the story as a signifier of his rebirth experience. A new reading of The Dead, which is the aim of this paper, examines the very processes which produce both form and content, thereby demonstrating that The Dead is a story of Gabriel s spiritual growth and that the supreme snow vision is prepared for his spirit which progresses towards a richer synthesis of life and death, a higher altitude of flight and wider horizons.

Dienogest in endometriosis treatment: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 Joowon Lee;Hyeon Ji Park;Kyong Wook Y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4호
    • /
    • pp.223-229
    • /
    • 2023
  • Endometriosis is characterized by the implantation of endometrial cells outside the uterus. This hormone-dependent disease is highly prevalent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Clinical symptoms of endometriosis include dysmenorrhea, pelvic pain, and infertility, which can negatively impac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ose affected. The medical treatment of endometriosis serves as an important therapeutic option, aimed at alleviating pain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and suppressing the growth of endometriotic lesions. As such, it is employed as an adjuvant therapy following surgery or an empirical treatment after the clinical diagnosis of endometriosis. Dienogest, a fourth-generation progestin, has received approval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in many countries. A growing body of evidence has demonstrated its efficacy in managing endometriosis-associated pain, preventing symptoms, and reducing lesion recurrence. In this review, we examine the clinical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of dienogest in treating endometriosis. We also provide updated findings, drawing from clinical studies that focus on the long-term use of this medication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hat is the disease burden from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a narrative review

  • Eun Byoul L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1권3호
    • /
    • pp.150-157
    • /
    • 2024
  •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has increased and exacerbated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both in Korea and globally.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poses significant risks for premature morbidity and mortality. The development of serious comorbidities depends not only on the duration of obesity but also on the age of onset.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ffects almost all organ systems, including the endocrine, cardiovascular, gastrointestinal, reproductive, nervous, and immune systems.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ffects growth, cognitive function, and psychosocial interactions during development, in addition to aggravating known adult comorbidities such as type 2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dyslip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ancer.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are highly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he risk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n later life can be considerably decreased by even a small weight loss before the onset of puberty.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s a disease that requires treatment and is associated with many comorbidities and disease burdens. Therefore, early detec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re crucial.

Effective and appropriate use of weight loss medication in pediatric obesity: a narrative review

  • Yoojin Lindsey Chu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1권3호
    • /
    • pp.158-165
    • /
    • 2024
  •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re has been a notabl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pediatric obesity, which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Children who are obese have a greater risk of type 2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emia, polycystic ovary syndrome, obstructive sleep apnea, and adult obesity. Lifestyle modification therapy is typically the initial approach to treat pediatric obesity. For patients who do not achieve success with lifestyle modification therapy alone, pharmacotherapy is the next logical treatment option. When selecting an anti-obesity medication (AOM), it is essential to first ascertain the medical background of the patient, including current medications and obesity-associated comorbidities. Evaluation of obesity phenotypes in patients may also be beneficial. AOMs for pediatric obesity include metformin, orlistat, glucagon-like peptide 1 agonists, phentermine, and the phentermine/topiramate combination. Sufficient lifestyle modification therapy should be administered before considering pharmacotherapy and continued after the initiation of AOM. To ensure healthy development, monitoring growth and puberty development during anti-obesity treatments is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