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Buying Social Commer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온라인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Intention to Use for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 Focused on Chinese Users)

  • 방영영;김현모;박주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7-146
    • /
    • 2017
  • The convergence of e-commerce and social media have given rise to a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is a subset of B2C (Business to Consumer) and uses social media for marketing to facilitate online buying of products and services. The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offers new and popular products or services every day, and uses social media to bring together separated consumers. In these backgrounds, we think that personality trait associated with seeking new and popular products or services, and social influence from social media are likely to be related to intention to use in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novelty seeking and social influence that influence intention to use in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in China. Our research model, which included novelty seeking and social influen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ample of 218 users showed that novelty seek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use, and social influ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We suggested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our empirical research.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에서 희소성메시지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carcity Message on Customer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Group-Buying Social Commerce)

  • 최수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1호
    • /
    • pp.97-117
    • /
    • 2016
  • Drawing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ustomer value-satisfaction-loyalty, this study examines how scarcity message influences customers'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context of group-buying social commerce.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scarcity message limiting the avilability of products and service is a source of enhancing customer value. In this regard, this study posits scarcity message as a predictor of customer value. Furthermore, this study classifies customer value into two forms (i.e.,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and verfies how scarcity message is associated with them.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is study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es, using a total of 292 data collected on users who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 through group-buying social commerce sites such as Coupang, Timon, and WeMakePrice.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scarcity message increases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and further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utilitarian value increas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hile hedonic value has nothing to do with them. The findings imply that customers seek to maximize utilitarian value through group-buying social commerce. Finally, this study indicates that repuchase intention depends greatly on customer satisfaction.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와 프라이빗 쇼핑몰을 이용하여 패션/뷰티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쇼핑 가치 (Shopping Value of the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Beauty Products Using Group Buying Social Commerce and Private Shopping Malls)

  • 서상우;조윤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74
    • /
    • 2014
  • This study performs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shopping value of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beauty products using group buying social commerce among the types of social commerce and private shopping malls. We provide basic knowledge on consumer behavior using social commerce newly appeared as shopping channels. For the method,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designing a sequential integration method of conducting quantitative verification after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multiple shopping values have been shown as the common shopping values of consumers using two types of shopping malls. The dimensions are price, quality, convenience, interaction, information, reliability, hedonic and impulse buying values. A total of eight sub-dimensions have appeared due to performing quantitative verification on the shopping value of group buying social commerce. The dimensions are same as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shopping value of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beauty products using private shopping malls has been classified into seven dimensions (except interaction value).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구매행동 연구 - 쇼핑가치, 태도, 구매의도, 의복관여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uying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in the Group Buying Type of Social Commerce - Focused on Shopping Value,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Clothing Involvement -)

  • 조윤진;서상우
    • 복식
    • /
    • 제62권8호
    • /
    • pp.134-148
    • /
    • 2012
  • Social commerce is not only a new form of shopping mall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but also a new form of media as it gets combined with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lothing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in the group-buying type of social commerce. A specialized Internet survey company carried out the survey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ith experience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using group-buying type of social commerce.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2.0 and AMOS 1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versity/informativeness, impulse/accumulation, price, convenience, reliability, interaction, and adventure were identified as shopping value dimensions. Second, especially in cases of diversity/informativeness, price, and inter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group and the low involvement group. Third, five of the categories, which were diversity/informativeness, price, convenience, reliability, and inter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the attitude variable was included with shopping value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regression model to predict purchase intention, the attitude variable presented a full mediating effect or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hopping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lso, the relationship among shopping valu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as different to some degre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sumer clothing involvement.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s and Impulsivity on Customers' Rational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Group-buying Social Commerce

  • Sujeong Choi;Min Qu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2호
    • /
    • pp.342-366
    • /
    • 2023
  •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e customer value - customer satisfaction - customer loyalty framework by introducing key constructs of scarcity messages as a major environmental stimulus and the urge to buy impulsively as its response in the context of group-buying social commerce, across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Chin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that scarcity messages influence customers' value perception (i.e.,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and thereby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further customer loyalty. Moreover, the study suggests that scarcity messages and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arouse the urge to buy impulsively. In the Korean sample, the results show that scarcity messages increase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as well as the urge to buy impulsively, which in turn leads to customers' satisfaction and further loyalty. Besides, customer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utilitarian value, not hedonic value. In the Chinese sample, utilitarian value-related relationships are in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scarcity messages only influence hedonic value which increases the urge to buy impulsively. Besides, customer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but not by the urge to buy impulsively.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쇼핑습관을 조절변수로 (Study on Chinese Repurchase Intention of Group-buying Social Commerce:The Moderating Role of Shopping Habit)

  • 천슈앙;이경락;이상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69-181
    • /
    • 2017
  • 본 연구는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 이용자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최근 중국에서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를 이용해 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396부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AMOS 2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 만족, 신뢰는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영향강도는 만족, 신뢰, 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과 정보품질은 가치, 만족 및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습관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 중에서 쇼핑습관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가치가 재구매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고 쇼핑습관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신뢰와 만족이 재구매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도 제시되었다.

인터랙티브 의식 체인 이론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생방송 연구 (Research on E-commerce Live Broadcast Based on Interaction Ritual Chain Theory)

  • 탕샤오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5-21
    • /
    • 2020
  • 전자상거래 생방송은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서 점차 유행하고 있는 새로운 온라인 쇼핑 방식이다. 생방송 기술에 의해 탄생한 전자상거래 생방송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생방송을 보고 온라인 인터랙티브에 참여함으로써 구매 집단으로 응집되어 인터랙티브에서 안정적인 감정 에너지를 얻게 된다. 미시적 사회학적 시각에 기초하여 정서적 에너지 개념을 결합하고 인터랙티브 의식 체인 모델에 의해 전자상거래 생방송의 의식 구성요소를 볼 수 있으며, 어떻게 개인이 사회적 인터랙티브에서 구매 집단으로 뭉칠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인터랙티브 의식 이론에 대해 학계는 심도 있는 탐구를 하여 인터랙티브 의식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려 하였다. 하지만 전자상거래 생방송의 인터렉티브 의식 이론에 대한 해석이 아직 문헌자료가 되지 않았는데, 저는 생방송 상황 중의 인터랙티브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인터랙티브 의식 이론으로 이 현상을 관찰한 다음에 전자 상거래 생방송 그룹의 인터렉티브 의식 체인 모델을 제시한다.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의 정보구성요소 -상품, 가격, 서비스, 판매원 정보를 중심으로- (Information Components of Social Commerce Websites -Focusing on Product, Price, Service, and Seller Information-)

  • 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69-38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커머스의 정보구성요소를 상품정보, 가격정보, 서비스정보, 판매원정보로 나누고 각 요소를 체계화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였고,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에서 100개 페이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상품정보에서 정면사진 제시, 소재구성정보, 원산지, 관리, 색상, 사이즈 등 기본정보는 대부분 제시되었으나, 후면/옆면사진, 스와치, 스타일이나 소재 설명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가격정보에서는 소셜커머스의 제약조건과 관련된 할인율, 할인판매마감시간, 제한된 상품보유량, 판매제품개수 등은 강조되어 제시되었다. 서비스정보는 배송예정일, 배송사, 상품문의서비스, 교환/반품서비스가 대부분 제시되었다. 판매원정보는 브랜드로고나 브랜드네임은 다수 제시되었으나 구체적인 브랜드 컨셉, 역사, 규모에 대한 정보의 보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정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에서 신뢰메커니즘형성을 위한 머천다이저의 피드백코멘트와 성과프로파일의 역할 (The Role of Merchandiser Feedback Comments and Performance Profiles in Building Trust in Group Buying Sites)

  • 박종필;임혜미;손재열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5
    • /
    • 2014
  • 소셜미디어(social media) 플랫폼의 인기와 성공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소셜커머스를 창출하게 되었다. 공동구매를 통해 파격적인 가격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커머스 시장은 계속적으로 주목할 만한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의 이면에 소비자들의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왜냐하면, 구입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제와는 다르거나, 불합리한 환불정책 등으로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근원적인 이유는, 소셜커머스 마켓에서 소비자들이 의존할 만한 신뢰형성메커니즘이 제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e-마켓플레이스에서는 판매자(seller)에 대한 구매자의 평가정보가 일종의 신뢰형성메커니즘을 제공하여 거래의 안정성이 보장되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마켓에서 소비자들에게 물건이나 서비스 정보제공에 있어서 일종의 큐레이터 역할을 하는 MD(merchandiser)의 역할에 주목하고, 신뢰형성메커니즘을 기반으로 MD에 대한 피드백코멘트와 MD의 실적프로파일 정보의 제공이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124명의 참가자가 실험실(laboratory experiment)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분석결과, MD에 대한 피드백코멘트와 실적프로파일이 소셜커머스 거래에서 신뢰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시각화 분석 -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를 중심으로 - (A Visual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Re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 Focused on Group-buying Social Commerce -)

  • 문성민;한현우;하효지;이경원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37-152
    • /
    • 2014
  • 소셜커머스 업체 간의 과열된 경쟁을 고려해 볼 때, 소셜커머스 기업이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 소비자들이 소셜커머스 서비스의 어떤 부분은 중요시 여기며, 소비자와 업체 간의 관계가 지속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되는지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이용 동기 요인을 경제성, 편의성, 정보획득, 쾌락성, 사회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요인과 재이용의도 사이에 매개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만족도를 설정하여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통계분석에서 도출해 내지 못한 유의미한 결과도 도출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과 시각적 분석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은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이용 중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과 시각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만족도 요인은 재이용의도 요인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결과와 5가지 이용 동기 요인 중에서는 경제성이 가장 정(正)의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과 시각적 분석을 병행하여 진행할 경우 데이터 간의 관계 파악이 용이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