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based observation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7초

뒤채움재의 물성과 지반의 강성에 따른 석축 문화재의 구조 안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of masonry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fill material and the stiffness of the ground)

  • 이가윤;이성민;김재영;이기학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53-63
    • /
    • 2024
  • The cultural heritage of fortresses is often exposed to external elements, leading to significant damage from stone weathering and natural disaster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ultural heritag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are often impractical. Therefore, the stability of fortress cultural heritage was evaluated through non-destructive testing. The durability of masonry cultural heritag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ck-fille material. Dynamic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and endoscopy was used to inspect internal fillings. Additionally,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ground through elastic wave explor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oss of internal fillings in the target cultural heritage site could lead to further deformation in the future, emphasizing the need for careful observation.

천리안 위성의 일사량 검증: 설마천, 청미천 (Assessment of Solar Insolation from COMS: Sulma and Cheongmi Watersheds)

  • 백종진;변규현;김동균;최민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7-149
    • /
    • 2013
  • 표면도달일사량은 태양과 지구에너지시스템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며, 대기-지표면의 흐름, 농업 생산량, 태양발전에 필요한 에너지 연구 등과 같은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대부분의 태양에너지는 지상관측지점에서 관측하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공간적인 분포를 판단하기에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반해 인공위성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은 지속적인 자료 제공과 더불어 광역범위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MS 위성자료 중 표면도달일사량 (Solar Insolation, INS)의 정확성 판단하기 위해 플럭스 타워에서 측정된 지점 자료와의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30분 간격의 자료와 일평균의 자료에서 높은 상관계수를 보임에 따라 천리안 위성자료의 한반도 적용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내부표정의 자동화를 위한 영역중심 영상정합기법 적용 (Application of Area Based Matching for the Automation of Interior Orientation)

  • 유복모;염재홍;김원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1-330
    • /
    • 1999
  • 본 연구는 수치사진측량학과 전산기 시각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발전하고 있는 영상정합기법을 적용하여 사진지표의 관측과 위치결정을 자동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자동화과정에서 주된 문제점은 계산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시간을 최소화하고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캐닝과정과 기준점의 절대적인 위치를 구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영상 정합기법과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내부표정 과정을 자동화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서 개발된 체계를 근거리사진측량에 의한 결과를 적용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한 결과 최대 54%까지 계산시간이 절감되었다. 내부표정과정동안 사진지표의 관측에 대해서, Laplacian of Gaussian 변환과 휴 변환을 각각 영상의 중심점의 정확한 결정을 위하여 적용하였으며, 상관계수영상정합과 최소제곱 영상정합기법을 사진지표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영상피라미드의 개념을 사진지표의 자동 관측과정에 적용하여 계산시간을 절감할 수 있었다.

  • PDF

혼돈이론을 응용한 예망어구에 대한 어류반응 행동모델의 수중현상 시각화 (Underwater Visualization for Fish Behaviour Model in the Towed Fisheries using Chaos Theory)

  • 박명철;김용해;하석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645-653
    • /
    • 2004
  • 수중 어류의 행동이나 현상을 예측하여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어류의 탐지와 어류반응행동의 파악이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수중이라는 다변적인 환경요인이 현장 계측을 매우 어렵게 하거나 어류의 행동이 비선형적으로 복잡하고 혼돈스러우므로 기존의 단순한 그래픽처리는 실제 수중현상간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해왔던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매우 복잡 다양한 어류행동반응의 패턴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혼돈이론을 응용한 어류반응행동 모델을 이용하여 시각화 도구를 제안함으로써 수중의 어류이동현상을 예측하거나 평가, 또는 보다 더 정확히 분석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게 구현하였다. 아울러, 어탐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반응에 따르는 어류의 탐지상황도 제공하였다. 제안된 시각화 도구를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계측된 어류의 이동 정보와 비교한 결과, 제안된 시각화 도구는 사실성 높은 어류 행동과 시각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원격모니터링을 이용한 연속파랑관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inuous long-term Wave Observation using Remote Monitoring System)

  • 신범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54-6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연안 환경에 대한 대표적인 지상 원격 관측 기기인 Ocean Radar를 이용하여 장기파랑관측을 수행하였다. 지상에 설치한 기기로부터 이루어지는 원격 관측은 소수의 현장 기기 개수로는 관측할 수 없는 넓은 범위의 해역을 통시에 관측할 수 있고 또한 높은 빈도의 지속적인 관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장기관측을 위한 Ocean Radar는 과거 지진해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한 한국 동해안의 삼척지역에 대해 장기관측을 수행하였으며, 원격관측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압식 파고계를 설치하여 각각의 조사자료를 비교하였다. 원격파랑관측은 연구대상해역 전면에 독일 Helzel사에서 개발된 Array type의 HF-RADAR인 WERA (WavE RAdar)를 2개소에 설치하여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장기간 연속된 관측된 자료의 취득률을 분석해본 결과, Ocean Radar 가 설치된 두 Site의 중심에서 약 24km이며, 약 27km의 범위 내에서는 Wave 자료가 90% 이상 취득되었으며, 시계열로 분석한 결과, 결측된 시간이 전체 계측기간의 1% 미만이다. 직접관측방식인 수압식 파고계와 관측자료를 비교한 결과, RMS 편차는 20cm 이내이며, 상관계수가 0.84 ~ 0.87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금회적용한 Ocean Radar는 기존의 파랑 계측 장비를 대체하여 장기간 면적 파랑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문기상 데이터 세트를 이용한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의 토양수분·증발산량 산출 (Calculation of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for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Set)

  • 박광하;이경태;계창우;유완식;황의호;강도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5-8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LIS(Land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구축된 K-LIS(Korea-Land surface Information System)의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를 사용하여 남한 전역을 대상으로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을 산출하였다. K-LIS를 구동하고, KLDAS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된 수문기상 데이터 세트는 MERRA-2(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GDAS(Global Data Assimilation System) 그리고 종관기상관측(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자료이다. ASOS는 지점 자료이므로 KLDAS에 적용하기 위해 0.125°의 공간해상도를 가진 격자형 자료로 변환하였다(ASOS-S, ASOS-Spatial). KLDAS에 적용된 수문기상 데이터 세트를 지상관측자료(ASOS)와 비교한 결과 ASOS-S, MERRA-2, GDAS의 R2 평균은 각각 온도(0.994, 0.967, 0.975), 기압(0.995, 0.940, 0.942), 습도(0.993, 0.895, 0.915), 강우량(0.897, 0.682, 0.695)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양수분의 R2 평균은 ASOS-S(0.493), MERRA-2(0.56), GDAS(0.488)이며, 증발산량의 R2 평균은 ASOS-S(0.473), MERRA-2(0.43), GDAS(0.615)로 분석되었다. MERRA-2, GDAS는 다수의 위성 및 지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품질관리된 데이터 세트인 반면, ASOS-S는 103개 지점의 관측자료를 사용한 격자 자료이다. 따라서, 관측자료간 거리 차이로 인한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ASOS보다 많은 지점의 관측자료를 확보하여 적용한다면 격자화로 인한 오차가 줄어들어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표적 전시를 위한 이동 동기화 기법 (A Moving Synchronization Technique for Virtual Target Overlay)

  • 김계영;장석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45-5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현장감 있는 모의훈련을 위해 가상영상이 아닌 지상기반 CCD 카메라영상에 지정된 시나리오대로 가상표적을 전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고해상도 GeoTIFF(Geonraphic Tag Image File Format) 위성영상과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를 이용하여 현실감 있는 3차원 모델을 생성(운용자용)하고 입력된 CCD 영상(운용자 훈련자용)으로부터 도로를 추출하였다. 그러나 위성영상과 지상기반 센서영상은 관측위치, 분해능, 스케일 등에 많은 차이가 있어 특징기반 정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워핑함수인 TPS(Thin-Plate Spline) 보간 함수를 일치하는 두 개의 제어점 집합에 적용하여 3차원 모델에 표시된 이동경로를 따라 CCD 영상에도 표적을 전시하는 이동 동기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에서는 대전지역의 위성영상과 CCD 영상을 이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국지성 호우 관측을 위한 FPGA 기반의 전파강수계 신호처리 설계 (Design of FPGA-based Signal Processing of EWRG for Localized Heavy Rainfall Observation)

  • 최정호;이배규;박형삼;박정민;임상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215-1223
    • /
    • 2020
  • 최근 서울 경기를 비롯한 전국에서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악천후 관련 자연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재 및 물관리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수재해를 관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우량계는 지상의 강우를 연속적·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우량계 미설치 영역에 대한 공간적인 강우 분포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수의 공간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파 기반 센서인 전파강수계(EWRG,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강수계의 FPGA 기반 신호처리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전파강수계의 신호처리는 크게 LFM 파형의 ADC 및 DDC와 펄스압축, 상관 계수 및 강수 파라미터 산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FM 파형과 펄스압축 신호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파강수계 신호처리 설계를 위해서 FPGA 기반의 신호처리 설계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DCT 및 DWT 기반의 손상된 기상레이더 영상 복원 기법 (DCT and DWT based Damaged Weather Radar Image Retrieval)

  • 장봉주;임상훈;김원;노희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3-162
    • /
    • 2017
  • Today, weather radar is used as a key tool for modern high-tech weather observations and forecasts, along with a wide variety of ground gauges and weather satellit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equency transform based weather radar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improve the weather radar image damaged by beam blocking and clutter removal in order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weather radar observation. In the proposed method, DCT based mean energy correction is performed to improve damage caused by beam shielding, and DWT based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and high frequency cancellation are performed to improve damage caused by clutter remov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the damaged original weather radar image improves the quality of weather radar image adaptively to the weather echo feature around the damaged area. In addition, radar QPE calculated from the improved weather radar image was also qualitatively confirmed to be improved by the damage. In the future, we will develop quantitative evaluation scale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 an improved algorithm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numerical comparison.

지역기반 사회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생태보전시민모임 숲속 자연학교 사례- (A Case Study of the Community-base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On the Case of the Nature School in the Forest-)

  • 지은경;김종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6권1호
    • /
    • pp.34-4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of a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EE) program in detail.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in "the Nature School in the Forest" program in Eco-Club 1) What i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2) What is the role of staffs, program developers,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hat are the meanings of their pedagogical approach? 3)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w is the researcher able to develop ground theory for community-based nonformal EE, and to promote theoretical discussion for field improvement? The data were mainly gather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techniques such as clustering, factoring, noting pattern and themes, seeing plausibility, making metaphors, and building logical chain of evidence. The following conclusion comes out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Nature School in the Forest" program is a educational device which the community-based NGO chose as a strategy to change individuals and community with its ideological purpose. And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the contiuous group decision-making process among staffs and volunteers. Consequently "the Nature School in the Forest" program is a circulated process of the voluntary activists training and their participation in program op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