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id menu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비교 연구를 통한 그리드 메뉴의 효율성 평가 (Comparative Robustness and Efficiency of the Grid Menu)

  • 정홍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91-198
    • /
    • 2005
  • 컴퓨터 시스템에서 화면상의 복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고 실행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가 메뉴인데 정보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동적 메뉴와 같은 새로운 메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풀다운(pull-down) 메뉴, 피시아이(fisheye) 메뉴, 그리드(grid) 메뉴의 객관적 수행도(수행시간, 오류)와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단순성, 사용 효율성, 친근성, 전반적 선호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중간 수준의 메뉴 항목이나 작은 화면을 고려하여 개발된 그리드 메뉴는 메뉴 항목의 수가 중간 수준(50개)이나 많은 수준(100개)일 때, 풀다운 메뉴와 피시아이메뉴보다 수행시간에 있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항목의 수와 수행시간 사이에는 모든 메뉴가 비례관계를 보였으나 그리드 메뉴가 가장 둔감하게 반응하였다. 풀다운 메뉴와 그리드 메뉴는 피시아이 메뉴에 비해 보다 간단하고, 친근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42.3 퍼센트의 피험자가 그리드 메뉴가 메뉴들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리드 메뉴는 메뉴 항목의 수가 적거나 중간 정도의 수준일 때 효율적인 디자인 대안으로 선정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모바일 기기에서의 효율성을 살펴보기 위해선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 PDF

Ergonomic Design of the Gauge Cluster Display for Commercial Trucks

  • Kim, Taehun;Park, Jaekyu;Choe, Jaeho;Jung, Eui S.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64
    • /
    • 2015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the effective menu type to be placed in the center of a gauge cluster display for commercial trucks and to present a set of ergonomic designs for the gauge cluster display. Background: An effective ergonomic design is specifically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gauge cluster display for the commercial trucks, because more diverse and heavier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ruck drivers, compared to the information to passenger car drivers. Method: First, all the information that must be shown on the commercial truck display was collected. Then, the severity, frequency of use, and display design parameters were evaluated for those information by commercial truck drivers. Next,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attributes and the heuristic evaluation utilizing the display design principl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a design alternative of the main screen to be displayed was constructed by priority.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lternative and existing main screens was also conducted to see the efficacy of the designs. Last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for the selection of menu typ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driving simulator with an eye-tracking devic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the menu reflecting the commercial truck characteristics such as grid type, icon type, list type, and flow type. We measured preference, total execution time, the total duration of fixation on the gauge cluster area, and the total number of fixation on the gauge cluster area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Four types of driver convenience information and six types of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were selected as the information to be placed primarily on the main screen of the gauge cluster. The Grid type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menu type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that appears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the division of the display and the design of the menu type for commercial truck drivers were suggested. Appl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guidelines on the ergonomic design of a gauge cluster display for commercial trucks.

병원 직원식 서비스의 품질특성에 대한 직원만족도 분석 (Analysis of Staff Satisfaction with Staff Foodservice Quality in Hospitals)

  • 이민지;이연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aff satisfaction with staff foodservice in hospitals. The study compared the hospital staff'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foodservice. The quality satisfaction values were indicated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The subjects were 643 hospital staff in 11 Daegu . Kyungpook hospitals. Writte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completion rate was 76.9%. There were 17 attributes for foodservice quality, which were divided by factor analysis into four main quality factors; sensory, nutrition, sanitation and service. The high expectation and low perception items on the expectation and perception grid were: seasoning of the meals, taste of the meals, variety of the menu, nutritional considerations, cleanliness of the dishes, and prompt handling of meal complaints. On all the attributes measured, expectations were higher than perceptions. The quality satisfaction values were all negative.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p<0.001)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satisfaction and variety of the menu(r=0.783), nutritional considerations(r=0.770), prompt dealing with meal complaints(r=0.762), cleanliness of meals(r=0.689), and courtesy of employees (r=0.653). There is a need to improve taste, menu variety, nutrition, sanitation, speed of handling meal complaints, and courtesy.

대학 웹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조사 (A Survey on User Interface Design of University Webzines)

  • 이주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03-308
    • /
    • 2014
  • 이 논문은 대학 웹진 현황을 토대로 웹진의 목적과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진의 내용적 측면과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구성과 컬러 및 내비게이션 디자인 측면에서 조사해 보았다. 조사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대학 웹진 제작을 위해 사용자와 제작자가 어떤 점에 유의하고 참고하여 디자인해야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웹진 제작자와 사용자의 상호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공감하기 위해 웹진이 주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웹진의 이런 특성을 살려 제작한 대학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부산지역 고등학교 급식서비스에 대한 학생과 급식종사자의 평가 (An The Evaluation of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Employees for Foodservice Characteristics of in High Schools in the Busan Area)

  • 모성종;서재수;류은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0-26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employees' perception with for their high school foodservicein Busan area.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324 students and 93 employees in 12 high schools in the Busan area. The students assess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as 4.00/5.00 and 2.97/5.00., respectively, and T the employees assess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s 4.07/5.00 and 3.77/5.00, respectively. The importance mean scores of students wereshowed significantly (p<0.01) higher scores in internal environment factor and sanitation factor than those of employees, but the performance mean scores of students wereshowed significantly (p<0.01) lower scores in all the factors than those of employees. The importance grid of students and employees showed that the items of the high with to the low with of consideration of preference in menu, appropriate the meal hours, rapidnessrapidity of service, and prompt dealing with complaints were high scores to the students, but low scores to the employees. The performance grid of students and employees showed that the items of the low with students to the high with employeesfreshness of food ingredients, offering the consistency of consistently good service, rapidnessrapidity of service, prompt dealing with complaints,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employees, and food cleanliness were low scores to the students, but high scores to the employees of dish. Therefore, it would seem to be desirable that the foodservice manager may be plans the strategies with the involvement of students in the process from planning the menu to proposinge of ideas for improvement.

대학급식소 서비스 품질 속성에 대한 IPA 분석 - 대전지역 남학생과 여학생 비교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of University Foodservice -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tudents' Perceptions in Daejeon)

  • 이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89-405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foodservice, and to examin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foodservice quality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A total of 500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were surveyed and 432 responses were returned. Excluding responses with significant missing data, 412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erms of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sanitation(4.74)' category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food(4.36)', 'service(4.22)', 'convenience(4.01)', 'menu(3.90)' and 'atmosphere(3.73)'. In terms of performance, the highest service quality attribute was associated with 'convenience(3.30)', followed by 'service(3.06)', 'sanitation(2.95)', 'food(2.88)', 'atmosphere(2.79)' and 'menu(2.68)'. As the results of IPA, 'staff's kindness', 'overall quality of service', 'taste of the food', 'freshness of the food', 'overall quality of the food', and 'cleanliness of the facility' fell into the Quadrant IV(Focus here) for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IPA grid illustrated that 'taste of the food', 'freshness of the food', 'nutrition of the food', 'sanitation of the food', and 'sanitation of the utensils' fell into Quadrant IV(Focus here).

작은 화면에서의 메뉴 형식과 페이징 형식이 메뉴 탐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u type and paging type on the users' searching performance and subjective preference on small screens)

  • 전하영;김영은;양지선;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207-1213
    • /
    • 2006
  • 오늘날 모바일 기기가 갖는 역할이 다양해짐과 동시에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데스크탑 플랫폼에서의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법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는 모바일 기기의 제한된 스크린 크기, 부자연스러운 상호작용 방식, 그리고 기기와 관련된 기술적인 다른 요인들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PDA,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화면을 가진 모바일 기기에서 제시되는 메뉴를 탐색할 때 효과적인 메뉴 형식과 페이징 형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메뉴 형식은 모바일 기기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열거형(list) 메뉴와 격자형(grid) 메뉴의 두 가지로 제시하였고, 페이징 형식은 한 번에 한 줄씩 화면 하단에서 위로 이동하는 스크롤(scrolling) 방식과 한 번에 한 화면 전체가 위로 이동하는 페이지 간(page-to-page) 이동 방식의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한 수준의 깊이를 가진 메뉴에서 메뉴 형식과 페이징 형식에 따른 탐색 과제 수행을 측정한 결과, 열거형 메뉴보다 격자형 메뉴에서 사용자들의 메뉴 탐색 수행이 유의미하게 빠르며, 사용자의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페이징 형식에 따른 메뉴 탐색 수행 시간과 선호도에는 유의미한 차이점이 없었고, 메뉴 형식과 페이징 형식간의 상호작용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 의 결과, 두 수준의 깊이를 가진 메뉴에서는 페이징 방식이 메뉴 탐색 정확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주효과가 있었다. 메뉴 탐색 수행 시간과 주관적 만족도는 실험 1 과 같게 나타났다. 이는 메뉴 형식과 페이징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수행과 선호도가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The Effect of Form Factors and Control Types on Unsorted List Search for Full Touch Phone

  • Lee, Jong-Kee;Park, Jae-Kyu;Kim, Jun-Young;Choe, Jae-Ho;Jung, Eui-S.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9-317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influences form factors and control types affect a search time and comfort at list menu of full touch phone. Background: Various studies have been proceeded that are related to the optimum touch area for enhancing usability of control and legibility in mobile touch device. In the environment of list menu which is widely use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effectively, however, not only comprehensive consideration for legibility and control is to be seek but also research for control type which is to scroll a list. Method: This study executed form factor experiment to inquire into the influence that font size, height of row and fixed area affect searching time and comfort in the while information processing even if the information on the list is unsorted in alphabetical order. Among the result of form factor experiment, control type experiment was executed by selecting shortest performance time, highest legibility comfort and control comfort. Control type experiment was implement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which existing flicking type, scrolling bar type, newly established button page type and button raw types affect performance time and subjective comfort depending on location of the information. Results: Font size 12pt, height of row 7mm and fixed area 15mm was shortest performance time and got highest comfort and legibility score in form factor experiment. A Button page which was newly proposed type was shortest performance time and got highest comprehensive comfort in control type experiment. Conclusion: Form factor experiment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e study through reading a long passage of character or controlling a grid icon type. However, height of row turned out to affect not only touch area for control but also legibility by ruling space between the lines. Button page type which was newly proposed showed shortest performance time and got highest comprehensive comfort. Because Button page type needs few finger movements than other control types and implements search in the fixed form, unlikely other type which list keeps moving. Application: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in deciding form factors and control type for scroll when designing a list menu of full touch phone.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 of responsive web on multi-device environment)

  • 강재신;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65-470
    • /
    • 2018
  • 본 연구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크기 변화에 따른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레이아웃을 배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반응형 웹의 레이아웃 요소는 크게 콘텐츠에 따른 레이아웃 형식을 헤더, 메인 콘셉트 이미지, 그리고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푸터로 구분하였다. 헤더요소는 화면이 작아지면 세로 메뉴 배치보다는 드로워의 활용과 스클롤링 메뉴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메인 콘셉트 이미지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시스템 폰트의 사용으로 가독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는 세로 스크롤이 길어지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하며 그를 위해 카드 UI와 테이블 리스트 그리고 그리드 리스트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또 그 밖에 세로 스크롤의 문제는 더 보기나 새 콘텐츠 고침 등의 사용자 선택 메뉴를 배치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SIS의 그리드 분석 기법에 의한 수문 지형인자 추출 (Extraction of the hydrologic terrain factor in n watershed using GRID analysis technology of GSIS)

  • 양인태;최영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9-357
    • /
    • 1999
  • 수문 매개변수는 공간적으로 다양하며 여러 가지 축척과 정확도를 가진 지도에 대한 해석을 필요로 한다. 자료 요구는 광범위하며, 자료의 획득과 처리는 시간을 많이 소모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의 목적은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수문 지형인자 추출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수문 지형인자 추출시스템은 수 문 매개변수를 메뉴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GSIS 프로그램인 Arc/Info에 의해 개발하였다. 유역 유출점을 설정하고 중요한 수문 매개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공간분석 기능을 이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경계, 주하천 길이, 유역 평균경사 등과 같은 지형인자를 추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