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ulich-Pyle Metho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골연령의 측정에서 Greulich-Pyle법, Tanner-Whitehouse법, 완관절 초음파 통과속도를 이용한 골연령 측정법의 비교 연구 (Measure of Bone Age through Greulich-Pyle Method, Tanner-Whitehouse Method and Ultrasound Transonic Velocity of Inferior Radiocarpal Joint)

  • 이동형;이진용;김덕곤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9-8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3 methods of bone age measurements. Methods : 102 children(49 boys, 53 girl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height, weight and bone age based when they visited for the first time. We measured bone age using BoneAge of Sunlight Co.,Ltd. Two of the bone age measurement methods, Greulich-Pyle and Tanner-Whitehouse, were used to analyze the left dorsopalmar hand-wrist radiographs of 102 children who visited in Department of Pediatrics, O O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 bone age between two methods. Results : The bone ages were related with age, height, weight and BMI according to this study(P<0.01). Each bone age assessment metho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each other(P<0.01). Conclusions : The ultrasound transonic velocity of inferior radiocarpal joint will become a sufficient diagnostic tool of bone age assessment if measurement error can be minimized by proper effort.

  • PDF

초기 사춘기의 골연령 비교: 전산화된 Greulich-Pyle 기반 골연령 대비 Sauvegrain 방법 (Comparison of Bone Ages in Early Puberty: Computerized Greulich-Pyle Based Bone Age vs. Sauvegrain Method)

  • 이상영;임수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081-1089
    • /
    • 2022
  • 목적 Greulich-Pyle 기반 전산화된 손 골연령과 팔꿈치 골연령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팔꿈치 골연령이 Sauvegrain 방법에 의해 평가 가능한 범위 내에 있고, 동시에 손 X선 사진을 촬영한 2126명의 환자(여아 1525명, 남아 601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VUNOMedBoneAg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손의 1순위 골연령과 VUNO 점수를 얻었으며, 아동의 성별과 1순위 골연령 확률에 따라 손 골연령과 팔꿈치 골연령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VUNO 점수와 팔꿈치 골연령의 상관관계(r = 0.898)가 1순위 골연령과 팔꿈치 골연령의 상관관계(r = 0.879)보다 높았다. 1순위 골연령 확률이 70% 미만이거나 여아인 경우, VUNO 점수를 사용하면 팔꿈치 골연령과 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팔꿈치 골연령은 손 골연령보다 진행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사춘기 중반까지 증가하다가 후반에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사춘기 시기의 Greulich-Pyle 기반 전산화된 손 골연령은 팔꿈치 골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만 팔꿈치 골연령은 손 골연령보다 빠른 경향이 있어 사춘기의 골연령 판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겠다.

Clinical Validation of a Deep Learning-Based Hybrid (Greulich-Pyle and Modified Tanner-Whitehouse) Method for Bone Age Assessment

  • Kyu-Chong Lee;Kee-Hyoung Lee;Chang Ho Kang;Kyung-Sik Ahn;Lindsey Yoojin Chung;Jae-Joon Lee;Suk Joo Hong;Baek Hyun Kim;Euddeum Sh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2호
    • /
    • pp.2017-2025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clinical efficacy of a hybrid Greulich-Pyle (GP) and modified Tanner-Whitehouse (TW)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el for bone age assessment. Materials and Methods: A deep learning-based model was trained on an open dataset of multiple ethnicities. A total of 102 hand radiographs (51 male and 51 fe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 10.95 ± 2.37 years) from a single institution were selected for external validation. Three human experts performed bone age assessments based on the GP atlas to develop a reference standard. Two study radiologists performed bone age assessments with and without AI model assistance in two separate sessions, for which the reading time was recorded. The performance of the AI software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AI-calculated bone age and the reference standard. The reading time was compared between reading with and without AI using a paired t test. Furthermor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study radiologists' bone age assessments was assess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reading with and without AI. Results: The bone ages assessed by the experts and the AI mod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11.39 ± 2.74 years and 11.35 ± 2.76 years, respectively, p = 0.31).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was 0.39 years (95% confidence interval, 0.33-0.45 years) between the automated AI assessment and the reference standard. The mean reading time of the two study radiologists was reduced from 54.29 to 35.37 seconds with AI model assistance (p < 0.001). The ICC of the two study radiologists slightly increased with AI model assistance (from 0.945 to 0.990). Conclusion: The proposed AI model was accurate for assessing bone age. Furthermore, this model appeared to enhance the clinical efficacy by reducing the reading time and improving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골 성숙도 단계의 골령 평가를 위한 Greulich-Pyle 방법을 이용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활용 (Utiliz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Using the Greulich-Pyle Method to Evaluate Bone Age in the Skeletal Maturation Stage)

  • 김지훈;서혜준;박소영;이은경;정태성;남옥형;최성철;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9-103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Greulich-Pyle (GP)방법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이용해 골령을 측정하고 경추골 성숙도(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CVM)와 중지 중절골 성숙도(Middle phalanx of the third finger, MP3) 각 단계에 해당하는 골령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경희대학교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총 3,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VM은 Baccetti 분류에 따라 5단계로 나누었고, MP3는 Hägg와 Taranger 의 방법에 따라 5단계로 나누었다. 골령은 GP 방법 기반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해 평가하였다. 최대 성장기의 CVM 단계는 II, III로 CVM II의 평균 골령은 남자 11.00 ± 1.81세, 여자 10.00 ± 1.49세였고, III는 남자 13.00 ± 1.46세, 여자 12.00 ± 1.44세였다(p < 0.0001). MP3 최대 성장기는 G 단계로 평균 골령은 남자 13.14 ± 1.07세, 여자 11.40 ± 1.09세였다(p < 0.0001). 인공지능을 통한 골령 평가는 임상적 활용 가치가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아의 디지털 Hand 영상에서 TW3를 이용한 성장판의 회귀분석 (A study of Growth Pl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Tanner-Whitehouse 3 in hand AP of pediatrics)

  • 이동성;조광섭;임한섭;정선경;장화영;김수현;강세식;김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1-394
    • /
    • 2015
  • 임상에서는 GP-BP (Greulich-Pyle and Bayley-Pinneau) 법과 TW3 (Tanner-Whitehouse 3) 법을 사용하여 골연령을 평가하고 있다. Hand AP 영상에서 골성숙도 평가는 전문의의 임상적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정성적 평가로 모든 전문의마다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 속에서 TW3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고안 및 평가하기 위해 2014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양산P병원에서 성장판 검사를 시행한 소아 70명(남 35명, 여 35명)을 대상으로 TW3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말단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연령별 길이의 차이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골연령 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골연령이 증가할수록 성장판과 뼈 말단부 길이가 규칙성 있게 감소하였다. 여아의 경우 남아에 비해 골성장이 빠르므로, 남아보다 길이 평균값이 전체적으로 작은 값을 가졌다. 이는 12~14세 초경이 나타남에 따라 초경 전후 길이 감소 변화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 결과 값으로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도출된 값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상 소아, 성조숙증 및 체질성 성장지연 소아에서 Bayley-Pinneau방법과 Tanner-Whitehouse 3방법에 의한 예측성인신장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dult heights measured by Bayley-Pinneau and Tanner-Whitehouse 3 methods in normal children, those with precocious puberty and with constitutional growth delay)

  • 오연정;유병근;신정연;이기형;;이광철;손창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51-355
    • /
    • 2009
  • 목 적 : 정상 소아,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소아를 대상으로 GP방법과 TW3방법에 의한 골연령을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방법과 RUS 점수를 이용한 TW3방법의 예측 성인키를 구하여 상황에 따라 두 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질환이나 약 복용력이 없고 병적인 저신장을 제외한 정상소아와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 그리고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정상 소아는 85명,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 30명,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 30명이었으며 왼쪽 손과 손목 사진을 찍어 GP와 TW3방법으로 골연령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법과 TW3 (RUS score)법을 이용하여 예측 성인키를 구하고 두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GP방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골연령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녀 모두 두 값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 조숙증 여아의 경우 두 값의 차이는 없었으나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는 두 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P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GP방법에 의한 예측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156.4{\pm}4.7$ cm vs $158.9{\pm}3.8$ cm, P<0.01). 성조숙증 여아의 경우 BP법과 TW3법을 이용한 예측 성인키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BP법을 이용한 예측키보다 크게 나타났다($156.3{\pm}4.0$ cm vs $159.3{\pm}4.2$ cm, P<0.01).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를 이용한 예측키는 BP법에 의한 것이 더 크게 나타났다($173.3{\pm}4.4$ cm vs $169.7{\pm}3.2$ cm, P<0.01). 결 론 : 정상 여아, 성조숙증 여아,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같은 특수 상황의 경우 BP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예후 판정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 성인키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imating skeletal maturity of hand-wrist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 김경호;유형석;김석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53-864
    • /
    • 1997
  • 성장의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개체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여러 생리학적 지표(physiologic indicators)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중 골성숙도(skeletal maturity)는 성적성숙도(serual maturity)와 신장의 성장변화와 밀접 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발육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 견치를 포함한 일부 치아의 발육이 골성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세에서 15세까지의 한국인 남, 녀 아동 387명 의 수완부 방사선 사진과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하여 Fishman 방법과 Greulich와 Pyle 방법에 의해 골성숙도를 평가하였으며 변형된 Demirjiran방법에 의해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여, 수완부 방사선 사진의 도움 없이 골성숙도를 추정할수 있는 방법을 구하고자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성숙 지수의 추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4%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성숙 지수 = 0.60x연대연령 - 1.67x성별 + 0.88x하악 견치 - 0.05x하악 제2대구치 - 10.3 2. 골연령의 추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7%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연령 = 0.75x연대연령 - 0.55x성별 + 0.71x하악 견치 + 0.09x하악 제2대구치 - 5.77 (성별: 남자=1, 여자=0., 하악 견치, 제2대구치 : 각 발육단계별 평균연령)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