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een rice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31초

전북지역 성인의 녹차 및 녹차관련 제품에 대한 기호도와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Green Tea and its Products of Adults in Chonbuk Area)

  • 양향숙;노정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21-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and utilization of green tea and its products for adults living in Ch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88 (117 male, 271 female) subjects. who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by age.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and ANOV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investigation of prefer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d among the age groups(p<.001). More than 20% of the subjects in the $20{\sim}29$ years group preferred coffee and juice. A half of the elderly over 60 years preferred a kind of green tea. The frequency of green tea drinking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Drinking green tea less than once a day was replied by 59.0% of the subject of whom 44.3% drank the green tea at home. and 42.0% got information about green tea from TV or radio.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products using green tea, 62.6% of the subjects responded only 'mediocre.' The brown rice-green tea was marked to be the highest in terms of recognition among all kinds of products. The green tea-related products were rated higher by the elder group. In conclusion,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green tea and its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ption pattern in each age group.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Microbial Diversity in Upland Soils Estimated by Biolog Ecoplate and DGGE

  • An, Nan-Hee;Lee, Sang-Min;Cho, Jung-Rai;Lee, Byung-Mo;Shin, Jae-Hun;Ok, Jung-Hun;Kim, Seok-Cheo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1-456
    • /
    • 2014
  • Organic amendment practices can influence diversity and activities of soil microorganism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is impact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long term effects of chemical and organic fertilizer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upland field. During the last 11 years green manure, rice straw compost, rapeseed cake, pig mature compost, NPK, and NPK + pig mature compost were treated in upland soil.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found with high bacterial colony forming units (CFUs) as compared to chemical and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nomycetes and fungal population. The average well color development (AWCD) value was the highest in green manure and, the lowest in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Analyses based on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rofile showed that rice straw compost and pig mature compost had a similar banding pattern while rapeseed cake, NPK, NPK + pig mature compost and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were clustered in another cluster and clearly distinguished from green manure treatment. Bacterial diversity can be highly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while chemical fertilizer had less impact. It can be concluded that green manure had a beneficial impact on soil microbial flora, whil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 could affect the soil bacterial communities adversely.

수도 생산성증대를 위한 화분세포 배양 및 융합기술 확립 (Development of Anther and Cell Culture Techniques for Enhancement of Rice Productivity)

  • 허문회;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2-241
    • /
    • 1984
  • 수도 약배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callus 유기와 녹색체 출현율에 영향하는 화분의 발육단계, 화분의 저온처리와 기관 및 배지의 영향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핵기의 화분에서 callus 유기율이 높았으며 이때는 대체로 엽신간장이 5~8cm에 해당되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2. 이삭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엽이간장이 5~8cm의 것은 상부와 중간부분에 단핵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9~10cm 정도의 것은 중부와 하부 부분이 단핵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으로 저온처리는 8$^{\circ}C$에서 12$^{\circ}C$가 callus 유기에 알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도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4$^{\circ}C$에서 callus 유기가 잘된 것도 있었다. 4. 저온 처리기간은 일반적으로 8~12일 정도에서 callus 유기가 잘 되었으나 품종간 차이가 있다. 5. 본 실험에서는 N6D 배지보다 N6 배지에서 callus 유기율이 높았다. 6. 대체로 녹색체 출현율은 4$^{\circ}C$와 8$^{\circ}C$로 처리한 것이 12$^{\circ}C$ 처리보다 높았다. 그러나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7. 녹색체 출현에 좋은 결과를 주었던 온도 처리기간은 대체로 8~12일로 나타났다. 8. 본 실험에서 녹색체 출현율은 N6 배지보다 개량 MS 배지에서 2배 정도 높았다.

  • PDF

추락(秋落)의 원인(原因)과 그 대책(對策)에 관(關)한 연구(硏究) -V. 추락답(秋落畓)에서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施用)이 수도수량(水稻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cause and control of the 'AKIOCHI' -V. The effects of the 'Green ash' application on the yield factors of rice in 'AKIOCHI' paddy-)

  • 이은웅;조재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51-56
    • /
    • 1965
  • 누수과다답(漏水過多沓)에서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施用)이 수도수량(水稻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규산고토석회(硅酸苦土石灰), 석회(石灰) 등(等)과의 비효(肥效)를 비교(比較)하고저 실험처리구(實驗處理區)로 10a당(當) 규산고토석회(硅酸苦土石灰) 75kg구(區), 석회(石灰) 150kg구(區), 미분탄회(微粉炭灰) 75kg구(區), 150kg구(區), 225kg구(區), 300kg구(區), 375kg구(區), 450kg구(區) 및 무처리대조구(無處理對照區)를 두고 수도품종(水稻品種) 팔달(八達)을 공시(公試)하여 실험(實驗)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미분탄회(微粉炭灰), 규산고토석회(硅酸苦土石灰) 및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각구(各區) 모두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키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특히 수량구성요소적(收量構成要素的)으로 보면 임실율(稔實率)을 높이는데 효과(?果)가 컸다. 2.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施用)은 그 양(量)을 증가(增加)시킬수록 수량(收量)도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10a당(當) 300kg 이상(以上)의 시용구(施用區)에 있어서는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며, 이것은 규산고토석회시용구(硅酸苦土石灰施用區)의 수량(收量)과 거의 비슷한 것이었고 미분탄회(微粉炭灰) 225kg 시용구(施用區)는 석회시용구(石灰施用區)와 거의 그 수량(收量)이 동등(同等)하였다. 3. 따라서 미분탄회(微粉炭灰)의 시용량(施用量)은 10a당(當) 300kg내외(內外)가 효과적(?果的)인 것으로 보인다.

  • PDF

Macro- and Micro-nutrient Utilization and Milk Production in Crossbred Dairy Cows Fed Finger Millet (Eleucine coracana) and Rice (Oryza sativa) Straw as Dry Roughage Source

  • Gowda, N.K.S.;Prasad, C.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2005
  • Finger millet straw and rice straw are the major source of dry roughage in southern India. They distinctly vary in their morpholog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s. Hence an effort was made to study the nutrient utilizati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crossbred dairy cows fed either finger millet (group 1) or rice straw (group 2) as a source of dry roughage. The cows in both the groups were fed as per requirement with concentrate, green fodder and straw in the ratio of 30:45:25 parts (DM). At the end of 50 days of preliminary feeding a digestibility trial was conducted for 7 days and pooled samples of feed, fodder, feces, urine and milk were analysed for macro and micro nutrient content. Finger millet straw contained more CP, Ca, P, Mg, Cu, Zn and Co than rice straw and rice straw contained higher ADF, ash and silica. The intake of DM, CP, EE, NDF, ADF and most micronutrients (Ca, P, Mg, Cu, Zn, Fe, Mn and C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ws fed finger millet straw. The digestibility of DM, CP, NDF and AD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ws fed finger millet straw and the gut absorption of Ca, Cu, Mn and C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ws fed finger millet straw. The dietary requirement of all micronutrients in both the group of cows could be met irrespective of the type of roughage fed except that of Ca, which was low (0.61 and 0.40%) in rice straw fed cows. The average daily milk yield (L/cow) was also higher (7.0 L) in cows fed finger millet straw as compared to cows fed rice straw (6.3 L). The average milk composition also did not differ except that of milk fat which was significantly (4.7 and 4.5%) low in cows fed rice straw.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have indicated that finger millet straw is a better source of dry fodder than rice straw and while feeding rice straw as the sole roughage to dairy cows there is need to supplement additional calcium as this could be one of the limiting nutrients for milk production.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cold stress in rice at early young microspore stage (Oryza sativa L.).

  • Kim, Mijeong;Kim, Taegyu;Lee, Yoonjung;Choi, Jisu;Cho, Giwon;Lee, Joo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13-313
    • /
    • 2017
  • Cold stress is one of the most influenced factors to rice yield. In order to identify genes related to cold stress in fertility stag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was conducted. Cultivated 129 rice germplasm were moved in the growth chamber under the condition of $12^{\circ}C/RH70%$(12h day/12h night when the rice plant was grown in 10 DBH(days before heading). Also, rice plant as control was moved in the green house under condition of $28^{\circ}C/RH70%$(12h day/12h night). After 4 days the plants were moved in a greenhouse. The fertility of rice plant were monitored after the grain were fully grown. The most tolerant rice germplasm to cold stress were Cheongdo-Hwayang-12 and IR38 as 63.1 and 61.8 of fertility and the most recessive rice germplasm were Danyang38 and 8 rice germplasm as 0. As a result of GWAS with re-sequencing data and fertility after cold treatment germplasm using genome association and prediction integrated tool (GAPIT), 99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observed by applying a significance threshold of -logP>4.5 determined by QQ plot. With SNPs region, 14 candidate genes responded to cold stress in fertility stage were identified.

  • PDF

쌀당화액을 이용한 콤부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mbucha made with saccharified rice solution)

  • 이대형;서재순;신복음;이용선;조창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5-46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쌀을 당화시킨 쌀당화액을 이용해 콤부차를 제조하였다. 쌀 품종별 당화액 및 콤부차 제조 특성으로는 멥쌀은 참드림, 보람찬, 추청을 사용했으며 중간찰벼로 가와지1호, 찹쌀로 동진찰벼를 이용했다. 쌀 당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분 함량은 가장 높은 것이 추청으로 80.40±1.33%를 나타내었으며 당화액 분석결과 90분 당화시 가장 높은 10.42°Brix를 나타내었다. 산도는 참드림이 0.38%로 가장 높았으며 가와지1호가 0.24%로 가장 낮았다. 쌀 품종별 콤부차의 발효 15일 유기산 분석결과 acetic acid는 참드림이 111.70±1.09 ppm이었으며 동진찰벼는 46.86±1.00 ppm이었다. 효소 종류에 따른 쌀당화액 콤부차 특성으로는 α-amylase를 처리한 쌀당화액이 1.06%로 가장 높았으며 β-amylase가 0.58%로 가장 낮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차 종류별 콤부차 특성에서는 녹차 첨가 콤부차의 산도가 1.09%로 가장 높았으며 루이보스 첨가 콤부차가 0.37%로 가장 낮았다. Polyphenol 분석결과에서 녹차를 이용한 발효 0일에 1,623.75 ppm에서 3,989.00 ppm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유기산 분석에서 녹차첨가 콤부차가 acetic acid가 발효 0일에는 172.89 ppm에서 발효 15일에는 2,649.11 ppm으로 증가하였다. 알코올(주정) 첨가 콤부차 특성에서는 알코올 2.0% 첨가 콤부차의 산도가 1.32%로 가장 높았으며 알코올 0.5% 첨가 콤부차가 0.97%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새로운 쌀 음료로써 쌀당화액을 이용해서 콤부차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작물(農作物) 재배환경(栽培環境)과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원인(原因)가스 발생(發生) -1. 답전전환시(畓田轉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와 지구온난원인기체(地球溫暖原因氣體)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메탄,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발생(發生) (Emission of Green House Gas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1. The Cropping System and Emission of the Green House Gases-CO2, CH4, N2O)-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

  • 이상규;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6
    • /
    • 1993
  • 답전윤환지(畓田輪換地) 토양(土壤)에서 작부체계(作付體系)를 달리했을때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토양(土壤)에서 방출(放出)되는 지구온난화원인(地球溫暖化原因)가스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양(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시(連作栽培時) 가장많고 벼와 콩의 윤작재배시(輪作栽培時) 가장 적은 양(量)을 방출(放出)했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방법별(方法別)로는 벼 연작토양(連作土壤)이 가장 많았고 매년윤환(每年輪換) 및 이년윤환(二年輪換)은 비슷했으며, 전전환시(田轉換時) 가장 적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다. 2. 메탄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토양(連作栽培土壤)에서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및 벼와 콩 혹은 감자와 배추 등(等)을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방출량(放出量)의 뚜렸한 감소를 보였다. 3.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방출량(放出量)은 감자와 배추를 이년(二年)마다 윤환재배(輪煥栽培)하므로써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다음은 벼 윤작재배구(輪作栽培區)에서 많았다. 그러나 답전윤환구(沓田輪換區)의 벼와 콩 및 감자와 배추를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뚜렷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4. 토양(土壤) 공기중(空氣中) 산소(酸素) 및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구성비율(構成比率)은 작물(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대단히 상이(相異)했으며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산소(酸素)는 4~10%로 대기(大氣)보다 낮고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는 1~22%로 대기(大氣)보다 수십 내지 수백배로 높았으며 변이(變異) 폭(幅)이 대단히 컸다. 5.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등(等) "지구(地球) 온난화(溫暖化) 원인(原因)가스"의 방출(放出)은 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 토양(土壤)의 수분(水分), 온도(溫度), 산소농도(酸素濃度) 및 양분(養分) 등(等)의 변화(變化)와 작물생육시기(作物生育時期)에 따라 크게 영향(影響)되었다.

  • PDF

중부지역 답리작에서 두과 및 화본과 녹비작물의 재배방법에 따른 biomass, 질소 함량이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mass and N Production by Cultivation Methods of Leguminous and Gramineae Green Manures on Rice Growth in Central Regions of Korea)

  • 전원태;성기영;김민태;오인석;최봉수;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53-858
    • /
    • 2011
  • 중부지역에서 파종방법에 따른 녹비작물들의 biomass, 질소 생산성 및 벼 이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벼 연구포장 (신흥통)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녹비작물 파종은 벼 수확전 입모중 파종과 벼 수확 후 부분경운 파종으로 구분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녹비작물은 두과는 헤어리베치, 자운영, 크림손클로버 3종과 보리, 호밀, 귀리, 들묵새 화본과 4종을 재배하였다. 입모중 파종은 두과는 수확 2주전, 화본과 는 1주일 전에 파종하였다. 벼 수확 후 부분경운 파종은 두과와 화본과 모두 벼 수확 익일에 파종하였다. 10a 당 파종량은 입모중 및 부분경운파종 모두 헤어리베치는 9kg, 자운영과 크림손클로버는 3kg를 파종하였고 볏과는 보리, 호밀, 귀리는 15kg, 들묵새는 3kg을 파종하였다. 녹비작물들의 환원은 2008년 5월 15일에 트랙터로 로터리 경운을 하였다. 벼 품종은 풍미벼로 2008년 6월 5일에 중묘기계 이앙하였다. 두과 녹비작물 중에서는 헤어리베치의 생초중이 10a 당 2,418~2,826 kg, 건물중이 507~692 kg으로 가장 높았고 입모중보다 부분경운파종이 좋았다. 화본과 녹비작물 중에서는 호밀의 생초중이 10a 당 1,187~1,296 kg, 건물중 562 kg으로 가장 높았고 파종방법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두 파종 방법 모두에서 둑새풀인 잡초의 발생은 가장 적었다. 호밀과 헤어리베치를 제외하고는 biomass가 적었고 잡초인 둑새풀의 발생이 많았다. C/N율은 헤어리베치가 14.1로 낮았고 호밀이 56.5~74.2로 높았고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녹비작물 환원 후 벼 재배 중 토양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이앙 후 14일과 42일 모두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관행시비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쌀 수량도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관행시비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어서 중부지역에 답리작에서 적합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가 가장 우수하였고 그 효과는 부분경운 파종이 입모중 파종보다 높았다. 호밀은 생육이 빠르고 biomass은 약간 많으나 C/N율이 높아서 쌀수량이 낮았다. 그 외 두과인 크림손클로버, 자운영과 화본과인 보리, 들묵새는 biomass 및 N 생산성이 적어서 중부지역에서 벼 재배 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충북지역 아동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기호도 - 명절음식, 떡, 전통음료 -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 Tradition Holiday Food, Rice Cake, Non-Alcoholic Beverage -)

  • 정은희;현태선;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1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uch as traditional holiday foods, rice cakes and beverages. The subjects were 598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310, female 288) in fifth or sixth grades. The most favorite traditional holiday food was rice cake soup(57.4%) and 92.4% of subjects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holiday food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ustom. The traditional beverages mainly drinking at home were sikhye(35.6%), misugalou(30.2%), green tea(18.5%), etc. Children's most favorite beverage was misugalou(90.5%) and they had no taste for ginseng tea(39.6%). Children did not know well about booggumi(64.1%), dootubdduk(63.3%), whajun(39.6%), etc. and liked gguldduk(94.2%) better than the others. They liked the rice cake because of its good taste(69.0%) and disliked it because of chocking(30.9%), not eating frequently(29.5%), hard and tough(18.2%), and so on. And they wanted to make the rice cake softer and sweeter like the cake and mostly ate it on the traditional holi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