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Performance

검색결과 1,563건 처리시간 0.025초

LID 기술 적용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물순환 개선 연구 - 침투시설 적용을 중심으로 -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

  • 서주환;이인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8-77
    • /
    • 2013
  • 세계적인 기후변화 영향은 한반도의 강우패턴 변화와 그로 인한 홍수와 폭설, 가뭄 등의 급격한 기상이변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대응 관련 다양한 대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선진외국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저영향개발(LID)을 통한 수자원의 활용과 환경 친화적인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부 개발 사업에 LID 기법을 적용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민간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제도 및 기술이전이 부족한 실정이며, LID 요소기술의 실효성 또한 충분히 합의되지 못한 현실이다. 이에 LID 요소기술 중 공동주택단지에 적용하기 용이한 요소기술을 분류하고, 그 중 침투기능을 수행하는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공동주택단지 조경공간에 적용하고, 물순환 모의(SWMM 5.0)를 시행하고,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기 다른 지역의 공동주택단지 3개소를 대상으로 미국 EPA의 SWMM 5.0을 활용한 강우모의를 실시하고, LID기법 적용 전, 후의 물순환 모의(침투량, 지표증발량, 지표유출량)를 실시하였다. 녹지공간에서 LID 기술의 중요성은 빗물의 양적 질적 조절과 공동주택단지의 Amenity를 증진 시키는 역할이다.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한계를 이해하고 원활한 수순환 계통의 적용을 위하여 LID 통합관리기술(IMPs)을 적용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조경, 건축, 토목, 환경전문가간의 저영향개발에 대한 기술적 통섭의 노력이 요구된다.

강화플라스틱 연결구를 이용한 데크의 내력 성능평가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of Deck Using Reinforced Plastic Connector)

  • 송요진;정홍주;이동흡;김경대;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12-18
    • /
    • 2013
  • 기존의 목재 데크는 보행자의 반복하중으로 못이 인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데크재와 장선재를 접합 시 접합구에 의하여 목재가 갈라지거나 접합구의 재질에 따라 목재의 부후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A사에서 개발한 플라스틱 연결구를 사용하여 데크 유닛을 제작, 휨 하중시의 접합내력 성능을 평가하였다. 데크재는 Southern yellow pine (Pinus palustris Miller)을 사용하였다. 접합구의 종류를 달리하여 장선 간 간격(400, 600 mm)에 따른 데크 유닛의 휨 내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탄소강 재질의 접합구로 강화플라스틱 연결구에 접합한 시험체의 평균 휨 내력(장선재 간 간격 : 400, 600 mm)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장선재의 폭(40, 50, 70, 80 mm)에 따른 휨 내력 시험 결과 장선재의 폭이 40 mm일때 가장 높은 내력이 측정되었다.

京畿一圓 乳牛의 乳房炎 感染率과 原乳의 細菌 및 體細胞數 測定에 따른 乳質 汚染度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stitis Infection Rate and Investigation of Milk Contamination Level by Measuring the Bacteria and Somatic Cell Counts in Gyunggi Area)

  • Eu, Byung Woo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1-54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improvement of milk quality and milk hygiene in public health point of view. Investigation of mastiris infection rat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ausative microorganisms in CMT positive milk, investigation of milk contamination level by measuring the bacteria and soma tic cell counts and investigation of dairy management in farms were performed on 1.605 quarters milk of 434 cows of 20 dairy farms in Gyunggi-area from September 1983 to March 1984.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ixteen (3.7%) of 434 cow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clinical mastiris. 234 (53.9%) of 434 cows and 608(37.9%) of 1, 605 quarter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subclinical mastiris. 2.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isolated were Staphylococcus aureus (38.3%), Staphylococcus epidermidis(21.0%), Micrococci(13.6%), Streptococcus spp. (12.3%), E. coli (7.4%), Fungus & Yeast (1.6%) and others (5.8%). 3. Total numbers of bacteria were $9.2{\times}10^6$ to $1.21{\times}10^7/ml$(av. $1.805{\times} 10^7/ml$), numbers of coliform bacteria were $4.1{\times} 10^5$ to $9.4{\times} 10^5$/ml(av. $7.05{\times} 10^5$/ml) and somatic cell counts were $4.8{\times} 10^5$ to $1.52{\times} 10^6$ cells/ml (av. $9.5{\times} 10^5$cells/ml) in bulk milk. 4. As comparing with CMT score of +, ++ and +++, somatic cell counts were $3.4{\times} 10^5$ to $1.64{\times} 10^6$ cells/ml (av. $6.41{\times} 10^5$cells/ml), $5.4{\times} 10^5$ to $2.75{\times} 10^6$ cells/ml(av. $1.762{\times} 10^6$cells/ml) and $1.97{\times} 10^6$ to $9.75{\times} 10^6$ cells/ml(av. $7.781{\times} 10^6$cells/ml), respectively. 5. In investigation on dairy management, performance of dry cow therapy, teat dipping after milking, disinfection of milking machine at every milking, replacement of milk liner within 6months and opportunity of acquirement for the mastiris control techniques by dairy education were 65%, 40%, 45%, 55% and 50% in 20 dairy farms, respectively.

  • PDF

탄소저감정책 효과분석을 위한 공간통계기법 적용방안 연구 - 탄소포인트제도를 대상으로 - (Study on Geostatistical Method for an Effectiveness Analysis on Carbon Reduction Policy - Focusing on the Carbon Point System)

  • 황해성;주용진;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71-80
    • /
    • 2012
  • 탄소포인트제도는 가정, 상업 시설의 전기, 가스, 수도 등 에너지 사용 절감량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민참여형 기후변화대응 프로그램이다. 현재, 기존 국가정책 및 연구는 사업장 위주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한정되어있고, 가정부문에 대한 탄소저감정책 시행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정책 중 탄소포인트제도를 중심으로 가정부문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에 관한 실증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성북구를 대상으로 가정부문의 전기, 가스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하고, IPA 분석을 통해 행정동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변화의 공간패턴을 가시화하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계열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사전-사후분석을 통해 탄소포인트제도의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공간통계기법과 핫스팟을 이용한 점사상의 국지적 분석을 통해 에너지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의 공간적 분포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실제 탄소배출저감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는 지방자치단체 에너지 진단 등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효과 평가와 녹색생활 개선 수립을 위한 다양한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금잔디 포복경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식물생장조절물질과 배지첨가물질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upplements on Plant Regeneration from Stolon of Zoysia matrella Merr)

  • 김경희;김용구;허성현;배은지;이광수;박남창;이병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4-189
    • /
    • 2011
  • 금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포복경 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재배한 식물체의 포복경 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포복경 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기본배지로는 MS배지가 N6배지나 SH배지에 비해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배지에 첨가되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는 0.5 mg/L 2,4-D와 1 mg/L of kinetin을 첨가했을 때 33.3%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을 보였다. 또한 배지에 첨가되는 탄소원 종류로는 sucrose를 3% (v/v) 농도로 첨가해 주었을 때 재분화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재분화배지에 첨가되는 항산화물질로는 5 mg/L $AgNO_3$와 10 mg/L cysteine을 동시에 첨가해 주었을 때 40%의 가장 높은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어 재분화효율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한 금잔디의 포복경 재분화 시스템은 캘러스 배양기간 없이 단기간 내에 재분화 식물체를 높은 효율로 얻을 수 있음으로써 유전자 형질전환을 통한 잔디의 분자육종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2Mn0.5Fe0.5SiO4/C Cathode Nanocomposite

  • Chung, Young-Min;Yu, Seung-Ho;Song, Min-Seob;Kim, Sung-Soo;Cho, Won-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2호
    • /
    • pp.4205-4209
    • /
    • 2011
  • The $Li_2Mn_{0.5}Fe_{0.5}SiO_4$ silicate was prepared by blending of $Li_2MnSiO_4$ and $Li_2FeSiO_4$ precursors with same molar ratio. The one of the silicates of $Li_2FeSiO_4$ is known as high capacitive up to ~330 mAh/g due to 2 mole electron exchange, and the other of $Li_2FeSiO_4$ has identical structure with $Li_2MnSiO_4$ and shows stable cycle with less capacity of ~170 mAh/g. The major drawback of silicate family is low electronic conductivity (3 orders of magnitude lower than $LiFePO_4$).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carbon composite of the silicate compound was prepared by sucrose mixing with silicate precursors and heat-treated in reducing atmosphere. The crystal structure and physical morphology of $Li_2Mn_{0.5}Fe_{0.5}SiO_4$ was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Li_2Mn_{0.5}Fe_{0.5}SiO_4$/C nanocomposite has a maximum discharge capacity of 200 mAh/g, and 63% of its discharge capacity is retained after the tenth cycles. We have realized that more than 1 mole of electrons are exchanged in $Li_2Mn_{0.5}Fe_{0.5}SiO_4$. We have observed that $Li_2Mn_{0.5}Fe_{0.5}SiO_4$ is unstable structure upon first delithiation with structural collapse. High temperature cell performance result shows high capacity of discharge capacity (244 mAh/g) but it had poor capacity retention (50%) due to the accelerated structural degradation and related reaction.

논 토양조건에 따른 찰옥수수 교잡종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Waxy Hybrid Corn on the paddy soil conditions)

  • 지희정;김충수;홍범용;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2호
    • /
    • pp.123-127
    • /
    • 2006
  • 토양 조건에 따른 찰옥수수를 재배시험 한 결과 배수가 불량한 논토양이나 밭토양 보다는 배수가 양호한 논토양이 옥수수의 생육도 다소 좋은 편이었으며 수량적인 측면에서 보면 배수가 양호한 논토양에 재배한 찰옥수수의 생체수량이 804kg/10a로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498kg/10a이나 밭토양에서 재배하였을 경우인 751kg/10a 보다 수량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고, 옥수수의 논 재배시 가장 많이 발생한 주요잡초의 초종은 여귀, 깨풀, 피 등이었고 특히 배수가 양호한 토양보다는 불량한 논토양에서 옥수수를 재배할 때 잡초의 발생이 많아 토양의 물리성이 잡초의 발생 및 옥수수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한 잡초의 형태적 특성별로 보면 논토양에서는 광엽 잡초, 화본과 잡초 순으로 나타났고 밭토양에서는 화본과 잡초가 주로 많이 발생하였다. 옥수수의 논 재배시 잇점으로는 잡초의 발생이 밭재배보다 작았고 논토양이 옥수수 재배에 알맞은 토양수분을 지니고 있어서 지속적으로 옥수수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지속적인 공급으로 수량이 높았고 논토양 중에서도 특히 배수가 잘되는 논토양이 밭토양에서 재배하는 것보다도 잡초방제 및 수량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타 품질적인 면에서 이들 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많은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리라 본다.

  • PDF

지속가능한 도시평가지표의 적용 가능성 검토 - GCI, EPI, CBI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Applicability of Sustainable City Index - Focusing on GCI, EPI and CBI -)

  • 윤형두;박진영;최태봉;최인태;노태환;한봉호;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6호
    • /
    • pp.593-606
    • /
    • 2015
  • 녹색도시지수(GCI), 환경성과지수(EPI), 도시생물다양성지수(CBI)는 환경적 측면에서 도시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구밀도나 도시규모 등 도시의 특성이 다른 국내 상황에 이들을 직접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의 환경개선과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하여 지자체 스스로 환경문제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환경정책으로 활용 가능한 한국형 도시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국제지표들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 부합하는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는 생물다양성, 생활환경, 생태계서비스, 행정 및 관리 4개 영역 20개 항목으로 구성된 한국형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지표(ESCI)'를 개발하였으며, 도시생태현황지도가 작성된 서울, 인천, 수원, 원주, 계룡 등 5개 도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제시된 한국형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지표는 대도시의 경우 거의 모든 항목을 적용할 수 있었으나 중소도시는 일부만 적용할 수 있었다. 지표 적용을 모든 도시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별로 통일된 도시생태 현황지도의 작성과 필요한 자료구축이 선행되어야하며, 도시규모 및 자료구축 수준에 따라 지표 항목을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enetic Variability in the Fodder Yield, Chemical Composition and Disappearance of Nutrients in Brown Midrib and White Midrib Sorghum Genotypes

  • Singh, Sultan;Prasad, S.V.Sai;Katiyar, D.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9호
    • /
    • pp.1303-1308
    • /
    • 2003
  • Samples of eleven brown midrib (ICSU 96031, ICSU 93046, ICSU 96082, ICSU 96078, ICSU 96075, ICSU 95101, ICSU 96034, ICSU 96063, ICSU 45116, ICSA 93-3 and ICSA 3845 X 3816) and nine white midrib genotypes (ICSU 96050, ICSU 96030, ISU 95082, SSG 59-3, FSHI 93-1, FSHI 2219A X 3211, HC 171, ICSA 93-2 and ICSA 93-1) based on their phenotypic appearance were collected at 50 per cent flowering from the sorghum germplasm grown at Research farm of IGFRI, Jhansi. These genotypes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crude protein, fiber composition, in-sacco dry matter, OM, cell wall components disappearance/digestibility besides the fodder yield, total phenolic and availability index values. Brown midrib genotypes were lower (p<0.05) in NDF, ADF, cellulose and acid detergent lignin concentration than white midrib genotypes. Mean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were 69.4, 42.1, 35.4 and 5.7% in brown mid rib vis-a vis 75.8, 47.5, 39.6 and 7.3% in white mid rib genotypes. Nonsignificant (p>0.05)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organic matter contents between brown midrib and white midrib genotypes. Phenoli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browm mid rib (0.2) than white mid rib (0.3%) sorghum. Brown midrib genotypes exhibite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sacco DM, OM and CP disappearance than normal (white midrib) genotypes. The mean degradability of DM, OM and CP was 64.1, 62.6 and 79.6% in brown mid rib and 53.1, 54.0 and 76.6% in white mid rib genotyp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genotypes in extent of fiber fraction degradability though in-sacco NDF and ADF degradability was more by 5 and 4 units, respectively in brown midrib genotypes vis-a-vis white midrib genotypes. Average fodder yield (green and dry g/plant) and availability index (%)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brown midrib (474.2, 129.8 and 80.4) genotypes than white midrib (375.0, 104.8 and 69.2) genotypes. Lignin content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M, OM, NDF and ADF degrad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brown midrib genotypes are superior not only with regard to chemical entities and disappearance of DM and fiber fractions but also better in respect of fodder yield and availability index values. Thus, brown midrib sorghum strains may be useful in increasing digestibility, intake, feed efficiency and animal performance.

차광재배에 적합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품종 선발 (Selection of White Asparagus Varieties Suitable for Shading Culture)

  • 성기철;김동환;김천환;문두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86
    • /
    • 2013
  • 본 시험은 차광재배 방법에 의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생산시 적 품종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품종은 화이트 품종 'Backlim' 등 8품종과 그린품종 'Super welcome', 총 9품종 이용하였다. 2008년 12월 24일 72공 플러그트레이에 파종하여 유리온실에서 관리하였으며, 2009년 5월 24일 P.E하우스에 $140{\times}30cm$의 재식거리로 정식하였다.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생산을 위하여 2010년 3월 5일 P.E하우스 내에 폭 210cm, 높이 160cm의 소형 터널을 만들고 흑백필름을 이용하여 차광을 하였다. 맹아소요일은 'Ravel' 품종에서 5일로 가장 빨랐고 'Backlim', 'Horlim', 'Herkolim' 품종에서 16~18일로 늦었다. 평균 수확 경수는 'Ravel' 품종에서 6.0개로 가장 많았으며 'Backlim' 품종에서 3.7개로 가장 적었다. 평균 순중은 'Herkolim' 품종에서 25.6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Ravel' 품종에서 15.6g으로 가장 가벼웠다. 10a당 총 수량은 'Herkolim' 품종에서 296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Super welcome' 품종으로 275kg이었고 'Rapsody' 품종에서 176kg으로 가장 적었다. 상품수량은 'Super welcome' 품종과 'Herkolim' 품종에서 각각 241kg, 239kg으로 많았고, 'Rapsody' 품종에서 139kg으로 가장 적었다. 또한 L급 이상의 비율도 'Herkolim' 품종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 상품수량이 많았던 'Herkolim' 품종이 차광 재배에 의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생산할 경우 가장 유망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