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ater Korean Empir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한제국이후 광복이전까지의 모자에 관한 연구(1897-1945) -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Headgear from the Greater Korean Empire to the Time of Independence (1897-1945) - Focused on the Newspapers -)

  • 김은정;강순제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164-180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s in the advertisements of the newspapers from the Greater Korean Empire to the Time of Independence. There were Yeomo(禮帽), Jungsanmoja(中山帽子), Jungjeolmoja(中折帽子), Women's hat, Undongmoja(運動帽子), and Hakdomoja(學徒帽子) from 1897 to the 1900s. The names of the hats were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as there was no specific name for women's hats. There were a lot of hats in the 1910s; Jungjeolmoja, Jungsanmoja, Hukyeomoja(黑禮帽子), Panama, Doriuchi(鳥打;とり-うち), Maggomo(麥程帽), Ilkyomoja(一交字帽), cheongyeonmo(靑年帽), Jajacheongyeonmo(刺子靑年帽), Hakaaksangmo(學生帽), Undongmo, Laparyunmoja, Banghanmo(防寒帽), Mokchulmo(目出帽), Pungbangi(風防耳), Nambaui, and Pungdongi(風憧耳). Most of the hats were western hats for men. From the 1920s to 1930s, the hats were classified as to the shape and uses as compared to before that period. The hats were advertised in the newspapers such as Jungjeolmoja, Jungsanmoja, Panama, Doriuchimo, Maggomo, Ilkyomoja, cheongyeonmo, Jajacheongyeonmo, Hakaaksangmo, Undongmo, Banghanmo, Mokchulmo(目出帽), Adongmokchulmo(兒童目出帽), Pungdongi, and Pungchasamsangun(風遮三山巾).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hats from the late 1930s to the time of independence because of the censorship of the press. The hats during that period were almost the same as the before that time. There was a new name of a cap, Jeontumoja(戰鬪帽子) which was for a soldier. The hats in that period were one of the westernized items with shoes before the westernization of the Korean costume under Japanese imperialism. Furthermore, the western hats could be spread by the men who were in the center of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women's western hats were not common because women had rarely worn them before that period. They just wore traditional winter caps steadily.

『고박영철씨기증서화류전관목록(故朴榮喆氏寄贈書畵類展觀目錄)』을 통해 본 다산(多山) 박영철(朴榮喆, 1879~1939)의 수장활동 (The Life and Art Collection Activities of Pro-Japanese Collaborator Park Yeong-cheol During Japanese Occupation)

  • 김상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70-85
    • /
    • 2011
  • 근대 미술시장과 유통에 대한 연구는 명품대가 및 그 유파, 영향 등을 추적하고 분석하던 기존 미술사의 연구경향과 달리 미술과 사회, 미술품 유통과 소비 등 새로운 연구방식과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의 주요 수장가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수장가의 하나로 꼽히는 박영철(1879~1939)의 생애와 수장활동을 살펴보았다. 박영철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일본군의 고위 장교, 전역 이후에는 강원도 지사, 함경북도 지사 등을 지냈고, 관직 은퇴 이후에는 굴지의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일제의 침략정책에 호응하고 앞장 선 철저한 친일파로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문화애호가이자 수장가로서의 박영철은 가장 정확한 "연암집"을 간행하였고, 사후에 수장품을 경성제국대학에 기증하여 서울대학교 박물관의 기초를 마련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의 서화수장은 한시와 서화 등을 좋아하고 즐겼던 그의 성정에 의한 바 크지만 동양의 비서구적 원천으로서 전통미술에서 고유의 특성을 찾으려 한 일본의 시책에 적극 협조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근대시기 동양평화에 대한 두 시각 - 안중근과 박영철을 중심으로 - (Two Views on the Oriental Peace of Modern Era - Focusing An, Joonggeun and Park, Youngcheol)

  • 오재환;구사회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249-273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민족 존망의 위태로운 시기에 활동했던 안중근과 박영철이라는 두 사람을 통해 근대 지식인의 자세와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민족정신의 표상인 안중근과 친일파였던 박영철을 비교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그것을 시도한 것은 사회진화론이라는 똑같은 이데올로기라도 그것을 어떻게 적용시키느냐에 따라 결과는 판이하였기 때문이다. 안중근과 박영철은 같은 시기에 태어나서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변혁기를 살았다. 이들에게 민족 주권과 동양평화라는 공통적인 화두가 있었지만 삶의 방향이나 행적은 서로 달랐다. 전자는 일제의 심장을 겨누었고, 후자는 그것의 심장부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들은 동양평화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19세기 이래로 대두된 적자생존과 우승열패로 귀결시키는 사회진화론을 전제로 개진하고 있었다. 게다가 이들의 논리는 사회진화론에 결합된 인종주의를 토대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안중근은 동양 각국이 서로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고 공존해야 동양평화가 이룩된다고 보았고, 박영철은 동양이 일본을 중심으로 뭉쳐야 동양평화가 이룩된다고 보았다. 이들 두 사람은 같은 시기를 살았지만 시대 의식도 대조적이었다. 안중근은 일제가 한국의 주권을 빼앗아 동양평화가 깨질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박영철은 일본과 한국이 일체가 되어 대동아공영을 이룩한 바, 평화시대가 도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후자는 한국의 주권보다는 일본의 근대 문명에 관심을 보이며 한국이 그것을 본받아야 한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