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y mulle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전유화(煎油花)의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n the Jeonuhwa in the Royal Cuisine of Joseon Dynasty)

  • 오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4호
    • /
    • pp.1-21
    • /
    • 2016
  •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전유화(煎油花)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전유화는 주재료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어 & 생선이 16.0%로 가장 높았고, 간과 양이 각각 14.2%, 해삼 12.3%, 게(蟹: 해) 생합 천엽이 각각 4.7%, 돼지고기(저육) 낙지(락제) 각각 3.9%, 굴(석화) 꿩(생치) 닭(계) 각각 2.8%, 민어 골이 각각 2.0%, 오리(鴨子: 압자) 산비둘기(山鳩: 산구) 도비(都飛) 도미 백어 홍합 해란 메추리(순조) 계란 실임자 각각 0.9%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유화(煎油花)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여수 연안 소형 정치망어업에 있어서 혼획과 투기 조사 (Investigation of bycatch and discards of funne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 신형호;정순범;오택윤;신종근;조영복;김형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4호
    • /
    • pp.324-334
    • /
    • 2010
  •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research on the actual states for bycatch and discards of catches caught by funnel net from December, 2007 to June, 2010. Fishing grounds were Manheung-dong and Ocheon-dong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The number of the investigation was 21 in Manheung-dong and 7 in Ocheon-dong fishing ground. In Manheung-dong, the species of catches were 26 of fish, 6 of cephalopod and 5 of crustacean. In Ocheon-dong, the species of catches were 25 of fish, 6 of cephalopod and 4 of crustacean. In the two all fishing grounds, the largest amount of species was revealed as gray mullet. Among these catches, the number of non marketable species that were classified and discarded ones, were 9 in Manheung-dong and 7 in Ocheon-dong. Also, among the marketable species which were small entity or too tiny catches to commercialize and not fresh ones were discarded. The proportion that they dominate in the whole catches was 37.1% in the number of catches and 5.4% in the weight of catches in Manheung-dong, and 6.9% in the number of catches and 0.3% in the weight of catches in Ocheon-dong. In case of Manheung-dong, the monthly discarding proportion was the highest with 59.4% in the number of catches in may and 17.6% in the weight of catches in November, and in case of Ocheon-dong, the both of them were the highest in February, with 28.0% in the number of catches and 5.1% in the weight of catches.

횟집 수조 보관 중에 자연산, 양식산 참돔 및 숭어의 물리·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Storage at an Aquarium Tank of Wild and Cultured Gray mullet (Mugil cephalus) and Red seabream (Pagrus major))

  • 조영제;박현규;김승미;심길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451-45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utri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changes, and to evaluate the food quality of live fish in cultured and wild fishes which have been kept in an aquarium tank. The moisture and lipid content of wild and cultured fishes when kept in an aquarium tank for seven-days storag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initial stage storage(zero day). The breaking strength was also rapidly decreased in all of live fishes tested in this study as the periods of storage extended. The protein cont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owever, the content of cortisol, which is a indicator indicating a stress reaction in tissues, was apt to increasing as the periods of storage extended. The cortisol content of wild fish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ultured fishe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of activitie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hich is also a indicator indicating a stress reaction, were not changed in the serum of wild and cultured fish, suggesting the ALT and AST activity dose not directly related with a healthy loss originated from stress. The death ratio of wild fishes were higher than cultured ones due to limited activity and stress during the storage in a aquarium tank.

17세기 이전 주식류의 문헌적 고찰 (Investigation of Main Dishes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김은미;조신호;정낙원;최영진;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14-336
    • /
    • 2006
  • In this treatise, we investigated the Korean literature of main dishes before the 17th century : ${\ulcorner}Sangayorock{\lrcorner}$, ${\ulcorner}Sasichanyocho{\lrcorner}$, ${\ulcorner}Soowonjabbang{\lrcorner}$, ${\ulcorner}Yongjechongwha{\lrcorner}$, ${\ulcorner}Dongyoebogam{\lrcorner}$,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ulcorner}Geebongyouseul{\lrcorner}$, ${\ulcorner}New-Guwhangchalyo{\lrcorner}$, ${\ulcorner}Eumshickdimibang{\lrcorner}$,, ${\ulcorner}joobangmoon{\lrcorner}$, and ${\ulcorner}Yorock{\lrcorner}$. Main dishes were classified 19 kinds of rice, 64 kinds of gruel, 6 kinds of thin gruel, 1 kind of Moori, 1 kind of rice-cake soup, 37 kinds of noodles and 20 kinds of dumpling. Rice varieties were brown rice, rice, hulled rice, millet rice, foxtail millet rice, barley rice, sesame rice and flax seed rice. Gruel ingredients were cereal, beans, vegetables, nuts or seeds, medical plants or hardy wild plants, poultry, pork's kidney, dog's liver or oyster, clam and/or milk Rice-cake soup was 'Tangbyun' in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Noodles were divided by main flours: wheat flour, buckwheat flour, mung bean flour and other flours. Noodles were made by pressing or cutting method. Pressing method used a mold with a hole. The husk of dumpling was made by wheat flour, buckwheat flour, mixed flour of wheat and buckwheat, sliced fish or meat, and/or a gray mullet. Another special method was 'Sangwha' made by fermentation. Bun stuffing of dumpling used fishes, meat, vegetables, beans, flours and seasonings. Cooking methods of dumpling were boiling, baking, steaming and pan-frying. From this investigation of the Korean main dishes described in the Korean literature before the 17th century, we expect to develop useful recipes for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health and want longevity, and thereby to advance the Korean food culture.

한국산 어류 8종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nl Activity of the Extracts of the Eight Korean Fish Species)

  • 배윤정;김찬희;김은정;고혜진;김인혜;박희연;윤호동;장영채;홍용기;박남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45-454
    • /
    • 2004
  • A search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responses on the smooth muscles,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body parts of 4 freshwater fish and 4 marine fish were conducted. The four freshwater fish studied were Sarotherodon niloticus (tilapia), Channa arus (snake head), Cyprinus carpio (Israel carp) and Siluru osotus (catfish), and the four marine fish were Scyliorhinus torazame (tiger shark), Ateiepus japonicus (tadpole fish), Mugil cephalus (gray mullet) and Thamnaconus modestus (file fish). Frozen sample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containing $1{\%}$ acetic aci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Eschrrichia coli was detected in extracts from several tissues in all species tested. Relativel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could also be detected in the bile extracts from C. carpio, M. cephalus, and T. modestus. Contraction and relaxation responses on smooth muscles could be detected in all species tested, especially in the intestine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detected in extracts from several tissues in all species tested, while in the extracts from S. osotus, excluding livers and spleens, no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cted.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fish are a potential source for the discovery of novel bioactive materials.

"한국수산지" 를 통해 본 1910년경 충남 서해안 지역 수산업에 관한 경제지리학적 고찰 (The Economic-Geographical Consideration of Fisheries of the West Coast Area, Chungnam in the 1910s in "Hangooksusanji")

  • 조창연;김학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3-1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ulcorner$한국수산지$\lrcorner$ 를 통한 1910년경 충남의 수산업 현황 및 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충남 서해안 지역에는 30개의 포구가 있었으며, 이것들의 입지유형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I 유형은 중 $\cdot$소하천변에 위치한 포구, II유형은 금강본류 연안의 포구 III유형은 연안에서 외해에 접하고 있는 포구, IV유형은 만내에 입지하는포구, V유형은 연안도서지역의 포구들이다. 어종은 도미, 삼치, 가오리, 조기, 갈치, 새우등이며, 도미어업 근거지는 죽도 및 연도였으며, 조기어장은 전라도 칠산탄에서 충남연해 일대에 형성되었고, 갈치는 전 연안 각처에서 어획되었다. 제염업은 충남 전해안의 만입부에서 이루어졌으며, 대표적 지역은 서천만, 웅천만, 오천만, 안면도, 태안, 당진지역 등이다. 특히 태안군 지역에서 생산된 소금은 태안염이라 불릴 정도로 유명하였다. 금강 연안은 어촌이 32곳 있었으며, 하류지역인 금강구는 뱅어의 중심어장이었다. 비인만 지역은 23곳의 어촌이 있었는데, 어종은 조기, 갈치, 도미, 숭어, 가오리, 상어류, 멸치, 새우, 등을 어획하였다. 보령연해 지역은 33곳의 어촌이 입지하고 있었지만, 제염업이 성하여 어업은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다. 천수만 지역은 28곳의 어촌, 태안반도 및 가로림만 연안에는 70여 곳의 어촌, 아산만 지역은 55곳의 어촌이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 지역이 농업을 주로 행하였기 때문에 염업이나 간석지를 중심으로 어전어업 정도가 발달한 정도였다. 서해 도서 지역 중 안면도 남쪽 지역은 주목망 어업이 가장 발달한 해역이었고, 금강 하구의 도서지역은 도미의 중심어장이었다.

  • PDF

2000년~2006년 하절기 양식어류의 병원체 감염현황 (Monitoring of Pathogens in Cultured Fish of Korea for the Summer Period from 2000 to 2006)

  • 정승희;김진우;도정완;최동림;지보영;서정수;박명애;조미영;김명석;최혜승;김이청;이주석;이창훈;방종득;박미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7-214
    • /
    • 2006
  • 2000년~2006년 하절기에 국내 동서남해안과 제주의 육상양식장과 가두리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Osbeck),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참돔 (Pagrus major),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농어(Lateolabrax japinicus), 숭어 (Mugil cephalus), 무지재송어 (Onchorhynchus mykiss) 등 25종류 총 3,518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연도별로 검출된 병원체에 대하여 유형별로 감염비율을 살펴보면, 세균이 2000년 22.4%, 2001년 34.5%, 2002년 14.1%, 2003년 15.3%, 2004년 17.7%, 2005년 13.5% 및 2006년 5%로 나타났다. 기생충은 2000년 20%, 2001년 33.8%, 2002년 12.4%, 2003년 14.1%, 2004년 9.2%, 2005년 10.5% 및 2006년 10.7%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는 2000년 22.4%, 2001년 13.5%, 2002년 10.3%, 2003년 5.4%, 2004년 9.7%, 2005년 10.2% 및 2006년 15.8%로 나타났다. 혼합감염은 2000년 10.3%, 2001년 0%, 2002년 44.9%, 2003년 50.9%, 2004년 31.9%, 2005년 38.4% 및 2006년 39.6%로 나타났다. 2001년까지 혼합감염은 매우 낮게 검출되었으나,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여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내었다. 조사기간을 통해 검출된 병원체 가운데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낸 것은 세균이 비브리오속 (41.2%)과 연쇄구균속 (28.8%), 기생충은 원충류 (85.7%)의 스쿠티카충과 트리코디나충, 바이러스는 VNNV (42.2%)이었다.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with Seafoods)

  • 장미순;박희연;박진일;변한석;김연계;윤호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5-545
    • /
    • 2011
  • 수산불(멍게, 키조개, 가리비, 자가비, 황석어, 도미, 낙지, 병태, 전어, 가오리, 숭어, 홍어, 갈치 및 멸치) 14종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레시피를 확립하여 제조하였고 저온숙성 7일차의 시료를 취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 구성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수산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배추김치 14종의 수분함량은 82.09~88.56% 범위였고, 조지방 함량은 0.31~0.64%, 조회분 함량은 2.70~3.50% 범위를 나타내어 시료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조단백질의 함량은 2.42~5.l5% 수준으로,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배추김치의 2%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 14종 중, 가자미 배추김치의 철 및 칼슘 함량이 각각 4.1 mg/100 g 및 7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인 함량의 경우는 홍어배추김치가 117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수산물 14종을 첨가한 배추김치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B_2$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멍게배추김치가 각각 0.90 mg/100 g 및 8.48 mg/100 g으로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수산물 14종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및 alanine 이었고 그중에서도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산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배추김치 14종에 대한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50% 내외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hydroxyproline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alanine, proline, leucine, valine 순이었다. 수산물을 첨가한 배추김치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단백질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배추김치에 수산물을 첨가함으로서 기존의 배추김치보다 철, 칼슘, 비타민 A 함량이 높아지고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