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f Main Dishes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17세기 이전 주식류의 문헌적 고찰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In this treatise, we investigated the Korean literature of main dishes before the 17th century : ${\ulcorner}Sangayorock{\lrcorner}$, ${\ulcorner}Sasichanyocho{\lrcorner}$, ${\ulcorner}Soowonjabbang{\lrcorner}$, ${\ulcorner}Yongjechongwha{\lrcorner}$, ${\ulcorner}Dongyoebogam{\lrcorner}$,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ulcorner}Geebongyouseul{\lrcorner}$, ${\ulcorner}New-Guwhangchalyo{\lrcorner}$, ${\ulcorner}Eumshickdimibang{\lrcorner}$,, ${\ulcorner}joobangmoon{\lrcorner}$, and ${\ulcorner}Yorock{\lrcorner}$. Main dishes were classified 19 kinds of rice, 64 kinds of gruel, 6 kinds of thin gruel, 1 kind of Moori, 1 kind of rice-cake soup, 37 kinds of noodles and 20 kinds of dumpling. Rice varieties were brown rice, rice, hulled rice, millet rice, foxtail millet rice, barley rice, sesame rice and flax seed rice. Gruel ingredients were cereal, beans, vegetables, nuts or seeds, medical plants or hardy wild plants, poultry, pork's kidney, dog's liver or oyster, clam and/or milk Rice-cake soup was 'Tangbyun' in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Noodles were divided by main flours: wheat flour, buckwheat flour, mung bean flour and other flours. Noodles were made by pressing or cutting method. Pressing method used a mold with a hole. The husk of dumpling was made by wheat flour, buckwheat flour, mixed flour of wheat and buckwheat, sliced fish or meat, and/or a gray mullet. Another special method was 'Sangwha' made by fermentation. Bun stuffing of dumpling used fishes, meat, vegetables, beans, flours and seasonings. Cooking methods of dumpling were boiling, baking, steaming and pan-frying. From this investigation of the Korean main dishes described in the Korean literature before the 17th century, we expect to develop useful recipes for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health and want longevity, and thereby to advance the Korean food cul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와(强窩). 치생요람(治生要覽). 1691(번역본)
  2. 강인희, 조후종, 이춘자, 이효지, 조신호, 김혜영, 김종태. 한국음식대관 제3권 떡.과정.음청. 한국문화재보호재단편 한림출판사. 서울. 2000, p544-545, 557
  3. 강희맹(姜希孟). 사시찬요초(四時簒要抄). 이성우. 식경대전 p188-197, 1981, 향문사
  4. 김갑영. 죽류 이용에 관한 시대적 고찰과 식문화적 의미. 백제문화 1989, 18,19 : 139-152
  5. 김현숙, 이효지. 임원십육지 정조지의 조리학적 고찰 I-밥.죽. 면. 만두를 중심으로-한국쟁활과학연구 2004, 24 : 59-83
  6. 두공섬(杜公贍).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7세기 초
  7. 미상. 요록(要錄). 1680년 경
  8. 박치유(朴致維). 신간구황촬요(新刊救荒撮要). 1660
  9. 石毛直道 원저. 윤서석, 윤숙경, 조후종, 이효지, 안명수, 안숙자, 서혜경, 윤덕인, 임희수 공역. 문화면류학의 첫걸음. 신광출판사 서울. 2000
  10. 국사편찬위원회. 성종실록(成宗實錄) 성종 005 01/05/29(丙午),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Tree=O&id=wia_100 Accessed February 23, 2006
  11. 성현(成俔). 용재총화(傭齋叢話). 민족문화추진회. 솔출판사 서울 1997
  12. 선혜승. 문헌을 중심으로 1611년부터 1958년 까지의 문헌 속에 나타난 죽의 분석적 고찰. 1996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안동장씨 원저.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 역. 다시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2000
  14. 안동장씨 원저. 백두현 역. 음식디미방.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2005
  15. 안병수. 밥. 죽의 문화. 한국식문화학회지 1992, 7(2) 195-202
  16. 어숙권(魚叔權) 고사촬요(攷事撮要). 1554(번역본)
  17. 윤서석. 한국의 국수문화의 역사. 한국식문화학회지. 1991, 6(1) : 85-191
  18. 윤서석. 한국 식생활의 통사적 고찰. 한국식문화학회지. 1993, 8(2) : 201-216
  19. 윤서석, 김미경, 한경선. 한국음식 종목의 총람보고 I -밥, 죽, 미음, 국수, 떡국, 수제비-. 한국식문화학회지. 1987 2(1) : 93-102
  20. 윤서석. 한국음식 -역사와 조리법- 수학사, 서울 2002 p435-436
  21. 윤숙경. 우리말 조리어사전. 신광출판사, 서울 1996. p74
  22. 김수(金綬) 원저. 윤숙경 역. 수운잡방(需雲雜方). 신광출판사 서울 1998
  23. 윤숙자. 한국의 떡.한과. 음청류. 제2판. 지구문화사 서울 2001, p326-327
  24. 전순의(全循義) 원저. 이문희 외 8인 역. 산가요록(山家要錄). 농촌진흥청. 2004
  25. 이성우. 동아시아 속의 고대 한국음식생활사 연구. 향문사 서울 1992
  26. 이수광(李晬光). 지봉유설(芝峯類說). 남만성 역. 을유문화사 1975
  27.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2004 p165-186
  28. 이효지. 한국음식의 맛과 멋. 신광출판사, 서울 2005 p69-102
  29. 장혜진, 이효지. 주식류의 문헌적 고찰(1670년-1943년에 발간된 우리말 조리서를 중심으로). 한국식문화학회지. 1986 4(3) : 201-211
  30. 하생원(河 生員). 주방문(酒方文). 손락범 편. 한국고대할팽법 (韓國古代割烹法). 원문사 서울 1975
  31. 한복려, 조후종, 윤숙자, 윤숙경, 주영하, 이효지, 윤덕인. 한국음식대관. 제5권. 상차림, 기명, 기구. 한국문화재보호재단편. 한림출판사. 서울. 2002 p334-335
  32. 허균(許筠). 도문대작(屠門大嚼). 손락범 편. 한국고대할팽법 (韓國古代割烹法). 원문사. 서울 1975
  33.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국역위원회 역. 남산당 대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