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ss-Legume Pastur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9초

THE LIVEWEIGHT GAIN OF CATTLE AT PASTURE IN SOUTH SULAWESI SUPPLEMENTED WITH LOCALLY AVAILABLE BY-PODUCTS

  • Till, A.R.;Hunt, M.R.;Panggabean, T.;Bulo, D.;Blair, G.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85-90
    • /
    • 1991
  • Weaner heifers were set stocked at 4/ha on a grass-legume pasture in South Sulawesi, Indonesia, and either unsupplemented (Control) or for 338 days given daily supplements of one of, rice bran (RB) supplied at 1 kg/animal/d, molasses/urea (MU) or 0.5 RB + 0.5 MU (MURB) the amounts of which were adjusted to give similar energy intakes. There were 20 animals in each treatment. A drought resulted in low pasture availability for about half the supplementation period. The LWG per animal in the MURB treatment was 85 kg above that of the control and this was significantly greater (p < 0.01) than those for MU (62.0 kg) or RB (56.2 kg) although the economics favoured the gains from RB which returned over three times the cost of the supplement. Costs could be reduced by supplementing only at times of maximum undernutrition, but such a strategy is of doubtful value in this situation as there was no compensatory LWG and a similar rate of economic return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al benefits from the supplementation may be improved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more efficient use of pasture.

초지개량(草地改良)에 미치는 가리시비(加里施肥)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 I 보(報)) (Studies on the Effect of K2O Fertilization for the Pasture Improvement (Part I))

  • 권순기;김용국;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12-118
    • /
    • 1979
  •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시비량(施肥量) 관계(關係)가 목초(牧草)의 생산성(生産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해서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 및 혼파구(混播區)로 구분(區分)하여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을 달리하면서 1977년(年)부터 1979년(年)까지 2개년간(個年間)에 걸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는 영향(影響)이 없으나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는 월동성(越冬性)에 효과(效果)가 있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목초(牧草)의 초장(草丈)은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역시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효과(效果)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3. 목초(牧草)의 수량(收量)은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가리(加里)의 시비효과(施肥效果)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傾向)이지만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와 혼파구(混播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목초중(牧草中)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가리(加里)의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가리함량(加里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시비량(施肥量)은 10a 당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20-20-30,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에서 8-20-20이 적당(適當)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주요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I. 작물별 곤포 silage의 일반 성분과 에너지함량 평가 (Study on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orage Crop and Pesture Grasses III. Evalua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energy contents of baled silage with selected forage)

  • 김정갑;한민수;김건엽;한정대;진현주;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92
    • /
    • 1996
  • The quality of silages, made from whole crop barley, rye, spring oat, Italian ryeglass, orchardgrass, alfalfa and grass-legume pasture mixtures, were evaluated under two different conservation techniques in baled silage making (BS) and conventional silages(CS). Crops materials were harvested at the stage of the greatest dry matter accumulation(hard dough for barley, soft dough for rye and oat, late bloom for Italian ryegrass and others pasture species), and baled in a self constructed square baling chamber weighted by 25~30kg in dry matter basis. Each bales were wrapped with 0.05mm thick polyethylen plastic film and stored six months long in stack silos. Barley, rye, oat and Italian ryegrass including of pasture crops produced higher quality silages in the baled silage making, due to better organic acid fermentation and lower nutrient losses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silages. TDN contents of barley silages were 65.3% in BS and 63.7% in CS, NEL value of barley silages was improved hum 6.48MJ(CS) to 6.61MJ/kg(BS) in dry matter basis. Silage quality of rye, oat and pasture crops were also improved markedly in the baled silage utilization.

  • PDF

Priming 처리시간 및 온도가 목초종자의 발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ming Du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Forage Seed)

  • 김종덕;권찬호;허삼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1-288
    • /
    • 2008
  • 종자의 priming은 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유식물의 초기정착에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시험에서는 목초의 주요 초종인 tall fescue, orchardgrass, alfalfa 및 white clover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 균일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riming 처리기간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목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priming 처리시간으로 화본과 목초는 2일, 4일, 6일 및 8일을 두었으며, 두과목초는 1일, 2일, 3일 및 4일을 두었다. 세구는 priming 온도로 화본과 두과 목초 모두 10, 15 및 $20^{\circ}C$를 두었다. Priming후 발아세, 발아율, 평균발아소요일수 및 T50은 초종과 priming 처리기간 및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Priming 처리기간에서는 화본과 목초인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는 6일에 발아율이 높았으나,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2일에 발아율이 높았다. 한편 priming 처리 온도에서는 오차드그라스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온도가 $10^{\circ}C$에서 $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목초의 priming은 초종에 따라 적정 처리시간 및 온도가 달랐다.

목초지의 환경요인에 따른 굼벵이의 발생양상 (Occurrence of White Grub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Pasture)

  • 김석환;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28
    • /
    • 1991
  • 1 1985년 4월부터 10월까지 수원 축산시험장 목초지에서 목초지의 환경요인에 따른 굼벵이의 종류 및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지의 환경요인에 따른 굼벵이의 발생종규는 비슷하였으나 발생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1. 토성에 따라서는 식양토에서 고려노랑풍뎅이, 우찌다콩풍뎅이,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등이, 사양토에서는 애풍뎅이와 다색줄풍뎅이가 많이 발생 하였다. 2 목초에 따라서는 조사된 모든 종의 굼벵이가 화본과에서 월등히 많은 발생량을 보였는데 우찌다 콩풍뎅이만은 두과에서 발생량이 월등히 많았다. 3 목초지 활성연도에 따라서는 조사된 모든 종이 3년에서부터 발생량이 증가하여 5년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다. 4 목초지 관리(이용) 방법에 따라서는 조사된 모든 종의 굼벵이가 채초지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목초지의 환경요인에 따른 굼벵이의 발생양상 (Occurrence of White Grub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Pasture)

  • 김석환;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42
    • /
    • 1991
  • 1 1985년 4월부터 10월까지 수원 축산시험장 목초지에서 목초지의 환경요인에 따른 굼벵이의 종류 및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지의 환경요인에 따른 굼벵이의 발생종규는 비슷하였으나 발생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1. 토성에 따라서는 식양토에서 고려노랑풍뎅이, 우찌다콩풍뎅이,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등이, 사양토에서는 애풍뎅이와 다색줄풍뎅이가 많이 발생 하였다. 2 목초에 따라서는 조사된 모든 종의 굼벵이가 화본과에서 월등히 많은 발생량을 보였는데 우찌다 콩풍뎅이만은 두과에서 발생량이 월등히 많았다. 3 목초지 활성연도에 따라서는 조사된 모든 종이 3년에서부터 발생량이 증가하여 5년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다. 4 목초지 관리(이용) 방법에 따라서는 조사된 모든 종의 굼벵이가 채초지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 PDF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Swamp Buffaloes (Bubalus bubalis) Fattened at Different Feeding Intensities

  • Lambertz, C.;Panprasert, P.;Holtz, W.;Moors, E.;Jaturasitha, S.;Wicke, M.;Gauly,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551-560
    • /
    • 2014
  • Twenty-four male 1-year old swamp buffaloes (Bubalus bubalis)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groups. One group grazed on guinea grass (GG) and another on guinea grass and the legume Stylosanthes guianensis (GL). The other two groups were kept in pens and fed freshly cut guinea grass and concentrate at an amount of 1.5% (GC1.5) and 2.0% (GC2.0) of body weight, respectively. The effect of the different feeding intensitie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were assessed. The mean body weight at slaughter was 398 (${\pm}16$) kg. Average daily gain was higher in concentrate-supplemented groups (570 and 540 g/d in GC1.5 and GC2.0,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GG (316 g/d) and GL (354 g/d) (p<0.01). Likewise, the warm carcass weight was higher in GC1.5 and GC2.0 compared to GG and GL. Dressing percentage was 48.1% and 49.5% in GC1.5 and GC2.0 in comparison to 42.9% and 44.8% observed in GG and GL, respectively. Meat of Longissimus throracis from GC1.5 and GC2.0 was redder in color (p<0.01), while water holding capacity (drip and thawing loss) was improved in pasture-fed groups (p<0.05). Protein and fat content of Longissimus thoracis was higher in animals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p<0.01), as was cholesterol content (p<0.05), whereas PUFA:SFA ratio was higher and n-6/n-3 ratio lower (p<0.01) in pasture-fed buffaloe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pasture with concentrate enhances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swamp buffaloes expressed in superior dressing percentage, better muscling, and redder meat with a higher content of protein and fat, whereas animals grazing only on pasture had a more favorable fatty acid profile and water holding capacity.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concentrate at a rate of about 1.5% of body weigh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buffaloes.

메탄발효폐액(醱酵廢液)의 비료화(肥料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목초(牧草)에 대(對)한 폐액(廢液)의 비효시험(肥効試驗) (Utilization of Liquid Waste from Methane Fermentation as a Source of Organic Fertilizer -I. The Effect of Liquid Waste from Methane Fermentation on Grass Yields)

  • 신제성;임동규;김정갑;박영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137
    • /
    • 1986
  • 메탄발효폐액의 비효(肥効)와 그 시용적량(施用適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오차드그라스, 톨페스큐, 켄터키불루그라스, 및 라디노클로버가 혼파(混播)된 초지(草地)에 폐액을 시용(施用)하여 시험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목초수량(牧草收量)은 폐액시용량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고도(高度)로 유의성(有意性)있게 증수(增收)되었다. 목초(牧草)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은 폐액시용구에서 높았으며 토양중(土壤中) 화학성분(化學成分) 역시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으로 높았다. 경사지(傾斜地) 혼파초지(混播草地)에서 폐액적량은 42MT/10a로 밝혀졌으며, 폐액은 비료(肥料) 및 관개용수(灌漑用水)로 활용(活用)이 가능(可能)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건물축적형태화 곤포사일리지 조제이용 (Study on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orage Crop and Pesture Grasses II. Yield performance and nutritieve evaluation of baled silage as affected by stage of growth)

  • 김정갑;한민수;김건엽;한정대;강우성;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8-206
    • /
    • 1995
  •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사료작물과 목초류 7종(호맥, 대맥, 연맥, Italian ryegrass, alfalfa, orchardgrass 및 혼과목초)을 공시재료로 하여 곤포사일리지(BS=baled silage making)조제이용을 위한 수확시기와 이때의 BS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에 있어서 작물재배는 농촌진흥청의 사료작물 및 목초 표준경종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작업중 BS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각형 베일러를 이용 개체당 크기 90cm$\times$60cm$\times$50cm, 중량은 건물기준 20kg 내외, 곤포압착 21~23mm를 유지하여 조제하였다. 한편 고수분 재료는 수분정도에 따라 예건처리(무처리, 0.5일 및 1.0일)와 formic acid(무처리, 0.3% 및 0.6%)를 병행 처리하여 BS 를 조제하였다. 맨류작물의 BS 생산을 위한 수확적기는 대맥, 황숙기, 호맥과 연맥은 유숙기 이었으며 이때의 BS 수량은 각각 11.92톤(대맥), 12.64톤(호맥) 및 8.41톤/ha(연맥)이었다. Italian ryegrass 및 목초의 수확적기는 각 초종 모두 개화기로서 년간 BS 생산성은 Italian 13.81톤(2회 예취), 혼파목초 11.46톤(3회), alfalfa 10.62톤/ha(3회)이었다. 한편 조기수확에 따른 고수분 재료의 BS 품질은 무처리시의 35점에서 예건 및 FA 동시처리시에는 84점으로 향상되었다. Italian tyegrass의 BS품질도 무처리시의 61점에서 예건 및 FA 처리시에는 88점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초지관리용 복합비료(14-10-12-3-0.2)의 비효시험 II. 총건물수량, 수량구성요소 및 목초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Magnesium-and Boron-Enriched Complex Fertilizer(14-10-12-3-0.2) on the Pas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II. Changes in the forage yields, yield compone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in a mixed grass-clover and a pure grass swards)

  • 정연규;이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2-257
    • /
    • 1991
  • 초지관리용 2종 복합비료를 개발토자 시제품(N-P$_2$O$_{5}$-K$_2$O-MgO-B$_2$O$_3$: 14-10-12-3-0.2)을 일반단비와 공시하여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대상초지로는 새로 조성된 겉뿌림 혼파초지(orchardgrass,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ladino clover) 및 기존의 겉뿌림 단파초지(orchardgrass 우점초지)를 공시장소로하여 2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1보에서는 토양화학성 및 무기염기의 상호균형, II보(본보)에서는 수량성 및 목초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이에 얻어진 주요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년평균 건물수량은 혼파 및 단파초지 모두 동일시용수준에서 복비구가 단비구보다 월등히 높았다. 복비구의 수량증수효과를 초종별로 보면, 혼파초지에서 총수량은 소비수준에서 10.8% 보비수준에서 14.5% 증수되었다. 그러고 구성초종중 화본과목초의 수량은 소.보비수준 공히 11% 내외 증수되었고, 두과목초의 수량은 소비수준에서 21.5%, 보비수준에서 31.0% 증수되었다. 그러나 잡초수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화본과 단파초지의 수량은 소비수준에서 7.0%, 보비수준에서 21.8% 증수되었다. 2. 복비구가 단비구 보다 뚜렷한 증수효과를 보였으나, 시용수준과 혼.단파 및 구성초종의 특성들에 따라서 수량 증수율에 차리를 보였고, 소비보다 보비수준에서 그리고 화본과목초보다 두과목초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증수효과를 보였다. 3. 일반성분의 함량차이를 보면, 조섬유, 조지방 및 NFE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혼.단파 초지에서 공히 보비수준의 복비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무기양분의 함량처리를 보면 단.복비구간 처리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g가 첨가된 복비시용에서도 초지토양 및 목초중 Mg함량이 적정수준에 미흡하였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