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34초

연안 양식장 퇴적물의 비료화를 위한 알카리 안정화 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Alkaline Stabilization Processes for Organic Fertilizer of Coastal Sediments)

  • 김정배;최우정;이필용;김창숙;이희정;김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8-513
    • /
    • 2000
  • 알카리 안정화방법에 의거하여 양식장 퇴적물을 농업용 유기질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조과정에 따른 비료의 유효성분 및 중금속농도를 분석하고, 비료의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퇴적물과 축산분뇨 혼합율 및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비료를 제조한 결과 생석회 $30{\%}$ 첨가시 건중량비 1 : 4 이었을 때가 최적의 반응조건 이었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제로서 수산화 마그네슘도 영양분의 보강제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조된 퇴적물 조비료는 질소 및 칼륨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중급 내지 고급 비료로 평가되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고급 비료에 속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카리 안정화 방법으로 양식장 퇴적물을 유기질 비료로 전환 생산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에 의해 제조된 비료내의 중금속 및 병원성균에 의한 유해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의 수술적 봉합술 (Pull-out repair for root tear of medial meniscus)

  • 김덕원;문정석;김민건;김진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0-45
    • /
    • 200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골 기시부 봉합술 및 그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골 기시부 파열로 진단받은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23명은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60.2세였다. 봉합술은 골 기시부 처리시 전외측 창을 이용한 1군(14예)과 후내측 창을 함께 이용한 2군(9예)으로 나누었다. 동반된 관절 연골 손상은 ICRS system을, 술 후 임상결과는 Lv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Lysholm Knee Score는 1군이 77.1점(범위; $58{\sim}97$점), 2군이 81.4점(범위; $72{\sim}94$점)이었다(p>0.05). 봉합술이 실패한 경우는 23예 중 4예였다. 1군은 3예로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였으며 2군은 1예로 장력이 소실되었으나 관찰 중이다. 관절연골 병변은 20예에서 체중 부하 부위에 있었고 Outerbridge 분류상 III기 8예, IV기 5예였다. 결론: 내측 만월상 연골 골 기시부 파열에서 pull-out 봉합술이 원주 테 장력을 복원하고 관절염을 예방하는 데 유용한 치료라고 사료된다.

  • PDF

지리과 서답형 문항의 주요 유형에 관한 연구 -NAEP의 지리과 4학년 문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Geography Education: In Case of 4th Grade Items of the NAEP)

  • 장의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34-954
    • /
    • 2012
  • 서답형 문항은 장소감, 도해력, 지리적 상상력 등 고차적 사고력을 추구하는 지리과의 주요 목표들에 대한 도달 여부를 측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이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을 알아보고 지리과에서 적용 가능한 서답형 문항의 유형들을 구분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 정리에 이어서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NAEP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을 사례로 분석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서답형 문항은 문항 형식의 차원과 문항에서 평가하는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 각각 분류할 수 있었다. 문항 형식의 차원에서는 문두 단독형과 자료 첨부형으로,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는 지식 요구형, 이해 요구형, 적용 요구형으로 각각 구분하고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서답형 문항의 개발과 적용에 관련된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에 정합하는 서답형 문항들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로 하여금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답형 문항의 성패는 채점의 신뢰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채점의 단계 구분, 채점 기준, 의사 답안 등에 대한 후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인공호흡기 치료와 관련된 폐간질기종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factors for pulmonary interstitial emphysema related to mechanical ventilator care)

  • 김상엽;이필상;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179-1184
    • /
    • 2008
  • 목 적: 폐간질기종은 인공호흡기치료를 받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낮은 재태 연령, 인공호흡기사용에 있어서의 높은 최대흡기압력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저자들은 자궁내 염증반응을 포함한 폐간질기종에 대한 여러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 폐간질기종을 줄일 수 있는 기본 여건 마련과 향후 인공호흡기 치료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7년간 대구 파티마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진단받고 폐표면활성제 및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183명을 대상으로 하여 폐간질기종의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후향적 병력고찰을 통해 각 환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 과: 총 183예의 미숙아중 폐간질기종은 17예에서 발생하였으며 폐간질기종이 있었던 군에서 출생 체중, 재태 연령, RDS grade III 이상, 융모양막염, 조기양막파수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인공호흡기 사용기간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지만(P<0.05), 최대 평균기도압과 최대 흡입산소분압은 의미가 없었다. 폐간질기종은 우측 또는 양측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시간을 보면 대부분이 72시간내에 발생하였다. 폐간질기종이 있었던 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망원인은 폐기흉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다. 결 론: 폐간질기종의 위험인자로는 인공호흡기치료를 받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서 낮은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 그리고 융모양막염과 조기양막파수의 위험인자가 있을 시 최소 생후 72시간동안은 태아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되며 증상이 없을 경우라도 흉부사진을 주기적으로 관찰하면서 폐간질기종 여부를 집중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PS 샌드위치 패널 심재의 열방출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Release Rate of EPS Sandwich Panel Core)

  • 박형주;조명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2-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PS 샌드위치 패널 심재에 대한 일정한 외부 복사열에 의한 질량감소속도와 열방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외부 복사열원에 노출된 EPS 샌드위치 패널 심재의 질량감소속도와 열방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3가지 Type의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연소열을 측정하기 위해 Oxygen bomb calorimeter를 질량감소속도와 열방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Mass loss calorimeter를 사용하였다. 질량감소속도와 열방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100mm{\times}100mm{\times}50mm$ 크기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50 kW/$m^2$의 외부복사열원에서 평균질량감소속도는 Type A와 B의 경우 각각 2.7 g/$m^2s$, 2.8 g/$m^2s$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낸 반면, Type C는 2.3 g/$m^2s$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평균열방출속도는 Type B와 C의 경우 각각 47.19 kW/$m^2$, 50.06 kW/$m^2$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Type A는 58.23 kW/$m^2$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방출특성의 결과를 캐나다 분류체계에 적용할 경우 Type A와 C의 경우 C-3등급, Type B의 경우 C-2등급으로 분류되었다. 향후 콘칼로리미터법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심재에 대한 열방출율 특성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도로 사고등급별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 및 의사결정나무 개발 (The prediction Models for Clearance Times for the unexpected Incidences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 Classifications in Highway)

  • 하오근;박동주;원제무;정철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1-110
    • /
    • 2010
  •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비반복적 정체 중 교통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돌발상황에 대한 운영관리 부족 및 처리시간에 대한 정보제공 요구증가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개발을 개발하였다.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하기에 앞서 종속변수인 사고처리시간을 사고등급 A, B, C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교통량, 사고차량수, 사고시간대 등 총 15개 변수를 적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도출결과 돌발상황 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는 교통량, 중차량포함여부, 사고시간대가 도출되었다. 또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에서 영향 변수로 도출된 변수들을 토대로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하였으며, 이때 CHAID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1차적으로 사고등급 A, B등급과 C등급으로 구분되었으며, 2차적으로는 도로의 교통량으로 분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과 의사결정나무를 통하여 향후 고속도로 돌발상황 발생시 도로이용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실효성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ncological and functional outcomes following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t a single institution: a minimum 5-year follow-up

  • Kang, Jun-Koo;Chung, Jae-Wook;Chun, So Young;Ha, Yun-Sok;Choi, Seock Hwan;Lee, Jun Nyung;Kim, Bum Soo;Yoon, Ghil Suk;Kim, Hyun Tae;Kim, Tae-Hwan;Kwon, Tae Gyu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71-178
    • /
    • 2018
  • Background: To evaluate mid-term oncological and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treated by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LP) at our institu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28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who underwent RALP at our institution between February 2008 and April 2010. All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5 years. We analyzed biochemical recurrence (BCR)-free survival using a Kaplan-Meier survival curve analysis and predictive factors for BCR using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Continence recovery rate, defined as no use of urinary pads, was also evaluated. Results: Based on the D'Amico risk classification, there were 30 low-risk patients (23.4%), 47 intermediaterisk patients (38.8%), and 51 high-risk patients (39.8%), preoperatively. Based on pathological findings, 50.0% of patients (64/128) showed non-organ confined disease (${\geq}T3a$) and 26.6% (34/128) had high grade disease (Gleason score ${\geq}8$). During a median follow-up period of 71 months (range, 66-78 months), the frequency of BCR was 33.6% (43/128) and the median BCR-free survival was 65.9 (0.4-88.0) months.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igh grade disease (Gleason score ${\geq}8$)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BCR (hazard ratio=4.180, 95% confidence interval=1.02-17.12, p=0.047). In addition, a majority of patients remained continent following the RALP procedure,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intervention for post-prostatectomy incontinence.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acceptable outcomes following an initial RALP procedure, despite 50% of the patients investigated demonstrating high-risk features associated with non-organ confined disease.

Surgical Outcomes of Thalamic Tumors in Children: The Importance of Diffusion Tensor Imaging, Neuro-Navigation and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 Kim, Jun-Hoe;Phi, Ji Hoon;Lee, Ji Yeoun;Kim, Kyung Hyun;Park, Sung-Hye;Choi, Young Hun;Cho, Byung-Kyu;Kim, Seung-Ki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60-67
    • /
    • 2018
  • Background Recently, modern technology such as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neuro-navigation and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OM) have been actively adopted for the treatment of thalamic tumors. We evaluated surgical outcomes and efficacy of the aforementioned technologies for the treatment of pediatric thalamic tum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data from 37 children with thalamic tumors between 2004 and 2017. There were 44 operations (27 tumor resections, 17 biopsies). DTI was employed in 17 cases, neuro-navigation in 23 cases and IOM in 14 cases. All diagnoses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2016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calculated, and relevant prognostic factors were analyzed.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9 months. Results Fifteen cases were gross total resections (GTR), 6 subtotal resections (STR), and 6 partial resections (PR). Neurological status did not worsen after 22 tumor resec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extent of resection between the groups with DTI, neuro-navigation and IOM (n=12, GTR or STR=12) and the group without at least one of the three techniques (n= 15, GTR or STR=9, p=0.020). The mean PFS was $87.2{\pm}38.0$ months, and the mean OS $90.7{\pm}36.1$ months. The 5-year PFS was 37%, and the 5-year OS 47%. The histological grade ($p{\leq}0.001$) and adjuvant therapy (done vs. not done, p=0.01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nger PFS. The histological grade (p=0.002) and the extent of removal (GTR/STR vs. PR/biopsy, p=0.047)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nger OS. Conclusion Maximal surgical resection was achieved with acceptable morbidity in children with thalamic tumors by employing DTI, neuro-navigation and IOM. Maximal tumor resection was a relevant clinical factor affecting O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e initial therapeutic option for pediatric thalamic tumors.

Type 3 Gastric Neuroendocrine Neoplasm Clinical Features: A Multicenter Study in Korea

  • Kyong Joo Lee;Hee Man Kim;Sang Kil Lee;Ho Sun Choi;Jie-Hyun Kim;Seun Ja Park;Sung Chul Park;Byung Ik Jang;Jin Tae Jung;Tae Joo Jeon;Jong Hun Lee ;Jae Kyu Sung;Semi Park;Yoon Jae Kim;Jae Hee Cho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86-90
    • /
    • 201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ype 3 gastric neuroendocrine neoplasm (NEN) by treatment modality. Methods: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Cancer conducted the Korean Gastroentero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 Registry, a retrospective registry database of gastroentero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s from 16 hospitals in Korea. The normal serum gastrin level range was defined as <100 pg/mL, and gastric NEN patients with normal gastrin level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Among 358 patients with gastric NEN, 21 (5.9%) patients were classified with type 3 gastric NEN. The median age was 53 years (range 30-74). According to the WHO 2010 classification, 13 (61.9%) patients had grade 1, and 8 (38.1%) patients had grade 2 or 3. Endoscopic treatment was performed in 14 (66.7%) patients, and surgery was performed in 7 (33.3%) patients. The tumor size was smaller in the endoscopic treatment group than in the surgery group (0.6 cm vs 1.3 cm, p=0.006). After treatment, there was one recurrence in the surgery group. Conclusion: In small size Type 3 gastric NEN, endoscopic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a good prognosis, compared to surgery. Thus, endoscopic treatment can be used an alternative modality in selected cases of type 3 gastric NEN.

  • PDF

분쇄방식 및 분쇄율이 고령토 광물의 건식 정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inding Method and Grinding Rate on the Dry Beneficiation of Kaolin Mineral)

  • 김상배;최영윤;조성백;김완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9-138
    • /
    • 2008
  • 볼 밀과 임팩트 밀의 분쇄율에 따른 단체분리(선택적 분쇄)와 공기 분급에 의한 고령토 광물의 성세특성을 조사하였다. 원광석을 볼 밀과 임팩트 밀로 분쇄하여 325 mesh 이하 미립자의 생성율을 유사하게 조절하였으며 미립자에 대한 화학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선택적 분쇄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쇄된 시료는 공기 분급기를 사용하여 미립자와 굵은 입자로 분리하고 각 산물에 대한 화학조성분석을 통하여 분쇄 방식에 따른 정제효과를 비교하였다. 볼 밀과 임팩트 밀 모두 분쇄율이 높아질수록 미립자의 고령토 품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볼 밀의 경우에서 석영, 장석과 같은 불순광물의 혼입으로 인해 미립자의 불순물 함량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볼 밀의 경우 공기 분급기의 분급점을 $43\;{\mu}m$로 하면 정광의 생산율은 66.2 wt%이었으며 철성분 제거율은 5.3%, 칼슘성분 제거율은 34.6%로 나타났다. 반면 임팩트 밀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분쇄 후 분급한 산물의 정광 생산율은 64.4 wt%이며 철성분 제거율은 34.2%, 칼슘성분 제거율은 67.6%, 티탄성분 제거율은 25.0%를 나타내어 임팩트 밀의 경우가 불순물의 제거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