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gle Form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소셜 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실업률 예측 (Forecasting Unemployment Rate using Social Media Information)

  • 나종화;김은섭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5-101
    • /
    • 2013
  • 소셜 미디어 정보는 실시간으로 가장 최신의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며, 확산 속도가 빠르고 형태의 제약 없이 유연하게 생산 및 유통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으며, 최근 경제변수들의 예측에 있어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예측의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업률을 예측함에 있어 소셜 미디어 정보 유형 중 하나인 Google Index 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 모형 중 하나인 ARIMAX 모형과 ECM 모형을 적합하였고, 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하기 위해 기존의 ARIMA 모형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 정보 이용에 있어 Google Index 뿐만 아니라 국내 소셜 미디어 정보인 News Index와의 결합을 통해 예측력의 제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분석 절차와 통계적 모형의 적합과정은 실업률 외의 주요 사회, 경제지표에도 적용될 수 있다.

Google Search Trends Predicting Disease Outbreaks: An Analysis from India

  • Verma, Madhur;Kishore, Kamal;Kumar, Mukesh;Sondh, Aparajita Ravi;Aggarwal, Gaurav;Kathirvel, Soundappan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00-308
    • /
    • 2018
  • Objectives: Prompt detection is a cornerstone in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The Integrated Disease Surveillance Project of India identifies outbreaks, but it does not exactly predict outbreak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emporal correlation between Google Trends and Integrated Disease Surveillance Programme (IDSP) data an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Google Trends for the prediction of outbreaks or epidemics. Methods: The Google search queries related to malaria, dengue fever, chikungunya, and enteric fever for Chandigarh union territory and Haryana state of India in 2016 were extracted and compared with presumptive form data of the IDSP. Spearman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were used to depict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atasets. Time trend plots were construc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Google search trends and disease notification under the IDSP. Results: Temporal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IDSP reporting and Google search trends. Time series analysis of the Google Trends showed strong correlation with the IDSP data with a lag of -2 to -3 weeks for chikungunya and dengue fever in Chandigarh (r > 0.80) and Haryana (r > 0.70). Malaria and enteric fever showed a lag period of -2 to -3 weeks with moderate correlation. Conclusions: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hen apply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o specific diseases, and it is considered that many other diseases should be studied at the national and sub-national levels.

글로벌 플랫폼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글 매출 추정 및 세원잠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Big Tech Companies: Focusing on the Google Revenue and Tax Issues)

  • 강형구;전성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1
    • /
    • 2023
  • 빅테크 기업으로 불리는 글로벌 플랫폼들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성장하면서 데이터의 축적과 가격경쟁력, 네트워크 효과를 확보했다. 이로 인한 경쟁우위를 배경으로 글로벌 플랫폼이 그 위상을 더욱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 경쟁분과위원회는 반독점 위반을 이유로 구글에 대해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구글의 미납 세금을 거둬들이기 위한 것이라 해석되기도 하였다. 실제로 글로벌 플랫폼의 편법적인 조세회피를 겨냥하여 '구글세' 형태의 과세 노력이 진행 중이다. 한편, 국내 콘텐츠 스타트업 및 중소벤처기업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글로벌 플랫폼의 국내 매출과 세금 규모는 정확히 측정되지 않고 있다. 구글의 경우 연구문헌에 따르면 2017년 한국 매출을 약 2조~3조원으로 추정하였으나, 구글코리아는 2021년 매출이 2,900억 원이라 신고하고 130억 원의 세금을 납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글로벌 플랫폼의 경제적 효과를 검증하고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글로벌 플랫폼인 구글의 연간 국내 매출액과 세금을 정량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구글에서 발간한 구글 경제 효과 관련 문건에서 제시된 수치를 기초로 구글의 연간 국내 매출과 세금을 추정한 결과, 연간 매출 4~9조 원, 세금 3,906억 원~9,131억 원의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이런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국가별 과세 권한 문제를 구글이라는 구체적 사례를 가지고 추정함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디지털 경제 시대의 국가, 조세 정책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 PDF

온라인 설문조사 사용자 경험 연구 -구글과 네이버 폼을 중심으로- (A study on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Focused on Google and Naver form-)

  • 황보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79-384
    • /
    • 2019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사용자 경험 연구이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활용과 발전을 위해 사용자 측면의 연구를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네이버와 구글의 사용 경험이 없는 피험자 8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태스크를 통한 수행 평가, 씽크얼라우드,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형을 이용한 설문,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네이버는 유용성, 사용성, 매력성, 검색성이 높으며 구글은 접근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터페이스 메뉴 카테고리의 재분류와 이동으로 사용성을 높이고 기능을 쉽게 찾기 위한 개선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온라인 설문조사 사용자 경험으로 사용성 개선의 방향을 예측하고 사용자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온라인 설문조사의 사용성이 개선되고, 다양한 관련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RepWeb: A Web-Based Search Tool for Repeat-Related Literatures

  • Woo, Tae-Ha;Kim, Young-Uk;Kwon, Je-Keun;Seo, Jung-Mi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5권2호
    • /
    • pp.88-91
    • /
    • 2007
  • Repetitive sequences such as SINE, LINE, and LTR elements form a major part of eukaryotic genomes. A literature search tool that summarizes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repeat elements would provide biologists in the field of genomics with a useful tool for analyzing genomic sequence features. We developed a java program designed to make literature access easier by using two search engines simultaneously. RepWeb is a web-based search system that provides a user friendly interface for searching the reference data and journals for information related to repeat elements by using the search engines, Google Scholar and PubMed, simultaneously. It provides an interface that displays the repeat element- related biological information, and includes useful functions such as the production of a repeat tree, clickable links to PubMed and Google Scholar, exporting, and sorting a field into date, author, journal and title.

구글어스와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기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Geovisualization System using Google Earth and Spatial DBMS)

  • 임우혁;이양원;서용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41-149
    • /
    • 2010
  • 최근 웹 GIS에 있어 큰 흐름 중의 하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SS)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다. 지리정보를 웹에서 처리하는데 있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등장은 기존 상용소프트웨어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구현모듈의 재사용과 시스템 확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공간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PostGIS와 동적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의 효율적인 사각화를 위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의 지도 시각화는 구글어스 플러그인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데이터를 KML(Keyhole Markup Language)로 자동 생성하여 구글어스 상에 다양한 지리적 형태로 시각화 할 수 있는 자바 모듈(KML Generator)을 구현하였다.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우리나라의 LAI(leaf area index), 임상도 및 정곡생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 시스템이 다양한 지리공간데이터의 시각화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구성 요소와 가이드라인 연구 -안드로이드 구글 머티리얼 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bile Application UI Design Components & Design Guidelines -Focused on the Google Material Design Guidelines-)

  • 정다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17-423
    • /
    • 2020
  •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의 구글 머티리얼 가이드를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관하여 연구하고, 형태 및 조합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UI 디자인 가이드 제작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머티리얼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제공하고 있는 컴포넌트들을 분해하여 구성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고, 형태 및 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유형을 나눈 뒤 각각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UI 디자인의 최소 구성 요소로는 표면, 글자, 아이콘, 미디어가 있고 이러한 요소들은 컴포넌트 적용 사례를 수집하여 공통 규칙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를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컴포넌트는 목적에 따라 정보 탐색과 알림, 콘텐츠 전달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속성 및 고려해야 할 점이 달라 각각에 맞는 제작 방식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머티리얼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는 UI 디자인의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ffects of Restrictions in Economic Activity on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Philippines: Insights from Apple and Google Mobility Indicators

  • CAMBA, Abraham C. Jr.;CAMBA, Aileen 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115-1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trictions in economic activity on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Philippines. This research employs daily time-series data of confirmed new COVID-19 cases, Apple mobility trends (i.e., use of public transport to destinations, volume of people driving, and amount of walking to destinations) and Google community mobility (i.e., visits to transit stations, visits to workplaces, and staying-at-home) indicators covering the period February 17 to September 11, 2020. The analysis starts by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pattern of new confirmed COVID-19 daily infections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 negative linear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new COVID-19 daily infections with less visit to transit station, increase stay-at-home, less use of public transport, and less amount of walking to destinations. Interestingly, the number of new COVID-19 daily infections indicates some form of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visits to workplaces and volume of people driving. Moreover, employing robust least square regression via the method of MM-estimation, major findings reveal that across mobility measures, staying-at-home has the highest impact on reducing the spread of COVID-19, followed by visiting transit stations less, less use of public transport, less amount of walking, and less workplace visits.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GPS 위치 역추적 어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f GPS Position Detection Application in Smart Phone)

  • 김민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8-251
    • /
    • 2010
  • 스마트폰은 인터넷 PC에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무의 확장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유무선 통신 사용료의 감소로 무료 WiFi나 인터넷 PC에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다운 받아 스마트폰에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에서 위치 API를 이용하여 GPS에서 파악된 위도좌표, 경도좌표를 서버로 전송하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위치 역추적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마트폰 위치역추적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서버에서는 실시간 GPS 위치 역추적 신호를 조합한 Google 어스에서 판독하도록 GPS 위치 역추적 어플리케이션 연구를 한다.

  • PDF

조리실습과목의 비대면 온라인수업에 따른 조리전공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구글 클래스룸 활용 중심- (Subjectivity study of Cooking Major College Student according to Cooking Practice Subject's Untact Online Class -Focusing on using Google Classroom-)

  • 이강연;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92-3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실무과목에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을 활용하여 현재 교육환경과 여건에 맞는 실무적 수업운영 방식을 제시하여 추후 실무과목에서의 비대면 수업이 진행 될 경우 전공핵심역량 및 실무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수혜자인 조리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 구조를 분석하여 유형별로 추출이 가능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특성과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기간은 2020년 3월23일부터 4월 30일까지 조리실습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조리전공 1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1유형(N=11) : 조리실습 키드(kit)개발(Development of cooking training kit), 제2유형(N=7) : 산업체 전문가 특강 요구 (Special lectures from industry experts), 제 3유형(N=7) : 실습형자기주도학습 개발 유형(Development of practice form self-directed learning)으로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조리실습과목 운영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 교육효과 및 학습법 적용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에 의미 있는 자료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