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gpo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일출목 초익공 공포의 기원과 변천 (The Origins and Changes of One Chulmok-One Ikgong Bracket-Sets in the Joseon Dynasty)

  • 전해완;류성룡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3호
    • /
    • pp.79-90
    • /
    • 2020
  •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Gong-po style is divided into the Jusimpo, Dapo and Ikgong. Jusimpo and Chulmok-Ikong, where only Gong-po is placed on the column, differ in form of Gong-po depending on the viewpoint. Since 'Chulmok-Ikgong'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One Chulmok-Two Ikgong', the precede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One Chulmok-Two Ikgong' in the Gong-po style classific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One Chulmok', the style of Ikgong can be organized from the one to three steps and this study is particularly for examining the occurrence and transformation of 'One Chulmok-One Ikgong'. One of the case study sites, Bonghwa Cheongamjeong was originally built in the 16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repaired from 'Non Chulmok-One Ikgong' to 'One Chulmok-One Ikgong'. Since the beam linked directly to the upper part of a capital, it does not connect the eave trave(architrave) in between. Also, Soro which supports Jangyeo(the architrave strip) has been placed and linked in comparatively lower position. It is confirmed by the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hierarchy of Gong-po forms in one architecture. The Jeonju-Hyanggyo Daeseongjeon, which was built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subjects, was similar with 'One Chulmok-One Ikgong', but it was found to be the type of Jusimpo form because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top of the Ikong are apart. And Gongan is confirmed at Cheomcha.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Heot-Cheomcha disappeared and Ikgong was started to use as a constant figur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changed into a ornament added on Haeng-gong, being seen in the case of Hwaseong Dongjangda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One Chulmok-One Ikgong' were developed in both the Jusimpo and Ikong style. The transformation into 'One Chulmok-One Ikgong' was inevitable consequence related with a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ve trave and the column trave.

목조건축의 결구방식을 고려한 효과적인 한옥부재 표현 기법 (Efficient Description Method for Hanok Components Reflecting Coupling Scheme of Wooden Structure)

  • 안은영;김재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8-328
    • /
    • 2011
  • 본 논문은 한옥 설계 지원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서 부재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한옥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부재 표현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옥은 규모, 지붕의 모양, 공포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결구방식 및 연결부재에 따라 부재의 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부재를 모두 설계하게 되면 설계 시에 부재의 사용과 취급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남 표준한옥올 중심으로 한옥의 목구조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여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기장(機張) 장안사(長安寺) 대웅전(大雄殿)의 조영기문(造營記文)과 건축형식(建築形式)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 Records and Architectural Type of Jangan - sa's Daeoong - jeon in Gijang)

  • 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1-116
    • /
    • 2010
  • Jangan-sa is one of the Buddhist temples in the southeastern seaside district, which was restored directly after the termination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Recently we could find out 4 records on the constructions of Daeoong - jeon in J angan-sa. These are written in the 12th year of Emperor Soonchi, written in the 8th year of Emperor Geonryung, written in 1947 Buddha Era and written in 1951 Buddha Era. Until the revelation of these records, the present building has been considered to be built in 1657, the 8th year of King Hyojong, based upon Kim Bang - han's "Jangan - sa Daeoong - jeon - gi". Because the gongpo of Daeoong - jeon was finished with the type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we doubt of the correction on it's building date, just in the year of 1657. Now we are able to examine the building date and the alteration date, based upon the actual measurement and constructional records of Daeoong - jeon. So to speak, the building destroyed in 1592, had been restored in 1658, the 9th year of King Hyojong and was reconstructed in 1744, the 20th year of King Youngjo. Afterward it was repaired on small scales in 1947 and in 1951. Though this building is considered to be lack of the completeness owing to the later alterations, it is still worthy heritage for the research on the building type at the directly after the termination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조선후기 왕릉 조성 시 목공사 장인의 배정과 조달 방식 (A Study on the Assignment and the Procurement Method of Wood Works' Craftsman in Royal Tombs Constructi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19-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assignment and the procurement method of wood works' craftsman through the Salleung-dogamuigwes in royal tombs constructi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Carpenter and other nine craftsmen were introduced in carpentry works. The craftsmen were put in by occupation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 by wood processing area. It was distinguished by frame member, Sujangjae, window framing wood, decorative member. Second, sawyer showed a sharp increase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declined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building materials and the growth of civilian wood products. As a maximum of 300 people have been assigned to the craftsmen in the woodwork, it can be seen that the work has been divided by the process. Third, the national carpenter was difficult to procure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From the middle 18th century, the system procuring national carpenter was stabilized. In the 19th century, the input ratio of the national craftsmen seems to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seems to have kept it at the minimum level. Forth, sawyer were procured through Seongonggam from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e mid 19th century. That means that the role of the sawyer had become important. Since Jogakjang is not a necessary manpower, it usually has civilian artisans.

정면 3칸 팔작지붕 불전의 처마 곡선과 지붕 길이 조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Eaves Curve and Roof Length of Three-Bay-Kan Buddhist Temples with the Hipped and Gable Roof)

  • 위소연;성대철;신웅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39-49
    • /
    • 2017
  • It is difficult to build a hipped and gable roof in slender rectangular type due to restraint in variation of lateral length caused by gongpo arranged on the side, purlin space and the form of gable part and aesthetical effect of chunyeo maru. Against this backdrop and with the assumption that this phenomenon is more apparent in roofs of three-bay-kan Buddhist temples with the hipped and gable roof among national treasure Buddhist temples, this study has aimed to prove that a roof can be built in a less slender rectangular type than that of flat form and to present the building methodology and foun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ratio of lateral to longitudinal length of the roof has been adjusted by protruding the chunyeo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ratio of lateral to longitudinal length of the roof is considered to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woods to be used in chunyeo. Second, in order to symmetrically arrange the edge of the roof, which is critical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morphology, the chunyeo angle has been intentionally adjusted to reduce the gap of length between the front roof and the lateral roof. To sum up, the characteristic of the hipped and gable roof, which is difficult to be built in slender rectangular type, is more clearly shown in the roof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roof and the lateral roof has been intentionally adjusted to achieve the symmetrical arrangement of roofline of the roof edge.

통일신라건축 목조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at Unified Silla Architecture)

  • 황세옥;허범팔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1호
    • /
    • pp.7-29
    • /
    • 2009
  • In understranding the essence of the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jointing methods of architectural members, architectural technologies, etc.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rchitecture. It's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 A section of column has very close to do with the foundation stone. The structures of foundation stone and column are generally concluded by butt joint, arrow-head joint, housed joint by Grang-e method. Judu is structured by arrow-head joint And, in general, beam is structured by Sagaematchum Chumcha and sagaljudu of Don direction. At the head of Pyungju and the body of Goju, Changbang is structed by Jangbumachum with arrow-head joint or by jumukchang-machum. Also, it is surmised that Gyisoseum and Anssolim methods had been applied to columns from former ages. The example can be found at Bagjae Mireuksaji stone pagoda. Bagjae Mireuksaji stone pagoda taking wooden-pagoda form adopts Gyisoseum and Anssolim methods. We can also find such a sort of methods from other stone constructions like Budo, etc. 2. Injahwaban is structured by short Changbumachum with arrowed-head joint at upper members, and by Anjangmachum at the lower part. This sort of Gongpo style can be seen in the mural painting of tomb of Koguryo and in Buplyungsa, Buplyunsa, Bupkisa-located in Japan, which are influenced by Bakjae or Unified Silla. It is considered that at the end of the late United Silla, Injawhaban had been replaced with Chumcha and Soro on the Pyungbang under influence of Dapo style from China.

  • PDF

능원 정자각의 화반초각에 대하여 (A Study on the Hwaban-chogak of the Neungwon-Jeongjagak)

  • 전종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24-43
    • /
    • 2018
  • 정자각의 화반은 임란 이후 지난 300여 년간 모두 35곳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10년도 안 되는 간격으로 하나씩 만들어진 셈이다. 정자각은 대부분 이익공이라는 동일한 공포형식을 가지며 일정한 장식성이 요구되는 건물로 오랫동안 하나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화반은 이러한 역할에 충실하도록 배치된 건축요소이지만 세부적으로 볼 때 그 초각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현장답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필자는 여러 종류의 화반초각에서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지, 또한 초각을 새기던 장인들이 표현하려던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것을 나열하고 분류해 보았다. 그 결과 화반초각은 초각의 줄기가 시작되는 지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외형상으로 보면 하나는 초각의 흐름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모습이고 또 하나는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모습이다. 전자를 '하강형'이라 하고 후자를 '상승형'이라 분류하면서 그것에 대한 유래를 찾으려 시도하였다. 또한 이 '상승형'에는 1740년대를 전후로 연꽃이 유지되는 원형(原形)과 연꽃이 생략되는 변형(變形)이 장인의 장적(匠籍)제도와 관련되어 생겨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1796년에 완성된 "화성성역의궤"의 화반그림에 표현된 초각이 이후 100여 년간 조금씩 화려해지는 변화는 있었지만 큰 틀이 유지되는 경우도 역시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글은 단지 정자각의 화반이라는 부재로만 한정되었다. 앞으로 초각을 가진 익공을 비롯하여 대공과 안초공 등의 다른 부재들과 함께 종합적인 고찰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전통목조건축물 지붕곡과 기울기에 관한 연구 - 사찰의 주불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of curved ratio and slope of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 - Focused on the Central Hall of Buddhist Temple -)

  • 고정주;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94-3906
    • /
    • 2014
  • 본 연구는 정밀실측이 이루어진 국가지정문화재 중 사찰의 주불전을 대상으로 맞배지붕 건물과 합각지붕 건물로 구분하여 지붕에서 나타나는 앙곡, 안허리곡, 용마루곡과 지붕기울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배지붕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곡은 건물규모(면적), 내부 고주 유무 등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5량가 구조와 7량가 구조중에 규모가 큰 7량가 구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맞배지붕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곡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데 앙곡이 큰 건물에서 안허리곡도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붕기울기는 변수요인(평면요소, 입면요소, 단면요소)과는 크게 연관성이 없으며, 앙곡, 안허리곡, 용마루곡 크기는 공포의 외1출목과 외2출목에서 비슷한 크기였으나, 외3출목에서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합각지붕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곡은 맞배지붕 건물과는 다르게 서로 상관관계 없었는데, 전면과 측면은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전면의 곡이 크게 나타난 건물에서는 측면에서도 크게 나타났다. 넷째, 합각지붕 건물 내부에 고주가 있는 건물은 앙곡과 안허리곡이 크게 나타난 반면, 고주가 없는 건물에서는 작게 나타났으며, 용마루곡은 건물규모와 건물높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건물이 높거나 큰 건물에서 용마루곡이 크게 나타났다. 지붕기울기는 맞배지붕 건물에서와 같이 변수요인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다.

부여 무량사(無量寺)의 17세기 재건(再建)과 조영 계획(造營 計劃) (Reconstruction and building plan of Buyeo Muryang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 오세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60-79
    • /
    • 2015
  • 부여 무량(사無量寺)의 17세기 재건(再建)과 조영 계획(造營 計劃)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는 임진왜란 이후 무량사의 재건 과정과 후원 세력 등을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재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극락전의 건축적 특징과 의장 계획 등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무량사의 재건 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량사의 1624~1636년까지 1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된 중창 순서를 재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극락전의 재건시기를 1633년에서 1624년으로 조정하여 전체적인 무량사의 불사 순서가 1624년 극락전 중창, 1627년 괘불 조성, 1636년 소조삼존불 조성, 1636년 범종 조성으로 이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무량사 재건은 일반 사찰에 비해 13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진행되고 있어 강력한 후원 세력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특히 완주 송광사 불사를 주도적으로 이끈 진묵대사가 무량사 불사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진묵대사의 불사를 지원했던 송광사 후원 세력인 왕실 신씨 일가의 영향이 무량사까지 미친 것으로 보았다. 셋째, 무량사 재건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는 극락전의 건축적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무량사 극락전을 다른 중층 불전과 비교를 통해 건축형식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특히, 공포와 가구의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무량사 극락전과 완주 화암사 극락전이 동일한 계통의 장인이 만들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극락전을 조영하는데 사용한 309mm의 용척을 중심으로 건물의 의장 계획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극락전은 일반 조선후기 중층 불전에 비해 완벽한 비율이 확인되고 대체로 1 : 1.41의 황금비율이 건물의 곳곳에 남아있다. 또한 극락전의 안정적인 의장은 조선후기 무량사 재건 당시 이미 전체적인 가람의 조영 계획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