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icient Description Method for Hanok Components Reflecting Coupling Scheme of Wooden Structure

목조건축의 결구방식을 고려한 효과적인 한옥부재 표현 기법

  • 안은영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 ;
  • 김재원 (선문대학교 기계공학부)
  • Received : 2010.08.11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a comprehensive method to describe architectural components for supporting Korean Traditional Building design with only small components set in CAD system.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can be classified variously based on the their size, usage and structure type(whether ornament part, namely Gongpo, is in there or not). Moreover component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mbining rule between them. If all of these components are presented, these tremendous components rather prevent the efficient design of traditional building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esent object-oriented approach to describe versatile components as one template if they are same in functional aspects. From the template, many similar instances can be deriv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value. The templates are designed in order to reflect the coupling scheme between components in the relative parameters of the templates. It leads effects of minimizing error which can be occurred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traditional building design.

본 논문은 한옥 설계 지원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서 부재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한옥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부재 표현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옥은 규모, 지붕의 모양, 공포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결구방식 및 연결부재에 따라 부재의 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부재를 모두 설계하게 되면 설계 시에 부재의 사용과 취급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남 표준한옥올 중심으로 한옥의 목구조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여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청, 영조규범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2. 전라남도청, 한옥시공 매뉴얼, pp.50-115, 2006.
  3. 조준범,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pp.83-96, 2008.
  4. 장기인, 한국건축대계 V 목조, 보성각, pp.173-324, 1993.
  5. 최진원, 황지은, "한국전통건축 목구조의 분석과 자료 모델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제2호, pp.81-88, 2002.
  6. Jin-Won Choi and Jie-Eun Hwang, "KotaView: simulating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teractively and intelligently on the web,"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4, pp.1-14, 2005. https://doi.org/10.1016/j.autcon.2004.01.002
  7. 김왕직, 그림으로 보는 한국건축용어, 발언, 2000.
  8. Marie Kim, "A Program Development of 3D Documentation System for the Korean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CAADRIA 2000, pp.469-477, 2000.
  9. Kim Inhan, Thomas Liebich, and Tom Maver, "managing design data in an integrated CAAD environment: a product model approach,"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7, No.1, pp.35-53., 1997. https://doi.org/10.1016/S0926-5805(97)00036-8
  10. 신영훈,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 한옥건축, 현암사, pp.162-341, 2003.
  11. ArchiCAD12 GDL Reference Manual, Graphisoft, pp.31-114, 2009.
  12. David Nicholson-Cole, The GDL Cookbook 3, Marmalade Graphics, 2001.
  13. Dobelis M, "GDL-New era in CAD," Porc. of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Engineering Graphics BALTGRAF-6. Riga, Latvia, pp.198-203, 2002.
  14. 김인한, "BIM 적용에 따른 건설분야의 변화 및 동향," CAD&Graphics, pp.100-101. 2008(2)
  15. 문기현, 대목-사진과 도면으로 보는 한옥 짓기,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p.60-93, 2005.
  16. 김상훈, 안은영, 박춘명, "건축설계를 위한 전통가옥의 부재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춘계학술대회, pp.195-199, 2009.

Cited by

  1. Deep Learning Model for Form Recognition and Structural Member Classification of East Asian Traditional Buildings vol.12, pp.13, 2011, https://doi.org/10.3390/su12135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