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mic Acid

검색결과 2,013건 처리시간 0.034초

침자극(鍼刺戟)이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를 급여(給與)한 흰쥐의 체지질구성(體脂質構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cupuncture on Lipid Composition in Rat Fed High Fat Diet)

  • 오세웅;이은;이준무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65-80
    • /
    • 2001
  • Effects of $LR_3$(太衝), $GB_{39}$(懸鍾) and $SP_4$(公孫) acupuncture on lip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in rat fed high fat die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all treatment groups, the body weight values after feeding the basal diet for 4 week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body weight. However the decrement of body weight showed a high in acupuncture group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acupuncture groups, the decrement of body weight showed a high in the $LR_3$ acupuncture groups. 2. The contents of plasma ${\beta}$-lipoprotein and free fatty acid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acupuncture group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nd the values of $LR_3$ acupuncture groups showed a low in the acupuncture groups. 3. The contents of plasma triglyceride showed a low values in the complex treatment group of $LR_3,\;GB_{39}$ and $SP_4$. However among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is value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s of liver triglycerid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acupuncture groups except to the complex treatment group of $GB_{39}$ and $SP_4$ acupuncture and in the acupuncture groups, $LR_3$ acupuncture groups were lower than $GB_{39}$ and $SP_4$ acupuncture groups. 4. The contents of plasma glucos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the acupuncture treatment and $LR_3$ acupuncture groups showed a lower values than other acupuncture groups. 5. In the values of plasma glutamic oxaloacetate transferase activity, $LR_3$ acupuncture group and the complex treatment group of $LR_3,\;GB_{39}$ and $SP_4$ acupuncture were a lower values than other treatment groups and among the other treatment group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values of plasma glutamic pyruvate transferase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treatment groups. 6. Contents of plasma and liver tota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LR_3$ acupuncture groups. However those of the other group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7. In the contents of plasma LDL-cholesterol, $LR_3$ acupuncture groups were a lower values than other groups, however among the other group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s of plasma HDL-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acupuncture groups, however these value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 PDF

가미청폐사간탕(加味淸肺瀉肝湯)이 고지방식이 비만생쥐의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i-Cheongpyesagan-Tang on Body Fat in High Fat Diet-Fed Obese Mice)

  • 금선오;이하일;이종하;윤용일;권영미;송용선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5-92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i-cheongpyesagan-tang extract (GCST)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Methods: The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et control, high fat diet control (HFD), HFD+GCST administrated group (100, 200, and 400 mg/kg) and olistat-admistrated group. Obesity was induced by high fat diet (45%) for 7 weeks in mice, and GCST was administrated orally every day for 7 weeks. The body weight, food intake, and serological markers such a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ipid contents, leptin, adiponectin and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were measured in mice. The mRNA expression of obese-associating genes such as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REBP)-1c, fatty acid synthase (FAS), stearoyl-CaP desaturase (SCD-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alpha}$, COA oxidase (ACO),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CPT-1{\alpha}$) was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administration of GCST at 400 mg/kg,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 of body weight and food intake as well as food efficiency compared to HFD group. GCST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ptin in HFD control group and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liver and adipose tissues, but did not increase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In the liver tissues of GCST administrated HFD group, the mRNA levels of SREBP-1c, FAS and SCD-1 were decreased and the mRNA levels of $PPAR-{\alpha}$, ACO, and $CPT-1{\alpha}$ were increased.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CST could improve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through inhibiting the hyperlipidemia in fatty Liver. It suggest that GCST may be used clinically for declining the accumultion of body fat with hyperlipidemia.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김보은;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6-191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매화의 건조별, 품종별 일반성분은 생화를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82.5{\sim}84.2%$, 조섬유 $2.5{\sim}3.1%$, 조단백질 $2.6{\sim}3.1%$, 조지방 $0.67{\sim}0.84%$, 조회분 $0.22{\sim}0.60%$ 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1{\sim}11.2%$로 나타났으며, 동결 건조에서는 수분 16.4%, 음건 13.3%로 나타났다. 품종에 따른 일반성분은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 매화의 생화, 동결건조, 음건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생화를 제외한 동결건조와 음건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유리당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청축 생화 유기산 분석결과 citric acid, malic acid가 각각 0.82%, 0.41% 검출 되었고 품종별 함량은 청축>고성>백가하순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품종별 무기성분의 함량은 3품종 모두 K가 가장 높았으며 건조별 무기성분 함량을 보면 음건한 시료가 동결 건조된 시료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각각의 품종별로 palmit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건조별로는 지방산 함량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비타민 C 함량은 청축의 경우 생화 64.3 mg%, 동결건조 480.5 mg%, 음건 442.3 mg%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을 살펴보면 세 품종 모두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은 청축>백가하>고성 순으로 나타났다.

건조감귤박 및 소맥피를 급여한 말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ried-Citrus Pulp and Wheat Bran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Horses)

  • 채현석;김남영;조인철;조상래;조원모;박용상;오신애;장애라;성필남;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219-227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농산부산물인 건조감귤박을 활용하여 말 사료로서의 이용성을 구명하고 사육이 완료된 말을 도축하여 육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급여한 농산부산물은 소맥피만 급여한 처리구와 건조팰렛감귤박(20%)에 소맥피(80%)를 혼합한 처리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농산부산물 급여는 1일 2회 체중의 1.5%를 기준으로 급여시켰고 물과 건초는 자유 급식시켰다. 일당증체량의 변화는 소맥피급여구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료요구율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소맥피 단독 처리구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말고기의 도체율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소맥피처리구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육량등급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육색에서 명도($L^*$)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에서 더 밝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황색도($b^*$)는 오히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말고기의 물리적 변화에서 전단력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면서 보수력과 가열감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일반성분에서 지방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성분은 비슷하였다. 무기물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Ca, K, Mg, Cu, Mn이 소맥피처리구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아미노산에서는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methionine, glutamic acid, glycine이 소맥피처리구보다 약간씩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stear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arachidonic acid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농산부산물로써 소맥피의 일부를 건조감귤박으로 대치하여도 비육 사료로 손색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지별 식용 귀뚜라미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dible cricket (Gryllus bimaculatus) in different districts)

  • 김은미;김대현;임정호;장윤제;이용환;박진주;안미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31-83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식용 귀뚜라미의 산지별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산지별 귀뚜라미의 조단백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17.67~20.53%와 4.21~6.13%로 나타났다. 산지별 동결건조 귀뚜라미의 조단백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59.42~67.40%와 14.04~20.61%로 육고기 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남 영광과 강원 원주의 조지방 함량이 20.61 및 19.64%로 타지역 14.04~16.03%보다 높게 나타났다. 산지별 통계적 유의차는 있었지만(p<0.05), 실제 함량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의 경우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가 각각 20 g/100 g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linoleic acid 함량이 강원 원주에서 37.85 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경남 거창이 29.74 g/100 g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이 각각 18.01~22.80 g/100 g과 30.64~35.28 g/100 g을 나타내었다. 필수 아미노산 중 valine, leucine, lysine 함량이 높았다. Valine의 함량은 전남 영광이 2.92 g/100 g으로 타지역 3.97~4.47 g/100 g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glutamic acid 함량은 경남 거창이 6.91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칼륨 및 인의 함량이 0.92~1.01 mg/100 mg 및 0.74~0.88 mg/100 mg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망간과 구리 함량은 낮으나, 아연은 강원 정선 및 경기 화성이 299 및 170 ppm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은 납이 경남 거창지역에서만 0.26 ppb가 검출 되었으며, 타지역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카드뮴은 전남 영광, 강원 정선 및 경남 거창에서 각각 0.07, 0.03 및 0.03 ppb가 검출 되었으며, 타지역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은 함량은 충북 충주 및 전남 영광에서 1.00 및 3.30 ppb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발견된 중금속은 CODEX와 식품공전의 중금속 허용기준에 극히 미달되는 함량으로 나타나 식품원료로서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2. Processing of Paste Food, Protein Concentrate, Seasoned Dried Product, Powdered Seasoning, Meat Ball, and Snack)

  • 박영호;이응호;이강호;변재형;김세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80
    • /
    • 1980
  • 크릴을 원료로 하여 품에 대한 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실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rill paste의 제조에 있어서 krill juice는 $71\%$, krill scrap는 $29\%$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krill juice에서 분리한 krill paste는 $53\%$, krill broth는 $4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Krill paste의 아미노산 조성은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았고,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높았고 methionine의 함량이 낮았다. 2. 크릴분말단백질의 제조에 있어 최적가공조건은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90\%$ isopropyl alcohol나 ethyl alcohol을 가하여 $80\%$에서 5분간 추출하는 조작을 5회 반복하는 것이었다. 추출용제로서는 ethyl alcohol 보다 isopropyl alcohol이 양호하였으며, 크릴분말단백질의 수율은 생동결크릴의 경우는 isopropyl alcohol 추출때가 $10.2\%$ ethyl alcohol 추출때는 $8.8\%$였고, 자숙동결크릴의 경우는 각각 $13.0\%$$11.8\%$였다. 크릴분말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생육질부의 아미노산조성과 거의 비슷하였다. 한편 크릴분말단백질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원료 밀가루에 대하여 $3\%$까지 첨가 한 것이 국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단백질을 강화할 수 있다고 판정하였다. 3. 크릴조미조림품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볼 때 열풍건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일건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이며, 자숙냉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못 하였다. 4. 크릴의 건조분말에 볶은참깨가루, 소금, 분말우육엑스, monosodium glutamate, 고추가루 및 후추가루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분말조미료를 만들 었을 때의 품질은 색택에 있어서는 열풍건조크릴을 사용한 것이 양호하였고, 냄새는 일건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열탕에 녹였을 때의 풍미는 sample B(크릴함량 $77\%$)가 가장 적당하였다. 5. 크릴 및 조기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밀가루, monosodium glutamate 및 소금을 첨가하여 krill meat ball을 만들어 그 색택, 맛 냄새, texture 및 젤리강도 등에 대하여 관능검사를한 결과, 크릴의 첨가량이 $25\%$까지의 제품이 양호하였으며, 생동결 및 자숙동결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의 품질차는 인정할 수 없었다. 6. 크릴, $\alpha$-전분, 고구마전분, 설탕, 소금, monosodium glutamate, glycine, 주석산칼리, 중탄산암모늄 및 중탄산소오다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크릴${\cdot}$스낵${\cdot}$과자를 만들어 품질을 비교 검토한 결과 sample B(크림함량 $7.1\%$) 및 sample C(크릴함량 $10.8\%$)서 가장 양호하였다. 크릴${\cdot}$스낵${\cdot}$과자의 제조에 있어서 각종 전분의 가공적성을 시험한 결과 고구마전분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옥수수전분, 갈분의 순이었으며, 밀가루가 가장 못 하였다. 튀김방법은 소금튀김에 비하여 기름튀김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있고, 튀김온도는 $210\~215^{\circ}C$가 적당하였다.

  • PDF

비지 koji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 sauce fortified with soymilk residue (okara koji))

  • 송영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18-826
    • /
    • 2013
  • 본 연구는 비지 koji를 제조하여 개량식 알메주와 0, 50, 100%비율로 혼합하여 90일간 발효시켜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품질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금액의 염농도는 17.15~17.22%를 나타내었으며, 비지 koji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수용성 고형분은 각각 8.73, 6.12, 2.50%로 감소하였으며, 간장의 완충능은 알메주만을 사용한 경우에 1.2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액의 pH는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비지 koji 50%에서 4.92를 나타내었다. 알메주, 비지 koji 50, 100% 각각 첨가한 간장의 산도는 1.09, 0.98 및 0.47%로 나타났다. 비지 koji 50%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간장에서 protease와 ${\alpha}$-amylase의 효소활성은 발효 30일에 각각 26.55, 6.41 unit/mL로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yrosine 함량은 발효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발효 90일에 275.2 mg%로 비지 koji 50%를 사용한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발효 초기에는 알메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 60일에는 비지 koji를 첨가한 간장에서 높은 총당 함량을 보였으며 9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간장용액 갈색도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00/500 nm에 대한 흡광비율값의 범위는 알메주 100%(1.25~3.65), 비지 koji 50%(1.25~3.65), 비지 koji 100%(1.25~5.14)로 나타났다. 알메주 또는 비지 koji 50%를 첨가한 경우에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glutamine을 제외한 glutamic acid 등 대부분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비지 koij 100%를 사용한 간장은 매우 낮은 총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지 koji 50%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조간장은 짠맛과 색도에서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알메주 만을 사용한 간장의 기호도가 좋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알메주에 비지 koji 50%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양조간장은 일반성분, 색상과 맛 등 기호성이 양호하였다.

Glufosinate-ammonium에 대(對)한 수도(水稻)(Oryza sativa L.)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 (Responses of Rice Cultivars to Glufosinate-ammonium)

  • 홍석영;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4
    • /
    • 1991
  • Glufosinate-ammonium에 대(對)한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의 반응차이(反應差異)를 구명(究明)하고자 glufosinate-ammonium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반응(反應), 총(總)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단백질(蛋白質) 패턴의 변화(變化),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活性), 축적(蓄積)된 암모니아 함량(含量), 유리(遊離) 아마노산 조성변화(組成變化)를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한 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lufosinate-ammonium 10ppm 에 대한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을 보면 Fukei 126과 탐진벼의 신초(新鞘)의 길이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각각(各各) 96%, 100%로 내성품종(耐性品種)으로, 영덕벼, 팔공벼, 남영벼는 신초(新鞘)의 길이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각각(各各) 40%, 39%, 37%로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으로 분류(分類)하였다. 2. 총(總)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내성품종(耐性品種)으로 선발(選拔)된 Fukei 126과 탐진벼는 무처리(無處理)에서 240.0, 207.2 ${\mu}g$/100${\mu}l$이던 것이 처리(處理)에서 234.0, 184.0 ${\mu}g$/100${\mu}l$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97.5%, 88.8% 이었고,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_으로 선발(選拔)된 영덕벼, 팔공벼, 남영벼는 무처리(無處理)에서 255.4, 204.4, 236.3${\mu}g$/100${\mu}l$이던 것이 처리에서 181.1, 160.7, 191.0 ${\mu}g$/100${\mu}l$으로 각각(各各)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70.1%, 78.6%, 80.8%로 내성품종(耐性品種)에 비(比)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3. 단백질(蛋白質)패턴의 변화(變化)는 내성품종(耐性品種)인 탐진벼에서는 glufosinate-ammonium 10ppm 처리시(處理時)에도 band의 density의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으로 선발(選拔)된 남영벼에서는 66kD 상위(上位)에서 band density가 감소(減少)하거나 사라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D-PAGE에서도 마찬가지로 내성(耐性)인 탐진벼의 경우(境遇)는 spot의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던 데 비(比)해 감수성(感受性)인 남영벼에서의 경우(境遇)는 45kD와 66kD사이, 20kD 부근에서 spot의 density가 감소(減少)하거나 사라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活性)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각각(各各) 44, 86${\mu}mol$ GHA/mg protein/min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처리(處理)의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비(比)가 51.2%이었고, 감수성(感受性)의 남영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23, 68${\mu}mol$ GHA/mg protein/min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33.8%로 나타나 내성(耐性)의 탐진벼에 비(比)해 다소(多少) 약(弱)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5. 암모니아의 체내축적량(體內蓄積量)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각각(各各) 1.46, 0.44mmol/g FW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암모니아 함량(含量)의 비(比)가 331.8%이었고, 감수성(感受性)의 남영벼는 3.08, 0.35mmol/g FW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905.9%로 나타나 내성(耐性)의 탐진벼에서보다 약 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의 조성(組成)은 glutamine synthetase 기질(基質)인 glutamic acid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4.879, 16.599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29.4%로 줄어든 반면(反面), 감수성(感受性)인 남영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가 13.221, 3.021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오히려 약 430%로 증가(增加)되어 glutamine synthetase 기질(基質)로 이용(利用)되지 못하고 남아있었다.

  • PDF

속성 멸치간장 엑기스분의 저장 안정성 및 정미성분 (Keeping Quality and Taste Compounds in the Extracts from Rapid Fermented Anchovy Sauce)

  • 이응호;안창범;김진수;이강희;김명찬;정부길;박희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42
    • /
    • 1989
  • 멸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속성멸치간장엑스분을 제조하여 저장중 품질안정성 및 맛성분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통째로 마쇄한 멸치육에 대해 제품(C)는 물 50%(w/w)를, 제품(A)는 코오지 10%(w/w)와 물 50%(w/w)를, 제품(B)는 제품(A)의 조성에 분리 대두단백질5%(w/w)를 첨가하여 제조한 멸치간장 엑스분의 제조 직후 pH, 적정산도 및 아미노질소는 제품(A)., (B)가 각각 $5.34{\sim}5.37$, $3.68{\sim}3.75ml$, $208.6{\sim}226.4mg/100g extracts$으로 제품(C)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장중 거의 변화가 없었다. 갈변의 정도는 제품(A), (B)가 제품(C)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중 생균수는 제품의 종류 및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30/g extracts 이하였고, histamine 함량은 제품(C)가 제품(A) 및 (B)에 비해 많았으나 histamine 중독한계선인 100mg/100g extracts에는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각 제품의 맛성분을 보면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제조 직후 $2475.3{\sim}3539.1mg/100g\;extracts$이었고, 저장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lanine, glutamic acid, histidine, lysine, leucine 및 valine 등이었으며 이들은 전체의 $60.4{\sim}64.3%$, 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은 전 제품에서 모두 hypoxanthine 함량이 가장 많았고, 불휘발성유기산은 lactic acid가 전체의 $68.2{\sim}7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omission test의 결과로 보아, 속성멸치간장엑스분의 맛에는 유리아미노산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음으로 핵산 관련물질, 불휘발성유기산, betaine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된다. 관능검사 결과, 코오지와 분리대두단백질을 첨가한 제품(B)는 천연조미료 및 수우프의 재료로서 손색이 없는 제품이었다.

  • PDF

Lipoxygenase 결핍된 Non-GM콩의 특성 (Properties of Non-GM Soybeans with Lipoxygenase Free Genotypes)

  • 이수정;김인성;이혜진;정종일;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29-1637
    • /
    • 2013
  • Lipoxygenase(LOX)가 결핍된 non-GM콩인 개척#1(검정콩, LOX2,3-free), 개척#2(황색콩, LOX2,3-free) 및 진양콩(황색콩, LOX1,2,3-free)의 이화학적 특성과 두부 수율을 LOX가 존재하는 태광콩(황색콩, LOX1,2,3-present)과 비교하였다. 콩의 길이 및 백립중은 태광콩에 비해 개척#1이 유의적인 차이로 컸으며, 황색콩에서는 LOX가 결핍된 품종이 태광콩보다 크기 및 중량이 다소 작았다. 콩을 12시간 동안 수침한 후 콩의 중량 증가율은 217.07~226.55%로 개척#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적인 색차(${\Delta}E$)는 개척#1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3종의 황색콩은 시료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이 17.30%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OX가 결핍된 콩은 13.71~14.66%로 시료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개척#1(34.79%)이 타시료(32.93~33.47%)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량은 개척#1이 32.42 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개척#2와 태광콩은 비슷한 함량이었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LOX가 결핍된 콩이 태광콩에 비해 더 많았으며, 특히 개척#1(1672.54 ${\mu}g/g$)에서 가장 높았다. 콩의 총 페놀 함량은 개척#1이 27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척#1(26.93 mg/100 g)이 타 시료에 비해 2.6~2.8배 정도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개척#1이 타 시료에 비해 높았다. Non-GM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수율은 개척#2에서 가장 높았다. 황색콩인 개척#2는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측면에서 태광콩과 유사하였고 두부 수율이 높아 두부 제조에 적합한 품종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