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ving Behavio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초

일상적 나눔행동과 유산기부 의향의 인과관계 추정: 성향점수 매칭(PSM) 분석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iving & Volunteering Behavior and Charitable Bequest Intention: Analysis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 강철희;안성호;김윤경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3호
    • /
    • pp.85-117
    • /
    • 2012
  • 본 연구는 나눔의 꽃이라 여겨지는 유산기부에 초점을 두고 기부 및 자원봉사 행동 등과 같은 일상적 나눔의 행동이 유산기부 의향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과적 관계의 분석을 위하여 2011 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한 성향점수 매칭 분석이 활용되었다. 기부 및 자원봉사에의 참여 및 정기성을 기준으로 여섯 가지로 세분화된 나눔의 행동을 구분하고 이들 각각의 유산기부의향에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적 나눔행동의 유산기부의향에의 영향력 관계에서는 일관적인 패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본적으로 나눔행동이 결합적인 경우 그리고 정기적인 경우 유산기부의향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유산기부와 관련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며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향후 유산기부자 개발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

Gift-giving Behaviors via SNS Mobile App: An Exploratory Study of Fashion Products

  • Ji Yoon Kim;Jiyeon Lee;Kyu-Hye Lee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6호
    • /
    • pp.110-123
    • /
    • 2023
  • As social distancing strengthened after the COVID-19 incident, people looked for things they could do alone. Additionally, as people have more financial resources, they purchase products they had previously considered purchasing, and the phenomenon of giving gifts to oneself has also appear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fashion product reviews of KakaoTalk Gift, the service to exchange gift via SNS mobile app, to discover the phenomenon of self-gifting and the differences from interpersonal-gifting. For post-hoc data, in collected 18,354 pieces after excluding unnecessary data using a Python-based web crawling technique. The self-gifting behavior of KakaoTalk Gif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for self-gift. Regardless of the gift-giving contexts, it determines that most self-gift products are material items. There are differences in product types and price levels when choosing gifts for others and oneself. As a self-gift, people typically buy luxury jewelry and branded bags/wallets to wear and show off. As interpersonal, among fashion products, people usually buy beauty products that reflect less personal tastes. When gift-giving to others, people buy products to appropriate prices to reduce the burden on both. When gift-giving to oneself, people buy wanted products regardless of the pri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self-gift research by limited online places to give gifts.

의복소비가치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의복처분행동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Demographic Features on Clothing Disposal Behaviors)

  • 안수경;류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56-96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s, demographic features, and clothing disposal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women aged between 20 and 59 through the online survey wit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serie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s. Clothing consumption values consisted of six dimensions including conditional value, individuality value, fashion value, social value, practical value, and self-expression value.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s were discovered as four dimensions such as discarding, giving, selling, and dona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disposition behaviors. While individuality value, fashion value, and practical valu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donating, giving, and discarding behaviors, both practical value and self-expression value negatively influenced discarding behavior. Fashion value negatively affected giving behavior. Employing a series of MANOVA, one-way ANOVA and sheffe's multiple range te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ag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and monthly clothing expenses on giving and donating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that fashion firms should be aware of clothing disposition in term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oncerns and understand diverse consumer disposal behaviors and utilize them as a social marketing strategy.

자선에서 연대로, 동정에서 공감으로: 노란봉투 캠페인의 사례연구 (From Charity to Solidarity, Sympathy to Empathy: The Case of Yellow Envelope Campaign)

  • 안효미;남기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1-159
    • /
    • 2019
  • 기부는 공동체를 향한 사회구성원들의 자발적 실천으로 사회적 연대감을 형성하고 갈등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사회는 기부참여율과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부문화가 동정심에 기반한 자선적 기부에 집중되면서 공동체의 연대를 목적으로 하는 기부는 상당히 취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2014년 '노란봉투 캠페인'을 중심으로 기부행위가 사회적 연대와 공감으로서 확장되는 현상의 변화동인과 속성을 분석한다. 기부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해고노동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공감하고 내면화하면서 해고노동자를 수혜대상으로 바라보지 않고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하는 동료'로 인식하고 있으며, 같은 노동자이자 사회구성원으로서 공동의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 동질감(소속감)과 함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협력적 네트워크, 어려움이 처했을 때 도와줄 이웃이 있다는 호혜와 신뢰를 형성했다. 경제적 빈곤보다는 개인들이 파편화, 고립화로 인해 정서적 빈곤을 겪는 현대사회에서는 물질적 자원의 기부도 필요하지만, 정서적 공감과 연대로서의 기부가 확산되는 현상은 우리사회 변화의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의복 처분행동의 결정요인과 효과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and their Effect)

  • 안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79-893
    • /
    • 2016
  •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clothing disposition and examines their effect on the dimensions of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The data of 316 women were collected nationwide using an onlin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is study initially identified five types of disposition behavior as revising, permanent separation, giving away, selling, and donating to charity. 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dentified the underlying determinants of clothing disposition as self-concept, reusability, economic factor, social environment, affective association, storage, fashionableness, and a sense of belongingnes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ix out of eight determinants significantly affected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The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and a sense of belongingness were relatively strong determinants that influenced the four types of disposition behaviors. However, self-concept and affective association did not influence the disposition behaviors. A series of one-way M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eight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four modes of clothing disposition. Giving away, permanent separation, and donating to char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groups of thre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monthly income, and marital status. This study empirically elucidates what criteria consumers use when confronted with unused clothing and how the determinants of clothing disposition influence the modes of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and its determinants as well as suggests a new approach to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and improvements in marketing decisions.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한 분석 (An Exploration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rust)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5-32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의 발전에 기초가 되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에 관해서 2004년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 의해서 구축된 전 국민 대상 기부 및 자원봉사 인터뷰 서베이 자료를 기초로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검증된 바인 신뢰가 기부 및 자원봉사의 예측요인이라는 사실에 더해서, 그 반대적 관계 역시 실증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밝힌다.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 및 Putnam(1993)의 논의에 기반해서 본 연구는 쌍방적 관계의 모형을 구성한 후,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가 신뢰에서 기부 및 자원봉사로 이어지는 일방적인(unilateral) 것만이 아니라 그 반대적 관계도 존재하는 쌍방적인(bilateral) 것임을 밝힌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자선행동의 사회화 효과 및 세대간 전승 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시절의 기부 및 자원봉사 교육의 영향력 그리고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의 영향력 역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는 선순환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기부 및 자원봉사의 촉진을 위해서 신뢰의 우선적 구축도 중요할 수 있으나 동시에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에 참여케 하는 것 역시 신뢰의 구축을 위해서 매우 효율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논의한다. 아울러서 자선행동의 사회화 및 세대간 전승 효과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 등에 관해서 논의한다.

  • PDF

기부중단자의 특성 및 기부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apsed donors' characteristics and giving behavior)

  • 정정호;김미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241-266
    • /
    • 2008
  • 개인기부자는 비영리기관의 사회적 신뢰 및 자원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기반으로, 기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기부자, 기부자, 기부중단자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기부중단자의 특성 및 중단이후 기부행위에 관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초기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부분의 기부중단자는 경제적 상황과 관심의 변화(타기관 혹은 다른 대의명분으로의 관심이동)로 인해 특정기관에 대한 기부중단을 결정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기부실망자가 아니고, 따라서 기부를 아예 중단하기보다는 기부를 다시 시작하는 경향이 높다. 그리고 이전 기부대상에 대한 신뢰(긍정적인 기부경험)는 이처럼 기부중단자가 다시 기부를 시작하게 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기부자의 기관신뢰는 비영리기관의 현 기부자 유지 차원에서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기부를 중단한 이후에도 비영리부문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고 다시 기부를 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비영리기관과 기부자와 맺는 긍정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경제적, 사회적, 개인적 효익이 모바일 선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환이론과 동기이론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Economic, Social, and Personal Benefits on Intention to Repurchase a Mobile Gift : Focusing on Exchange and Motivation Theories)

  • 김선규;조인제;양성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1
    • /
    • 2015
  •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launched a new business model related to the mobile gift service in order to achieve or sust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fast-growing mobile market. Due to the well combination of mobile technology advantages and offline gift-giving motivations, a mobile gift service has been proliferating over recent years. Although the motivation of mobile gift purchasing behavior can be different from that of offline gift purchasing behavio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what factors are influencing and how they are impacting mobile gift purchasing behavior under diverse gift-giving settings. Therefore, based on both exchange and motivation theories as well a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dentified three influencing factors-economic (immediate rewards, convenience), social (friendship needs, reputation), and personal (enjoyment, self-satisfaction) benefits-and validated their impacts on intention to repurchase a mobile gift. Moreover, the moderating roles of intimacy and gift pri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benefits and mobile gift repurchasing inten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on how to enhance consumers' intention to repurchase, which in turn leads to sales and increased profit.

가구단위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 - 자산, 소득, 자산 대비 소득의 효과 - (Giving Behavior of Households - Effects of Asset, Income, and the Ratio of Income to Asset -)

  • 강철희;최정은;장재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53-74
    • /
    • 2016
  • 본 연구는 가구단위의 경제상황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가구단위 경제상황을 가구의 유형별 소득과 자산, 자산 대비 소득으로 측정한 후 각각의 변수들이 자선적 기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지료 중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조사 자료인 5 ~ 7차년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총 4,938가구의 3개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확률효과 패널 토빗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자산과 근로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의 규모가 커질수록 기부 금액이 증가하는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대비 소득의 비율은 자선적 기부에 대해 부적인 방향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경우,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가구크기는 정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고, 연령의 경우 역U자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구 단위의 경제적 요인들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자료를 토대로 검증해 봄으로써 가구단위 기부행동의 이해를 더욱 제고 및 확장시킨다는 점 그리고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가구 단위 개입전략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