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seedling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초

산양삼 재배지의 기상특성 및 생육에 관한 연구 (Weather Characteristic and Growth of a Forest Ginseng Cultivation Site)

  • 이동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63-870
    • /
    • 2010
  • 산지에서 재배되는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재배지 내에 $20{\times}20$ m 방형구를 설치하고 설치된 지역의 입지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입지특성에 관해서는 상층을 위주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임관울폐도는 균일하게 80%로 조절하고, 조사지내의 시험구는 미세기후를 측정하기 위한 Hobo를 설치하여 재배지의 기온, 토양내 온도변화 등을 측정하고 지역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구의 입지특성은 모든 조사구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험구내의 토양 특성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산림토양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4월경 지상부가 출현하는 시기에는 $15^{\circ}C$이상의 적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온도가 상승하여 $8^{\circ}C$에 도달하면, 산양삼의 정단부에서 출엽을 시작하며, 지중온도가 $18^{\circ}C$를 넘어서면 낙엽이 지기 시작한다. 묘삼 식재의 경우 초기 출아율이 높으나 3년이후 급격히 출아율이 감소하여 자연도태가 이루어지고, 종자 파종의 경우에는 초기 출아율이 묘삼식재보다는 낮으나 자연도태율이 묘삼식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의 묘삼수량(苗蔘收量) 및 상토특성(床土特性) (Seedling Production and Soil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Nursery Field in Ginseng Plantations)

  • 이종철;변정수;안대진;김갑식;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0-55
    • /
    • 1986
  • 묘삼생산(苗蔘生産)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양직묘포(養直苗圃) 32,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 19개포장(個圃場)에서 묘삼수량(苗蔘收量)과 묘포토양(苗圃土壤)의 이(理), 화학성(化學性)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율(發芽率)은 양직묘포(養直苗圃) $78.5{\pm}3.0%$,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 $77.8{\pm}2.8$였으며 파종입수(播種粒數)에 대(對)한 묘삼총생산본수비율(苗蔘總生産本數比率)(성묘율(成苗率))은 양직묘포(養直苗圃) $62{\pm}13.5%$,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 $53{\pm}12.6%$였다. 2. 파종입수(播種粒數)에 대(對)한 사용가능묘삼비율(使用可能苗蔘比率)은 양직(養直) $42{\pm}12.5%$, 반양직(半養直) $26{\pm}12.1%$였으며 사용가능묘삼수(使用可能苗蔘數)는 양직묘포(養直苗圃) $627{\pm}187$본(本)/간(間)(간(間)=$180{\times}90cm$의 면적(面積)),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 $368{\pm}182$본(本)/간(間)이었다. 3. 성묘본수(成苗本數)에 대(對)한 불용묘삼수비율(不用苗蔘數比率)은 양직묘포(養直苗圃) 34%,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 51%였다. 4.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과 지하부생육간(地下部生育間)에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5. 양직묘포(養直苗圃)에서 경장(莖長) 및 엽장(葉長)은 조사함량(粗砂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 극세사함량(極細砂含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각각(各各) 인정(認定)되었다. 6. 사용가능묘삼비율(使用可能苗蔘比率)과 중사(中砂), 세사(細砂) 및 극세사(極細砂)의 총함량(總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 조사함량(粗砂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각각(各各) 인정(認定)되었다. 개체근중(個體根重)과 중사(中砂), 세사(細砂) 및 극세사(極細砂)의 함량간(含量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7. 유기물(有機物),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양직묘포(養直苗圃)에 비(比)해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에서 많았으나 석회(石灰)의 함량(含量)은 오히려 양직묘포(養直苗圃)에서 많았다. 8. 주당엽면적(株當葉面積)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경장(莖長)은 석회함량(石灰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각각(各各) 인정(認定)되었고,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과 토양요인간(土壤要因間)에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에서는 개체근중(個體根重)과 유기물(有機物) 및 고토함량간(苦土含量間)에는 각각(各各)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으나 양직묘포(養直苗圃)에서는 어느 요인(要因)과도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토양수분함량이 묘삼의 광합성 및 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Content on Photosynthesis and Root Yield of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

  • 이성우;현동윤;박춘근;김태수;연병열;김충국;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67-370
    • /
    • 2007
  • 토양수분함량이 묘삼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비가림 시설하우스에서 토양수분을 $100{\sim}400$mbar 수준으로 조절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합성량은 토양수분의 감소에 따라 차차 감소되었는데, 토양수분이 매우 적은 조건에서는 뚜렷이 감소되었다. 2. 광합성량은 $25^{\circ}C$보다 $30^{\circ}C$에서 뚜렷이 감소되었으며, 광포화점은 온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25^{\circ}C$에서는 약 $600{\mu}mol/m^2/s$로 높았으나 $30^{\circ}C$에서는 약 $300{\mu}mol/m^2/s$로. 낮아졌다. 3. 증산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감소되었는데, 토양수분이 많았던 처리에서는 온도에 관계없이 고광조건에서 증산량이 매우 많았으나 $30^{\circ}C$의 고온과 400 mbar의 낮은 토양수분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4. 엽장, 엽폭, 엽록소함량 및 잎의 수분함량은 토양수분의 감소에 따라 차차 감소되었으며, 고온장해율은 토양수분이 감소될수록 뚜렷이 증가되었다. 5. 총근중, 주당근중 및 본포에 이식이 가능한 묘삼의 수량성은 토양수분의 감소에 따라 뚜렷이 감소되어 묘삼생산에 적합한 토양수분함량은 용수량의 63% (절대수분함량 18.9%) 수준이었다.

Effect of Seeding Depth and of Soil Texture on Seeding Emergence and Root Shape of American Ginseng

  • Li, Thomas S.C.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15-118
    • /
    • 1997
  • Stratified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ilium L.) seeds were planted in a shaded greenhouse at four depths and in four different soil types to observe effects on emergence rate and root size. Seeding depth affected seedling emergence rates and the number of days required to complete emergence. The shape of the roots was affected by the texture of soil, especially percentage of sand.

  • PDF

과거 50년간 고려인삼 병 방제 변천사 (History of Disease Control of Korean Ginseng over the Past 50 Years)

  • 조대휘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51-79
    • /
    • 2024
  • 인삼 병해 방제 연구 초기 단계였던 1970~1980년대에는 병원균을 분리하고 동정한 후 병원균의 생리와 발병 특성을 구명하였다. 그에 따라 지상부 주요 병해인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그리고 주요 토양 병해인 모잘록병, 모썩음병, 균핵병, 잘록병 등에 대한 경종적(耕種的) 예방법과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방제법이 수립 될 수 있었다. 1980년대에 해가림 피복물이 기존의 볏짚 대신 polyethylene(P.E) 차광망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른 병 방제법 개선 연구가 1987~1989년에 진행되었다. 이때의 연구를 통하여 점무늬병 발병 억제를 위한 빗물 누수 최소화 4중직 P.E 차광망 소재가 도입되었다. 1990년부터는 줄기속무름병균을 동정하였고 발병을 억제하는 화경제거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연작장해 원인균인 뿌리썩음병균을 구명하고 연작지 재활용을 위한 토양 훈증방법, 성토방법의 기초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에 들어서는 급속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법 수정과 보완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출아기 강우 과다에 의한 줄기점무늬병의 작물보호제 방제법과 잿빛곰팡이병의 경종적 예방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모잘록병, 잘록병의 방제법 개선 방안이 확립되었다. 지난 50년 동안 초기에는 인삼 병의 원인과 방제법의 개발에 주력하였고, 후기에는 개발된 방제법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경험삼아 앞으로 기후변화, 인삼 초작지 고갈, 인건비 상승, 소비자의 안전성 의식제고 등과 같은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삼 재배법과 병해 방제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Ethyl Methane Sulfonate처리 인삼종자의 생물학적 효과 (Effects of Ethyl Methane Sulphonate Treatment on Ginseng Seeds)

  • 최광태;안상득;박규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63-169
    • /
    • 1981
  • In order to clarify the biological effects of chemical mutagen, ethyl methane sulphonate (EMS), in M, seedling(Ponax ginseng C. A. Meyer) . the dehiscent seeds of ginseng were treated with EMS for 12 hours at 20t and Post-washed for 24 to 72 hours. The differences of biological injuries in M, genera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EMS were quite obvious in rate and date of germination, stem length, stem diameter, leaf length, leaf width, root length, root diameter, and root weight . Especially, the seeds treated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EMS , above 0.8%, were not germinated The growth injur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EMS but not relative to the post-washing time of afire 25 hours. The useful range of EMS concentration and post-washing time in ginseng seeds were 0.4 % - 0.6% and above 24 hours, respectively.

  • PDF

인삼근부병에 관한 연구 1 (On the Root Rot of Ginseng(I))

  • 김종희;이민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4-98
    • /
    • 1974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September 31, 1973. Ten strains of Fusarium spp. were isolated from the diseased ginseng in two local areas at Kangwha-Gun nad Kumsan-Gun in Korea. Among of them, 2 strains ($G_1$, $G_4$) did not have virulence to ginseng in reinoculation.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hose virulence to pea seedling were examined. Taxonomical identification of 8 isolates followed by the method of Wollenweber, Snyder nad Toussoun, Booth, Matuo and Snyder. All of eight strains were identified as the Fusarium solani f.sp.pisi(Jones) Synd. et Hans.

  • PDF

인삼 하우스 직파재배 시 파종밀도 및 솎음처리가 3 년근 인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ensity and Thinning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3-Year-Old Ginseng Cultivated in a Greenhouse)

  • 서수정;장인배;유진;장인복;현동윤;박홍우;권기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4-71
    • /
    • 2018
  • Background: The cultivation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n greenhouses could reduce the use of pesticides and result in higher yield; however, construction costs are problematic. The adaptation of direct-sowing culture in greenhouses could reduce the cost of ginseng production. Methods and Results: To improve seedling establishment in direct-sowing culture, effects of sowing density (SD),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SN), and thinning (TH) treatment on the root yield were investigated after 3 years of seeding. The emergence rat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D, but not by SN or TH. Damping-off and rusty root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N with diminishing effects of SN on seedling establishment. Root weight and diameter were affected by SD, SN, and TH,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The total number of roots harvested per unit area increased with increasing SD and SN, and the weight of roots was affected by SD, but not by SN or TH. Conclusions: Multi-seed sowing per hole and/or thinning might not b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direct-sowing culture of ginseng. The SD for direct seeding culture in greenhouses should be approximately $33-42seeds/m^2$ for an optimum yield of 3-year-old ginseng.

First Description of Crown Gall Disease on Ginseng

  • Jeon, Yong-Ho;Park, Hoon;Lee, Byeong-Dae;Yu, Yun-Hyun;Chang, Sung-Pae;Kim, Sang-Gyu;Hwang, In-Gyu;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207-210
    • /
    • 2008
  • In March of 2003, tumors (galls) were observed on ginseng seedling roots in ginseng seedbeds at Yeoju, Gyeonggi province, Korea. Symptoms were spherical or galls with about 0.5-1.0cm in diameter formed on the upper through middle parts of the primary roots. Bacterial isolates obtained from the root galls were Gram-negative, rod-shaped with peritrichous flagella, aerobic, not forming yellow or orange colonies on nutrient glucose agar, yeast extract-dextrose $CaCO_3$ agar and nutrient-broth yeast extract agar, non-fluorescent on King's B agar, and non-spore forming, which were identical to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Agrobacterium. They were identified as Agrobacterium tumefaciens with 0.732-0.993 similarities in 100% probability by the Biolog analyses. The 16S rRNA gene partial sequences of the six isolates tested (Genbank Accession EF486308-EF486313) were 100% homologous to those of other A. tumefaciens strains (GenBank accession AF501343, AY701900, AY701898, AY701899).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this bacterium is A. tumefaciens. Pathogenicity of the bacteria was proved by the inoculation test on carrot root discs and tomato seedlings. This is the first description of A. tumefaciens causing root gall in ginseng seedling. The disease occurred locally and sparsely, but considering its appearances in seedbeds suggests that the ginseng root gall may become a threat to ginse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