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i Index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초

대도시와 농어촌에서 치과의료기관 의료수익 분포의 지역 간 차이 : 경쟁 지표에 대한 실증적 검증 (Regional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butions of dental revenues i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areas: Empirical validation of the competition index)

  • 최형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2호
    • /
    • pp.971-984
    • /
    • 2016
  • The increase rate of dentists' competition is very fast at 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We compare metropolitan and rural paramete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competition and revenue variation. The competition and revenue variables of 73 metropolitan and 75 rural areas were calculated from 2010 Census of Service Industry microdata which include non-insurance revenues of dental clinics.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competition among dental clinics in metropolitan areas is higher. The lowest and the low ranked revenues are higher in rural areas. The highest and the average revenues are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But, 25 percentile and median revenues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reas. Simple log linear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linics could explain the distribution of revenues in both areas better than the density of active dentists and Herfindahl-Hirschman index. In the areas with many clinics have high maximum and average revenues and low minimum revenues. The increasing rate of maximum revenues is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though the decreasing rate of minimum revenues is higher in rural areas. Metropolitan areas have higher Gini coefficients than rural areas, but the increasing rate of Gini coefficients is lower than rural areas.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useful reference when the dentists select the opening areas. One is that the median revenues between metropolitan and rural area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other is that the rural areas ensure the more stable and uniform revenues. The results would help to relieve the consumptive competition among dentists and to achieve the distributional efficiency of dental human resources.

  • PDF

Effects of Iranian Economic Reforms on Equity in Social and Healthcare Financing: A Segmented Regression Analysis

  • Zandian, Hamed;Takian, Amirhossein;Rashidian, Arash;Bayati, Mohsen;Moghadam, Telma Zahirian;Rezaei, Satar;Olyaeemanesh, Alireza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2호
    • /
    • pp.83-91
    • /
    • 2018
  • Objectives: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e Targeted Subsidies Law (TSL) in Iran was to improve equity in healthcare financing.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the TSL, which was implemented in Iran in 2010, on equity in healthcare financing. Methods: Segmented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effects of TSL implementation on the Gini and Kakwani indices of outcome variables in Iranian households. Data for the years 1977-2014 were retrieved from formal databases. Changes in the levels and trends of the outcome variables before and after TSL implementation were assessed using Stata version 13. Results: In the 33 year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TSL, the Gini index decreased from 0.401 to 0.381. The Gini index and its intercept significantly decreased to 0.362 (p<0.001) 5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S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gross domestic product or inflation rate after TSL implementation. The Kakwani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020 to 0.007 (p<0.001)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TSL, while we observ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p=0.81) in the Kakwani index after TSL implementation. Conclusions: The TSL reform, which was introduced as part of an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Iran in 2010,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households' income inequality. However, the TS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quity in healthcare financing. Hence, while measuring the long-term impact of TSL is paramount, healthcare decision-makers need to consider the efficacy of the TSL in order to develop plans for achieving the desired equity in healthcare financing.

스크린 쿼터 축소의 영향분석 (Impact of Cutback of Screen Quota in Korean Movie Market: Three Years Before and After the Screen Quota Reduction in 2006)

  • 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8-250
    • /
    • 2011
  • 한국영화의 전국 관객 수는 2006년 9,791만 명에서 2009년 7,647만 명으로 감소추세이며 점유율 또한 2006년 63.8%에서 2009년 48.8%로 낮아졌다. 이 글은 스크린 쿼터가 축소된 이후 3년과 이전의 3년간의 한국영화 관객 수를 비교하여 스크린 쿼터 가 축소된 이후에 발생한 한국영화 관객 감소가 스크린쿼터의 축소에 의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한국영화 평균 관객 수가 2003부터 2005년 사이의 1,107,217.82명에서 스크린 쿼터가 축소된 이후인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의 640,109.9123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감소는 스크린 쿼터의 영향임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서 한국영화 흥행성과의 불평등도도 지니계수로 살펴본 결과 0.84로서 상당히 심화되었음이 드러났다. 반면에 미국영화의 평균 관객 수는 축소이전 3년간의 432,204.6322명에서 축소이후 559,907.2872명으로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차이가 스크린 쿼터의 축소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보기는 힘들다. 미국과 한국영화 이외의 국가의 영화들의 한국영화시장에서의 흥행성과에는 스크린 쿼터 축소가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동적 분할 평균을 이용한 새로운 메모리 기반 학습기법 (A New Memory-based Learning using Dynamic Partition Averaging)

  • 이형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6-462
    • /
    • 2008
  • 분류란 새로운 자료를 주어진 클래스 중의 하나로 구분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이다. 그중 메모리기반 추론(MBR : Memory-Based Reasoning)은 추론 규칙 없이 특징들의 최초의 벡터 형태에 의해 표현된 학습패턴을 단순히 저장한다. 그리고 분류 시에 새로운 자료가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패턴들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학습패턴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기법이다. MBR 기법에서 학습패턴이 커지면 저장에 필요한 메모리의 크기도 커질 뿐만 아니라 추론을 위한 계산도 많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초월평면을 이용하는 NGE 이론과 대표패턴을 추출하여 학습하는 FPA 기법과 RPA 기법 등을 들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패턴 공간을 GINI-Index값을 이용하여 일련의 최적 분할점을 찾아 가변크기로 분할하는 동적분할평균(DPA : Dynamic Partition Averaging)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MBR기법 중 널리 사용되는 k-NN 기법과 비교하였다. 제안한 기법이 k-NN기법에 비해 대표패턴 개수는 줄이고 분류성능은 유사하게 유지시킨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제안한 기법은 NGE 이론을 구현한 EACH 시스템과 대표패턴 기법인 FPA기법과 RPA기법 등과 비교하여 탁월한 분류 성능을 보여주었다.

도시화의 특징과 불평등도 분석 (Measuring Inequalitie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Urban Population)

  • 박주문
    • 한국인구학
    • /
    • 제18권2호
    • /
    • pp.98-114
    • /
    • 1995
  • 이 연구는 급격한 변동을 겪어 온 한국사회에서 도시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도시인구의 분포의 측면에서 불평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 연구결과 1966-70년 사이에 급격히 이루어진 도시화의 성격이 부각되었고, 또 도농간의 성장속도의 차이도 아주 높았음이 드러났다. 무엇보다도 서울의 수위도시성이 명백히 드러났다. 하지만 서울의 수위도시성은 1970년이래 서서히 감소되기 시작했고, 불평등지수인 지니계수를 통해 검증한 결과 1970년에 비해 1990년의 도시인구분포의 불평등성은 완화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큰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다.

  • PDF

A Recursive Partitioning Rule for Binary Decision Trees

  • Kim, Sang-Gu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2호
    • /
    • pp.471-478
    • /
    • 2003
  • In this paper, we reconsider the Kolmogorov-Smirnoff distance as a split criterion for binary decision trees and suggest an algorithm to obtain the Kolmogorov-Smirnoff distance more efficiently when the input variable have more than three categories. The Kolmogorov-Smirnoff distance is shown to have the property of exclusive preference. Empirical results, comparing the Kolmogorov-Smirnoff distance to the Gini index, show that the Kolmogorov-Smirnoff distance grows more accurate trees in terms of misclassification rate.

New Splitting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rees

  • Lee, Yung-Seop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3호
    • /
    • pp.885-894
    • /
    • 2001
  • Decision tree methods is the one of data mining techniques. Classification trees are used to predict a class label. When a tree grows, the conventional splitting criteria use the weighted average of the left and the right child nodes for measuring the node impurity. In this paper, new splitting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rees are proposed which improve the interpretablity of trees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s. The criteria search only for interesting subsets of the data, as opposed to modeling all of the data equally well. As a result, the tree is very unbalanced but extremely interpretable.

  • PDF

Broken-Stick 모형에 기초한 주성분 공헌도평가 (Contribution of Principal Components Based on the Broken-Stick Model)

  • 강유정;변자현;김기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4호
    • /
    • pp.767-776
    • /
    • 2010
  • Broken-Stick 모형 (Barton과 David, 1956) 하에서 순서화된 분절구간의 기대길이를 기초로 유효차원의 개수를 결정하는 Frontier (1976)방법은 일관된 모의실험 결과를 제공하는 기준 중의 하나로 보고된 바 있다 (Jackson, 1993). 이 연구에서는 Broken-Stick 모형(BSM) 하에서 분절구간길이의 분포를 이용하여 주성분 상대공헌도의 크기를 확률적으로 평가하는 BSM 유의확률기준을 제안한다. 이에 부가하여 소득분포의 불균등성을 도식화한 로렌츠곡선과 이에 대응하는 지니계수를 통해 주성분 공헌도의 포괄적 균등성을 탐구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건설이 국토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Multi 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Innovation City Effe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 권일;류상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9
    • /
    • 2006
  • 본 연구는 정부의 대표적인 국토균형발전정책 수단인 행복도시와 혁신도시의 개발에 따라 우리나라 국토불균형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의 불균형문제를 인구의 공간적 불균형분포에 기인한 것으로 보았으며, 불균형 측정지표로는 정책입안단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행복도시와 혁신도시의 건설은 미래 국토불균형을 다소나마 완화시키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행복도시와 혁신도시는 향후 심화될 국토불균형에 비하면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국토불균형을 완화시키고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다양한 균형발전정책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ize, Economic Volatility, and Institutional Quality: Empirical Evidence from Open Economies

  • MUJAHID, Hira;ZAHUR, Hafsah;AHMAD, Syed Khalil;AYUBI, Sharique;IQBAL, Nishw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19-27
    • /
    • 2022
  • The size of the government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debates of open economies. In any economy, gover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but a pertinent level of economic prosperity has never been obtained in history without government.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of government size, economic volatility, and institutional quality for 182 economies from the time period 1996-2016 is collected from the World Bank database. GE is defined as the General government's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Health expenditure is represented by HE. Government expenditure on education is denoted by EDUEXP. The economic volatility is measured by the rolling standard deviation of GDP per capita growth rate, Population growth, Trade openness, GINI represented Gini index which measures the degree to which the income distributed or consumption expenses among citizens deviates from a perfectly equal distribution. The results proposed that economic volat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overnment size and institutional qualities. Moreover, the paper extends the investigation by finding the link between economic volatility with government health and education expenditure separately. The policy implication drawn from this analysis is that controlling economic volatility may reduce the size of government and also significantly affect health and education expendi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