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l arch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볼락류 Sebastes crameri 아가미에서 검출된 단생흡충류인 Trochopus australis와 요각류인 Neobrachiella robusta의 분포도 (Distribution of Trochopus australis and Neobrachiella robusta in Gills of Darkblotched Rockfishes, Sebastes crameri)

  • Chun, Kae-Sh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7-79
    • /
    • 2003
  • 뉴포트 어시장에서 채집한 볼락류인 Sebastes crameri로부터 17개체의 아가미 기생물을 발견하였다. 그중 9개체는 단생흡충류인 Trochopus australis이고 나머지 8개체는 요각류인 Neobrachiella robusta였다. 이 기생물의 가장 많이 발견되는 부위는 볼락류의 제 2 아가미새궁과 배측 후부였다. 단생류인 T. australis는 주로 제 2 아가미 새궁에서 요각류인 N. robusta는 제 1 아가미새궁에서 발견되었으나 요각류는 제 4 아가미새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기생물의 아가미 부착은 주로 제 1, 2 새궁의 배후측에, 그러나 제 3, 4 아가미새궁의 전복측과 중앙에는 적게 분포되어 있었다.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Gill for Lateolabrax japonicus)

  • 강충배;김진구;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19-324
    • /
    • 2009
  • 농어 아가미는 새파, 새궁, 새엽 및 새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쪽 새파수는 7~10개이며, 아래쪽 새파수는 13~18개로 조사되었다. 농어 아가미의 주요부위인 새엽과 새판(이차새엽)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아가미는 새궁(gill arch) 외연의 앞 뒤 2열로 된 긴 점막성의 빗살과 같은 모양으로 줄지어 있는 많은 수의 새엽(gill filament)을 가지고 있으며, 각 새엽은 전후 두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두 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농어의 새판은 pavement cell, 기둥세포(pillar cell), 혈구세포, 점액세포(mucose cell) 및 염류세포(chloride cell) 등으로 구분되었다. 새판의 표면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pavement 세포로 구성되며, 상피표면의 glycocalyx로 덮혀진 미세융기를 가진다. 그리고 새판은 기둥세포와 혈구세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었다. 점액세포는 새판에 드문드문 나타났지만 새엽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염류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The Distribution of Some Metazoan Parasites from Canary Rockfishes, Sebastes pinniger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177-180
    • /
    • 2003
  • Four genera of metazoan parasites were recovered from 3 of 6 Sebastes pinniger examined during January 2003. Two hundred forty-five metazoan parasites were recovered. Trochopus trituba Sekerak and Arai, 1977 and Anisakis larvae were found to he infected S. finniger Gill and te be abundant in this rockfish. One hundred eleven worms of monogenean trematodes and 134 larval anisakine nematodes were also found in this fishes. Precise positions with regard to gills, fins, and gastrointestinal tracts were recorded on S. pinniger to determine distribution of metazoan parasites of Trochopus trituba, Anisakis simplex larva, Contracaecum sp. larva, and Pseudo terranova decipiens larva. The monogenean trematodes, T. trituba were attacked to the gill arches and fin, and the larval anisakine nematodes, A. simplex, Contracaecum sp.,and P. decipiens were found on the visceral organs such as intestine, omentum and stomach wall. The second gill arches were the most heavily infested and posterodorsal region of the gill arches contained most monegenenn trematodes. The nam site of infestation of larval anisakine nematodes were the intestine.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소화기관과 먹이생물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 백현민;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3
    • /
    • 2005
  • 묵납자루에서 첫 번째 새궁 (gill arch)의 새파 수는 17-21개 (평균 19개) 정도로 적은 편이었으며, 새파의 길이는 280~430 (평균 $360{\pm}35)mm$이었다. 새파 간의 간격은 130~210 (평균 $160{\pm}15)mm$이었다. 인두치의 저작면은 안쪽이 파여 있는 형태로 제1치는 저작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나 제2, 3, 4, 5치의 저작면은 발달되어 있었다. 인두치와 새파는 생활사의 초기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소화관의 길이는 체장의 $3.63{\pm}0.12$배로 매우 길었으며, 식도에서 연결되어 항문쪽으로 길게 배열되다가 한번 접히고 시계방향으로 5회 정도 감긴 후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묵납자루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인 부착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그 중 규조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에 원생동물, 깔따구 유충, 식물의 씨앗, 육상곤충 등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관찰되어 초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볼 수 있었다.

완도산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yui의 생태 (Ecology of Acanthochondria yui(Copepoda, Poecilostomatoida) on a Gobiid Fish Acanthogobius flavimanus in Wando Islands, Korea)

  • 서해립;심재덕;최상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8-265
    • /
    • 1993
  • 1990년 4월부터 1991년 3월까지 1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에 널리 분포하는 저서어류인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yui이 출현 및 감염 수준의 월변동을 조사하였다. A. yui는 9월${\sim}12$월(4개월)은 나타나지 않았다. 감염률은 1월에 $2.9\%$에서 6월에 $88.9\%$까지 증가하였다. 상대 감염밀도와 평균 감염강도 역시 1월에서 6월까지 증가하였다. A. yui의 감염률은 숙주의 크기에 비례하여 높아졌다. 4월과 5월에 채집된 문절망둑에서 CIV와 CV 유생이 약간 발견되었고 $CI{\sim}CIII$ 유생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문절망둑이 A. yui의 유일한 숙주가 아닐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A. yui의 암컷 성체와 copepodid기 유생은 각각 아가미 활($74.8\%$)과 아가미필라멘트($80.6\%$)에서 대부분 발견되었다. 이것은 copepodid기 유생이 숙주에서 가장 적합한 부착부위로 아가미 필라멘트를 선택하였고, 성체가 되면서 아가미 활로 이동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볼락류 Sebastes melanops 아가미에 단생 흡충류 Microcotyle sebastis의 부착에 관하여 (Attachment of the Microcotyle sebastis (Monogenea: Microcotylidae) to the Gills of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 Chun, Kae-Sh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2-105
    • /
    • 2002
  • 2001년 9월 19일부터 동년 10월 3일까지 Hartfield Marine Science Center Aquarium에서 구입한 볼락류 Sebastes melanops 7마리의 아가미에 부착한 단생 흡충류를 조사하였다. 파악기와 정소 수를 근거로 한 불락류(S. melanops)의 단생 흡충류는 Microcotyle sebastis였다.M. sebastis의 감염률은 42.9%이었고 감염강도는 1-11(평균 2.0)을 나타내었다. 단생 흡충류의 감염부위는 주로 감염어 아가미의 제 2차와 제 3차 새변이었다. 따라서, 아가미의 제 2차와 제 3차 새변 표면은 M. sebastis의 분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미기록종, Arnoglossus polyspilus (First Record of the Bothid Flounder Arnoglossus polyspil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맹진;최찬문;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2-135
    • /
    • 2010
  •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Arnoglossus polyspilus 1개체(표준 체장 229.0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꼬리지느러미 상엽과 하엽에 두개의 작은 연조가 있으며, 등지느러미 앞부분의 연조는 약간 연장되었다. 위턱은 전체 길이의 좌측 눈 아래 1/3 앞까지 도달하고, 첫 번째 새궁의 상지에는 1개의 새파를 갖는다. 본 종의 신한국명을 "노랑반점가자미"라고 명명하였다.

한국산 가자미목 어류 2 미기록종 (First Record of Two Sinistral Flounder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이충렬;이철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5-370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의 남해 연안에서 출현하고 있는 가자미목 어류 2종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되지 않은 붕넙치과의 Psettina tosana와 넙치과의 Pseudorhombus oculocirris로 동정되었다. P. tosana는 형태적으로 P. gigantea와 P. iijimae와 비슷하나 P. tosana는 가슴지느러미 연조가 9~10이고, 측선린수가 적으며, snout 주변이 검지않아 P. gigantea와 다르고, 새궁의 상지에 새파가 없고, 하악의 치열이 1열인 점이 P. iijimae와는 구별되었다. 한편 P. oculocirris는 P. pentophthalmus에 비하여 측선비늘 수가 많고, 유안측의 전비공만 tubular 타입에 flap이 존재하고, 등지느러미 앞쪽의 유리된 연조가 약간 납작하고, 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A numerical simulation method for the flow around floating bodies in regular waves using a three-dimensional rectilinear grid system

  • Jeong, Kwang-Leol;Lee, Young-Gill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277-300
    • /
    • 2016
  • The motion of a floating body and the free surface flow are the most important design considerations for ships and offshore platforms. In the present research, a numerical method is developed to simulate the motion of a floating body and the free surface using a fixed rectilinear grid system. The governing equations are the continuity equation and Naviere-Stokes equations. The boundary of a moving body is defined by the interaction points of the body surface and the centerline of a grid. To simulate the free surface the Modified Marker-Density method is implemented. Ships advancing in regular waves, the interaction of waves by a fixed circular cylinder array and the response amplitude operators of an offshore platform are simul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published research data to check the applicability. The numerical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gives results good enough for application to the initial design stage.

해수에 적용된 Guppy (Poecilia reticulatus) 아가미 점액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Changes of Mucous Cells in the Gill Epithelium of the Seawater-Adapted Guppy (Poecilia reticulatus))

  • 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0-579
    • /
    • 1995
  • 담수산과 해수에 적응된 guppy 아가미 상피내 점액세포의 미세구조를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점액질 조성의 변화를 조직화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점액세포는 아가미궁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일차층판상피에 주로 위치하였다. 미성숙점액 세포에는 과립형질내세망과 Golgi 복합체가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성숙 점액세포는 거의 점액과립들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담수산 guppy 아가미 상피내 점액세포의 점액질은 중성점액질과, 산성점액질인 sialomucin 및 sulfomucin을 다량 포함하고 있었으며, 바닷물에 적응시킨 경우에서는 sialomucin과 sulfomucin이 약간 감소하였다. 바닷물에 적응된 guppy의 아가미 상피내 점액세포의 수는 담수산과 비교하여 3배이상 감소하였다. 이는 서식환경을 해수로 옮긴 결과, 변화된 삼투적 스트레스에 대응한 결과일 뿐 아니라 담수보다는 높은 염분농도인 해수환경의 감소된 감염기회와도 연관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