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a s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Gibberellic acid를 생산하는 분리주 Gibberella sp. 의 배양학적 특성 (Screening of Giberella sp. from the Korean Paddy Field for the 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and its Cultural Properties)

  • 오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22
    • /
    • 1995
  • A different form from Gibberella fujikuroi was isolated from the paddy field of Naju area. The strain, designated as Y107, was identified as Gibberrella sp. based on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highest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by the strain was achieved in a fermentation medium containing corn starch, glucose, soybean oil, soybean meal, NH$_{4}$NO$_{3}$, K$_{2}$HPO$_{4}$, MgSO$_{4}$, and trace elements.

  • PDF

원형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한 곰팡이의 분류 동정 (Taxonomy and Identification of Fungi Isolated from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여준모;김완영;이장형;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61-83
    • /
    • 2012
  •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를 분류 동정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253개의 오염된 곤포사일리지를 채집하였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단 그라스, 호밀, 옥수수, 보리와 귀리에서 분리한 총 253 목초 샘플을 분석했다. 채집된 곤포사일리지에서 총 270균주를 순수 분리하였고, 분리된 곰팡이의 형태와 rDNA sequence를 분석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한 곰팡이를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 동정 한 결과 Rhizopus sp., Fusarium spp., Coprinus sp., Blastomyces sp., Aureobasidium sp., Polypaecilum sp., Botryoderma sp., Mucor sp., Scytalidium sp., Sphaeropsis sp., Aspergillus spp., Trichocladium sp., Humicola sp., Staphylotrichum sp., Periconia sp., Verticillium sp., Diplococcium sp., Penicillium spp., Trichoderma spp. 등 19종의 곰팡이가 분리 동정되었다. 한편,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remonium strictum, Asperillus tubingensis, Bionectria ochroleuca Dipodascaceae sp., Fusarium proliferatum, Fusarium oxysporum, Fusrium solani, Gelasinospora reticulata, Gibberella monliliformis, Gibberella zeae, Nectria mauritiicola, Penicillium paneum, Pseudallecheria boydii, Schizaphyllum commune, Scoplariopsis brevicaulis, SimpliciIlium lamellicola로 분류 동정되었다. PenicIlliwn sp.와 Trichoderma sp.는 각각 74와 64균주가 분리되어 가장 많이 분리 동정되었고, Humicola sp., Aspergillus sp., Coprinus sp., Fusarium spp.도 10~30 균주가 분리 동정되었다. 곤포 사일리지에서의 대부분의 곰팡이는 한 종 이상의 곰팡이가 복합적으로 오염되었다.

수확전(收穫前) 논의 벼줄기에 감염(感染)된 Fusarium moniliforme에서의 Gibberella 자낭각(子囊殼)의 발생(發生) (Before Harvest Occurrence of Gibberella Perithecia of Fusarium moniliforme on Infected Rice Stems In field)

  • 성재모;스나이더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7
    • /
    • 1977
  • 포장(圃場)에서 키다리병(病)에 걸린 줄기와 종자(種子)로 부터 얻은 자낭각이 어느 종류(種類)의 Gibberella에 존재(存在)하며, 수확후(收穫後)에 얻은 자낭각의 생존(生存)여부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소독(種子消毒)을 하지 않은 포장(圃場)에서 키다리병(病)의 이병율(罹病率)은 평균(平均) 12%이었다. 2. 수확전(收穫前)에 얻은 자낭각은 키다리병의 자낭각이 적미병의 자낭각보다 많았으나 종자(種子)나 봄에 채집한 자낭각은 거의 적미병에 있었다. 3. 키다리병에 이병된 벼에서 채종한 종자(種子)에서 키다리병, 적미병, Ophiobolus sp.는 10, 25, 8%로 나타났으며 이병(罹病)된 줄기로부터 얻은 포자(胞子)로 접종(接種)한 종자(種子)에서는 3, 10, 2%로 나타났다. 4. 적미병자낭각을 야외 땅속 실내 집눌속에 놓고 5개월이 지난다음 생존(生存)여부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야외에 놓은 것만 발아하지 않았다.

  • PDF

국내 조사료용 볏짚의 수확 전 작물포 및 수확 후 저장에 따른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 연구 (The Studies on Real Condition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the Fields before Harvest and by the Storage of Rice Straw using as Roughage in Korea)

  • 성하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생산 볏짚의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벼의 생육 단계별, 볏짚의 보관 형태별 및 곤포사일리지의 지역별 오염을 조사하였다. 수확하기 전 논에서 생장 중인 비에서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이 확인되었다. 벼의 생장 초기에는 deoxynivalenol($297{\mu}g/kg$) 이 발견되었고, 중기에는 ochratoxin A($1.8{\mu}g/kg$) 및 deoxynivalenol($264{\mu}g/kg$) 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확시기에는 deoxynivalenol($190{\mu}g/kg$) 및 zearalenone ($168{\mu}g/kg$) 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곰팡이 오염은 생장 초기에는 $10^{3-4}$ cfu/g 그리고 생장 중기와 수확시기에는 $10^{4-5}$ cfu/g 이었다. 오염된 곰팡이로는 Fusarium sp., Fusarium proliferatum, Penicillium sp., Gibberella sp., Gibberella zeae, Mucor circinelloides, Aspergillus oryzae 등 다양한 종류가 발견되었다. 사료용 볏짚의 통 볏짚단, 사각 볏짚단 및 곤포사일지 등 저장 방법에 따른 오염원 mycotoxin을 조사하였을 때 zearalenone, deoxynivalenol 및 ochratoxins A가 검출되었다. 통 볏짚단의 곰팡이독소 오염도는 23% 이었고, 사각 볏짚단과 곤포사일지지는 각각 38%가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105점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곰팡이독소를 분석하였을 때 46%의 샘플에서 곰팡이독소가 발견되었고, 지역적으로는 경기, 강원, 충청, 영남 및 호남지역에서 각각 48, 33, 40, 50 및 57%의 샘플이 오염되어 있었다. 2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가 발견된 충청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3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 ochratoxins A)가 발견되었다. Ochratoxins A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2.6{\mu}g/kg$으로 충청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호남지역은 $3.0{\mu}g/kg$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Deoxynivalenol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413{\mu}g/kg$으로 충청지역이 $800{\mu}g/kg$로 가장 높았고, 다른 지역은 $246{\mu}g/kg$에서 $433{\mu}g/kg$의 수준으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zearalenone은 전체적으로 $338{\mu}g/kg$으로 경기지역이 $168{\mu}g/kg$로 다른 지역보다 낮았고, 강원과 호남지역이 각각 $467{\mu}g/kg$$442{\mu}g/kg$으로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볏짚은 수확하기 전 벼의 생장 기간에도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볏짚의 보관 형태 및 지역에 상관없이 곰팡이독소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명확히 시사한다. 따라서 안전하고 질 좋은 조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곰팡이독소 관련 더 구체적 연구와 대책관련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곡주 공장의 공기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Indoor Air of a Sogokju Traditional Rice Wine Factory)

  • 박지은;전영재;김지혜;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08
  • 전통주인 소곡주 공장의 실내공기에 존재하는 균류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앤더슨 공기 포집기를 이용하여 소곡주 공장의 여러 방으로부터 포집된 공기와 이곳에서 주정제조를 위해 사용해온 누룩으로부터 균류를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Aspergillus, Penicillium, Gibberella, Cladosporium, Talaromyces 속에 속하는 12가지 균류종이 분리되었다. 이들 중 주요 균류는 Aspergillus와 Penicillium에 속하는 균종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특히 Penicillium 속에 속하는 종으로는 7개의 종이 분리 되었으며 조사된 방마다 각각 서로 다른 종이 분리되었다. 누룩으로부터는 공기 중에서 검출된 Aspergillus 그룹과 동일한 그룹이 검출되었고 동시에 공기중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Rhizopus sp.가 분리되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통주 제조 공장의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균류상에 대한 보고이다.

Stub Dieback of Carnation Caused by Fusarium graminearum

  • Han, Kyoung-Suk;Park, Jong-Han;Park, Yong-M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01-105
    • /
    • 2001
  • A disease survey on the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wilt was conducted during the high temperature period (June through August) and the low temperature period (February through May) in 58 greenhouses of its major cultivation areas, including Pusan, Kimhae, and Changwon in Korea from 1998 to 1999. The disease incidence was averaged 5.4% and 11.9% in the low and high temperature periods, respectively. Severe damage was found in summer with high incidences of around 50% in some greenhouses. Close examination of the symptoms and isolation of the causal agent revealed that there was a new disease different from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dianthi, which was determined as the stub dieback caused by F. was cetermined as the stub dieback caused by F. graminearum (teleomorph : Gibberella zeae). The stub dieback symptoms involved brown rot of stem that started usually from the portion of cutting without discoloration of inner vascular tissues. Seven out of 38 isolates from the wilted plants were identified as F. graminearum, while the others as F. oxysporum f. sp. dianthi.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b dieback pathogen including colony color, absence of microconidia, and the shape of macroconidia, were consistent with F. graminearum previously describ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carnation stub dieback in Korea.

  • PDF

독도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진균의 다양성과 생장촉진활성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 Dokdo Islands)

  • 유영현;윤혁준;이길성;우주리;임순옥;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92-996
    • /
    • 2011
  • 독도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뿌리로부터 내생진균의 분리를 시도하여, 동도로 부터 참억새, 돌피, 쇠무릎과 서도에서 갯별꽃 및 율무쑥등을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총 21종의 내생진균을 분리하였고, universal primers ITS-1과 ITS-4를 사용하여 ITS 영역을 PCR로 증폭하여 동정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동도에 자생하는 참억새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75%, Aspergillus 균주가 25%, 분리되었고, 돌피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55%, Aspergillus 속 균주가 30%, Zygorhynchus 속 균주가 15%가 분리되었으며, 쇠무릎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50%, Aspergillus 속 균주가 12%, Gibberella 속 균주가 13%, Talaromyces 속 균주가 9%, Umbelopsis 속 균주가 8% 분리되었다. 서도에 자생하는 갯별꽃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76%, Pestalotiopsis 속 균주가 24% 분리되었고, 율무쑥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81%, Mucor 속 균주가 19% 분리되었다. Bioassay결과, 돌피에서 분리된 Ec-3-1균주가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독도의 5종류 식물에서 Penicillium 속의 내생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from Different Verticillium-Wilt-Resistant Gossypium hirsutum and Evaluation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erticillium dahliae In Vitro

  • Li, Zhi-Fang;Wang, Ling-Fei;Feng, Zi-Li;Zhao, Li-Hong;Shi, Yong-Qiang;Zhu, He-Q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9호
    • /
    • pp.1149-1161
    • /
    • 2014
  • Cotton plants were sampled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resistance to Verticillium wilt. In total, 642 endophytic fungi isolates representing 27 genera were recovered from Gossypium hirsutum root, stem, and leaf tissues, but were not uniformly distributed. More endophytic fungi appeared in the leaf (391) compared with the root (140) and stem (111) section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undance of isolated endophytes was found among resistant cotton varieties. Alternaria exhibited the highest colonization frequency (7.9%), followed by Acremonium (6.6%) and Penicillium (4.8%). Unlike tolerant varieties, resistant and susceptible ones had similar endophytic fungal population compositions. In three Verticillium-wilt-resistant cotton varieties, fungal endophytes from the genus Alternaria were most frequently isolated, followed by Gibberella and Penicillium.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dominant endophytic fungi was observed in leaf tissues (0.1797). The evenness of stem tissue endophytic communities (0.702) was comparatively more uniform than the other two tissues. Eighty endophytic fungi selected from 27 genera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ion activity against highly virulent Verticillium dahliae isolate Vd080 in vitro. Thirty-nine isolates exhibited fungistasis against the pathogen at varying degrees. Seven species, having high growth inhibition rates (${\geq}75%$), exhibit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 dahliae. The antifungal activity of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tabolites was also investigated. The nonvolatile substances produced by CEF-818 (Penicillium simplicissimum), CEF-325 (Fusarium solani), CEF-714 (Leptosphaeria sp.), and CEF-642 (Talaromyces flavus) completely inhibited V. dahliae growth. These finding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cotton-endophyte interactions and provide a platform for screening G. hirsutum endophytes with biocontrol potential.

추기 중간벌채수확 뽕나무의 아고병방제에 관할 연구 (Studies on the Control of Bud Bright of Mulberry Tree when Intermediate-Cutting Harvest in Autumn)

  • 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9
    • /
    • 1974
  • 본 시험은 추기 중간벌채 뽕밭에 심하게 발생하는 뽕나무 전염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실시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방제 가. 1972년도 시험결과 1) 17개 약제 중 균사저지효과, 절교접종법에 의한 약효, 약제의 살균력 등이 가장 컸던 약제는 PTA-B, Benlate 등이었다. 2) Topsin-M, 생장조절제 등은 균사저지효과가 없었다. 9) 약제의 효과는 경시적으로 적어졌으며 PTA-B, Benlate는 처리 15일 후에도 50%의 약효가 지적되었다. 4) 포장시험결과 Benlate, PTA-B+Apion, Apion, PTA-B등이 효과가 좋았다. 5) 약제살포시기간에는 차이가 었었으나 큰 의의가 없었다. 나. 1973년도 시험결과 1) 10개 약제 중 균사저지효과는 RH 893, Benlate+TMTD. TMTD, Benlate, Benla+Topsin-M 순으로 좋았다. 2) 절교접종법에 의한 약효는 Benlate, Benlate+Kinondu. Benlate+Topsin-M, Topsin-M 순으로 좋았다. 3) 서울, 춘천, 부산 3개소의 포장시험결과 Benlate. Topsin-M Apion. TMTB, Benlate+Topsin-M, Benlate+TMTD, Benlate+Apion 등이 효과적이었다. 4) 중간벌채당일, 중간벌채 후 3일, 6일, 10일의 약제철포효과는 대체로 차가 없었다. 2. 생태방제 10월 15일 이후 뽕나무 상단부 1∼2아를 재절단했을 때 아교병의 방제효과는 약제방제효과보다 컸다. 3. 약제방제와 생태방제의 경제분석 1ha당 생태방제비를 100으로 했을 때 약제방제비는 분무기의 종류에 따라서 159∼254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