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umgang River Basi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금강유역에 내린 호우의 수분최대화에 의한 가능 최대 DAD의 산정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Depth-Area-Duration by Moisture Maximization over the Geumgang River Basin)

  • 이광호
    • 대기
    • /
    • 제16권2호
    • /
    • pp.55-65
    • /
    • 2006
  • The characteristics of Depth-Area-Duration (DAD) for 50 storms over the Geumgang river basin have been analysed in terms of various storm causes using the precipitation data during the period from 1984 to 2003.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precipitation depth to duration, and the ratio of decrease in the precipitation depth to area are the largest in the case of the tropical cyclone. Storm maximization ratios are in the range 1.03 to 2.66 for the 50 selected heavy precipitation cases over Geumgang river basin, with the largest value for the tropical cyclone case, suggesting that the tropical cyclone could cause heavier precipitation than the other storms. In addition, the 24-hour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or the Geumgang river basin is estimated to be about 745 mm in the maximum precipitation area.

하천 퇴적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Soi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ver-Bed Sediments in River Basins)

  • 장용선;손연규;박찬원;현병근;문용희;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963-969
    • /
    • 2011
  • 주요 하천 유역 퇴적토의 토양물리성과 화학성을 파악하여 농업적 활용에 있어서 토양환경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한강 16개소, 금강 32개소, 영산강 27개소, 낙동강 144개소로 28개 시군의 219개소의 하천표토에서 50 cm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하천토사의 입자밀도는 $2.63Mg\;m^{-3}$ 이상으로 $2.60{\sim}2.69Mg\;m^{-3}$의 범위이었으며, 입경은 평균 0.7 mm로 0.075~0.85 mm 범위에 분포하고 있었다. 유역별 토사의 입경분포를 살펴보면, 한강과 금강에서는 0.075~0.85 mm 범위에 입자가 주로 분포하였으며, 금강과 영산강에서는 0.25~0.85 mm 범위에 입자로 입경이 큰 입자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하천 토사의 평균 화학성은 pH 6.3, EC $0.16dS\;m^{-1}$, 유기물 $8g\;kg^{-1}$, 유효인산 $101mg\;kg^{-1}$, 치환성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은 각각 0.39, 3.47, $0.93cmol_c\;kg^{-1}$이었으며, 유역별로는 한강유역에서 pH, 금강유역에서 염농도 (EC), 유효인산과 치환성 나트륨이, 영산강유역에서 유기물,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이, 낙동강 유역에서는 치환성 칼륨이 각각 높았다.

가축분뇨실태조사를 위한 우선 조사 대상지역 선정 방안 도출 (Determination of Prior Areas for Livestock Excreta Pollution Survey)

  • 류홍덕;박배경;정유진;안기홍;최원식;김용석;류덕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85-1099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ggest the methodology to select prior areas i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survey for livestock excreta (EPSLE) as well as to elucidate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prior areas in the EPSLE wer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of size including the basin, the sub-basin and the watershed, respectively, based on the data from "Annual Nation-wide Pollution Sources Survey (2012)".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ist of prior basins were Nakdong, Geum, Youngsan and Han river basins in order. Also, it was examined that the prior sub-basins in the four river basins including Nakdong, Geum, Youngsan and Han rivers were Naesung Stream, Geumgang Gongju, Juam Dam and Namhan Downstream, respectively. The prior watersheds in the sub-basins of Naesung stream, Geumgang Gongju, Juam Dam and Namhan Downstream were Seocheon Downstream, Geum Stream, Gyeombaek Suwipyo and Yanghwa Stream,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elucid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with th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observed in the end-points of sub-basin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Specifically, there was th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and the concentrations of T-N than that for T-P. Consequently, it was proved that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work was valid and rational for the selection of prior areas in environmental pollution survey for EPSLE.

금강 및 낙동강 하구·연안의 블루카본 저장량 공간정보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Blue Carbon Stock Spatial Data in the Estuaries and Coastal Areas of the Geum and Nakdong Rivers)

  • 정지애;권봉오;홍현정;안종호;이명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505-1515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최근 탄소흡수원으로써 블루카본(Blue carbon)이 주목받고 있다. 블루카본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 논의되어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공식 인정되었으며, 국내·외로 신규 블루카본을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국내 블루카본 연구는 연안 습지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갯벌을 중심으로 탄소흡수 및 저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공간정보로 구축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갯벌 탄소 저장량을 활용하여 금강과 낙동강 유역별 위치 및 공간정보로 전환하였다. 또한, 유역별 면적당 탄소 저장량의 대푯값을 산정하여 국내·외 다양한 갯벌 면적의 전체 탄소 저장량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금강 및 낙동강 유역 모두 갯벌 데이터에 따라 탄소 저장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금강 유역은 국립해양조사원(469,810.1 Mg C), 낙동강 유역은 환경부(217,145.01 Mg C) 자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블루카본 공간정보 구축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USLE을 활용한 금강 수변지역의 하천정비사업 전·후의 연간 표토침식량 변화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nnual Surface Soil Erosion Before and After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in the Geumgang Basin Using the RUSLE)

  • 김정철;최종윤;이선민;정형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351-13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대청댐~금강하구둑)을 대상으로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를 활용하여 하천정비사업 전(2007년)과 후(2015년)의 연간 표토 침식량을 계산하였고, 이를 5단계의 class를 구분하여 해당 구간 별 표토침식면적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환경부의 토지피복 변화와 비교·분석하였다. RUSLE을 구성하는 각 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2007년과 2015년의 토지피복도, 국가기본 공간정보, 정밀 토양도, 연평균 강수량 자료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연간 표토 침식량은 2007년과 대비하여 2015년에 class 1의 면적은 증가하였고, class 2, 3, 5의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class 4의 면적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연구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의 감소, 생태공원조성과 이로 인한 인공시설물 확대, 농경지 감소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평균 표토 침식량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Microhabitat Assessment of Three Fish Species to Stream Order in Geumgang River Basin

  • Kang, Kyoung Ho;Hur, Jun Woo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4호
    • /
    • pp.216-225
    • /
    • 2017
  • We assessed the microhabitat conditions of three fish species (black shinner Pseudopungtungia nigra, striped shinner Pungtungia herzi,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considering various stream order in the Geumgang River Basin. A total of 1,275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19 sites. And the microhabitat condition was assessed measuring flow velocity, water depth and substrate size at each site. The highest relative frequencies for P. herzi, C. splendidus and P. nigra were calculated 100% (n = 310), 78.9% (n = 784) and 47.3% (n = 181) respectively. P. herzi appeared in all streams, irrespective of their stream order; however, appearance in streams with the $2^{nd}$ order or lower was found to be scarcer than in the ones with the $3^{rd}$ order or higher. On the other hand, P. nigra and C. splendidus didn't appear in streams with the $2^{nd}$ order or lower. When it comes to P. nigra, the ones with 7 to 8 cm in length most frequently appeared. They inhabited streams, mainly, with 0.2 to $0.4m\;s^{-1}$ and 0.5 m in velocity and water depth, respectively. The three species all preferred runs as types of habitats with lots of coarse gravels-cobbles. P. herzi, the ones with 5 cm or shorter in length most frequently appeared. They inhabited streams, mainly, with 0 to $0.3m\;s^{-1}$ and 0.4 m in velocity and water depth, respectively. C. splendidus with 7 to 8 cm in length occupied the majority of them. They appeared in streams, mainly, with $0.9m\;s^{-1}$or higher and 0.3 m in velocity and water depth.

Important Parameters Related With Fault for Site Investigation of HLW Geological Disposal

  • Jin, Kwangmin;Kihm, You Hong;Seo, Dong-Ik;Kim, Young-Seo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3-546
    • /
    • 2021
  • Large earthquakes with (MW > ~ 6) result in ground shaking, surface ruptures, and permanent deformation with displacement. The earthquakes would damage important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such as large industrial establishments, nuclear power plants, and waste disposal sites. In particular, earthquake ruptures associated with large earthquakes can affect geological and engineered barriers such as deep geological repositories that are used for storing hazardous radioactive wastes. Earthquake-driven faults and surface ruptures exhibit various fault zo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direction of earthquake propagation and rupture and asymmetric displacement patterns. Therefore, estimating the respect distances and hazardous areas has been challenging. We propose that considering multiple parameters, such as fault types, distribution, scale, activity, linkage patterns, damage zones, and respect distances, enabl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sites for deep geological repositories and important facilities. This information would enable earthquake hazard assessment and lower earthquake-resulted hazards in potential earthquake-prone areas.

수치해석 및 수질모델링을 활용한 농공단지 폐수처리시설 방류수의 수계영향성 분석 및 적정 모델의 선정방안 제시 (Analysis of Water System Impacts of Effluent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Complex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Water Quality Modeling: A Method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Model)

  • 이인구;강순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77-9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배출수에 포함된 알루미늄 및 수질오염물질이 금강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폐수 중 응집제 사용에 따른 알루미늄 농도는 평균 0.19~3.14mg/L로 분석되었다. 합류점에서의 예측값과 측정값의 상관계수는 각각 0.9237과 0.9758로 나타났으며, 하류 10km에서의 알루미늄 농도는 평균 0.051mg/L로 나타났다. 수질 모델링의 경우 먼저 모델 보정 과정을 통해 QUALKO2 및 QUAL2E 모델의 오차율이 20% 이내로 개선되어 모델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BOD 모의결과 QUALKO2 모델이 QUAL2E 모델에 비해 낮은 오차율을 보였으며 T-N 및 T-P 모의 결과 조류 호흡에 따른 비생물적 유기질소와 유기인을 고려하면 QUAL2E 모델과 QUALKO2 모델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요약하면,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의 방류수에 포함된 알루미늄 및 수질오염물질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수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및 수질에 대한 모니터링과 적절한 유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금강 수계 갈수기 유출특성 분석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rought Season in the Geumgang River Basin)

  • 이충대;이금영;박석근;최혁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98-1306
    • /
    • 2010
  • 그 동안 우리나라 수자원 관리의 주요 목적은 치수관리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하상계수가 낮아지고 유황도 개선되어 도시 지역에서의 홍수발생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의 발달로 인하여 용수수요가 급증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수질 악화 등과 같이 환경 문제 역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자원의 관리를 위하여 갈수기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갈수량의 조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갈수량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금강 수계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하여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성과를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에 적용하여 시계열 유량 자료를 획득하는데 문제가 없는지를 검토하였으며, 하천 지형 특성의 변화 및 수위 시계열의 변화 등을 파악하여 안정적인 갈수량 자료를 생산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였다. 금강 본류 및 1, 2차 하천의 41개 지점에 대하여 갈수량을 조사한 결과 안정적인 유량자료를 생산하는 지점은 9개소로 전체 중에 약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과 실측값 간에 오차가 발생하는 지점은 14개소로 전체 3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저수위 곡선식이 개발되지 않아 유량자료를 생산하지 못하는 지점이 18개소로 전체 약 44%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opophilia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Science Field Study Area in Youngdong, Chungcheongbuk-do)

  • 윤마병;남기수;백제은;이종학;봉필훈;김유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6-89
    • /
    • 2017
  • 본 연구는 충북 영동군 지역의 금강과 화석산지, 다양한 지질구조를 교육자원으로 하여 과학학습장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구과학 학습과 토포 필리아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다. 영동 퇴적층(백악기)은 금강을 따라 신선한 노두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다양한 지질구조와 식물화석, 공룡 발자국 화석을 쉽게 찾을 수 있고, 건열과 연흔, 사층리 등 뚜렷한 퇴적구조가 잘 나타난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전문가 패널의 협의를 통해 야외학습장(관찰지점 6곳)을 개발하여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안했다.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검사 항목에서 양호했다($CVR{\geq}0.88$). 야외학습 모형에 따라 수업에 적용한 결과 수업 만족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4.18). 과학학습장에서 진행된 야외 수업과정을 관찰한 결과, 학생들은 금강의 아름다운 경관 이미지를 새롭게 형성하였으며 다양한 구체물(모래사장, 징검다리, 공룡 발자국 화석, 퇴적구조 등)에 대한 개념과 가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토포필리아를 갖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