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Analysis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2초

GIS를 이용한 지질자료 기반 통합 주제정보의 다중 버퍼 영역분석 (Multi-Buffer Zone Analysis of Geo-Based Integrated Thematic Mappable Information by Using GIS)

  • 이기원;박노욱;권병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59-173
    • /
    • 1999
  • GIS는 다양한 지구과학분야의 응용에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 지구과학정보의 공간통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간분석 통합 결과에 대한 정량화 분석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측면에 일부 기인하여 GIS에서 제공하는 분석기법들을 자연과학분야에의 그대로 적용하는데는 부족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분석 측면에서 "다중버퍼 영역분석" 이라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광물부존 지역예측 문제에 본 제안 방법을 적용하였다. GIS 측면에서 볼 때, 본 방법은 격자기반 버퍼링 혹은 근접성분석 기법을 지구과학 자료의 해석을 위해 확장하여 응용한 것이다. 본 방법은 GIS의 가장 기본적인 도형 모델인, 점, 선, 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지질학적 지표 특징에 대하여 지구과학적 현상이나 양상이 주로 원형 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하나의 지질학적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항공물리탐사, 지표탐사, 지질조사, 위성 영상 자료 등과같은 복합적인 지구과학자료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정량적으로 밝혀내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GIS에서 제공하는 분석기법의 적용은 공간 통합에 의한 주제도 작성문제와 연계되어 제한적인 공간 영역내에서 복합적인 입력 자료들에 대한 상호 영향을 추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지오트윗을 이용한 거주자와 방문자의 공간 이동성 연구 (Comparing the Spatial Mobility of Residents and Tourists by using Geotagged Tweets)

  • 조재희;서일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21
    • /
    • 2016
  • The human spatial mobility information is in high demand in various businesse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human mobility because spatio-temporal data is insufficient and difficult to collect. Now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adv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spatio-temporal data began to occur on a large scale, and the data is available to the public. In this work, we compared the movement behavior of residents and tourists by using geo-tagged tweets which contain location information. We chose Seoul to be the target area for analysis. Various creative concepts and analytical methods are used: grid map concept, cells visited concept, reverse geocoding concept, average activity index, spatial mobility index, and determination of residents and visitors based on the number of days in residence. Conducting a series of analysi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ovement behavior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e also discovered differences in visiting activity according to residential countries and used applications. We expect that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ourist development and urban development.

유출관리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Runoff-Management Model)

  • 이상진;노준우;안정민;김주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4
    • /
    • 2009
  • 현재 GIS는 유역의 지형학적 분석분야에서 뿐만아니라 유역의 수문학적 분석분야에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기반으로한 유역유출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량을 산정,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강우-유출 관리 모듈과 연계하여 신뢰도 있는 수문정보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코자 하였다. 모의와 검증을 거친 적정한 토양습윤지표, 용수이용량, 직접 및 기저유출량 등의 다양한 수문성분들이 GIS Tool의 활용을 통하여 소유역 단위의 유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로서 생산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Graphic 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도시함으로써 향후 효율적 유역수문관리를 지원하는 Toolkit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IS 및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실시간 통합계측관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eal Time Monitoring Program Using Geostatistics and GIS)

  • 한병원;박재성;이대형;이계춘;김성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46-1053
    • /
    • 2006
  • In the large scale recent reclaiming works performed within the wide spatial boundary, evaluation of long-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residual settlement of the whole construction area is sometimes made with the results of the limited ground investigation and measurement. Then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has limitations due to the spatial uncertainty. Additionally, in case of large scale deep excavation works such as urban subway construction, there are a lot of hazardous elements to threaten the safety of underground pipes or adjacent struc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damage prediction system of adjacent structures and others. For the more accurate analysis of monitoring information in the wide spatial boundary works and large scale urban deep excavations,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atistical and spatial analysi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spatial effect of ground and monitoring information in stead of using diagrammatization method based on a time-series data expression that is traditionally used. And also it is necessary that enormous ground information and measurement data, digital maps are accumulated in a database, and they are controlled in a integrating system. On the abovementioned point of view, we developed Geomonitor 2.0, an Internet based real time monitoring program with a new concept by adding GIS and geo-statistical analysis method to the existing real time integrated measurement system that is already developed and under useful use. The new program enables the spatial analysis and database of monitoring data and ground information, and helps the construction- related persons make a quick and accurate decision for the economical and safe construction.

  • PDF

GSIS와 AHP법을 이용한 산사태 유발인자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Factor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양인태;김제천;천기선;김동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3-281
    • /
    • 2001
  • GSIS와 AHP법을 이용하여 삼척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를 유발하는 많은 인자들 중에서 경사도, 경사방향, 지질, 토양, 임상자료들은 기존의 지도자료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환경적ㆍ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산사태를 유발하는 인자를 결정하였으며, AHP법을 적용하여 유발인자들에 대한 입력값을 결정하였다.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산사태 유발인자들로 만들어진 각각의 레이어를 중첩함으로써 작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도면을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곳과 비교함으로써 산사태 유발인자들이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삼척지역에서는 토양과 지질적 요소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지궤도 위성과 지구국간 광통신 링크의 전송속도 해석 (Analysis of Data Rate on Optical Communication Links between Geo-Satellite and Earth Station)

  • 한종석;정진호;김영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20-137
    • /
    • 1997
  • 정지궤도 위성과 지구국간 광통신을 대기상태와 앙각의 함수로써 해석할 수 있는 한모델(Han's model)을 제시하였다. 한모델에서는 대기상태를 맑은날, 구름낀 날, 안개, 헤이즈, 비, 눈의 여섯가지 전형적인 상태로 구분한다. 비트오류을 $10^{-7}$을 만족하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한모델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해 해석하였다. 상향링크시의 포인팅손실이 하향링크시의 대기에 의한 공간 가간섭 저하보다 크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속도는 하향링크 보다 오히려 상향링크시에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LBS를 이용한 실시간 지반정보 DB 구축 시스템 개발 (Real-time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base Development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 우제윤;구지희;이상훈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91-103
    • /
    • 2003
  • 지반조사자료는 건설공사의 계획부터 설계 및 시공,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건설전반에 걸쳐 공학적 판단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공사에는 필수적으로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방대한 양의 성과가 축적되었다. 그러나 조사 시 위치정보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이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어 현행 지반조사체계에서 위치정보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사 과정 분석을 수행하여 입력항목 중 위치와 관련된 인자를 도출하고 데이터모델링에 반영하여 DB설계를 수행하였다. GPS, PDA,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지반조사와 동시에 위치 및 속성정보를 실시간으로 GIS-DB화하는 지반정보취득 프로그램(PGeo)과 Web-DB를 이용하여 추가 지반조사자료를 입력하고, 레포팅할 수 있는 지반정보 레포팅 프로그램(GeoReport)을 개발하였다.

  • PDF

Knowledge Based New POI Recommendation Method in LBS Using Geo-Ontology and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 Joo, Yong-Jin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0
    • /
    • 2011
  •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 중심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정보 서비스이며 유비쿼터스 시대에 있어서 핵심적인 엔진으로서 논의되어져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의사 결정 기법을 통해 이동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공간적 선호도를 반영한 새로운 온톨로지 추론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OI 검색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LBS 추론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자의 상황인식정보와 개인적 특성 및 공간선호도에 따른 온톨로지로 구축을 하여 그 구현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사용자의 의사결정시 결정기준요소에 가중치 부여를 위한 Cost Value Ontology를 구축하여, 다 기준 의사추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추천 결과가 도출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을 제안하였다.

A New Route Guidance Method Considering Pedestrian Level of Service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 Joo, Yong-Jin;Kim, Soo-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83-91
    • /
    • 2011
  • The route finding analysis is an essential geo-related decision support tool in a LBS(Location based Services)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route guidance have been mainly focused on route guidances for vehicles. However, due to the recent spread of personal computing devices such as PDA, PMP and smart phone, route guidance for pedestrians have been increasingly in demand. The pedestrian route guidance is different from vehicle route guidance because pedestrians are affected more surrounding environment than vehicles. Therefore, pedestrian path finding needs considerations of factors affecting walking. This paper aimed to extract factors affecting walking and charting the factors for application factors affecting walking to pedestrian path finding. In this paper, we found various factors about environment of road for pedestrian and extract the factors affecting walking. Factors affecting walking consist of 4 categories traffic, sidewalk, network, safety facility. We calculated weights about each factor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ased on weights we calculated scores about each factor's attribute. The weight is maximum score of factor. These scores of factor are used to optimal pedestrian path finding as path finding cost with distance, accessibility.

Establishing the Process of Spatial Informatization Using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 Eo, Seung-Won;Lee, Youngmin;Yu, Kiyun;Park, Wooj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1-120
    • /
    • 2016
  • Prior knowledge about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s) datasets is often required to conduct valuable analysis using social media data.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SNS datasets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many ways. This paper purposes on analyzing the detail of the target social network services, Twitter, Instagram, and YouTube to establish the spatial informatization process to integrate social media information with existing spatial datasets. In this study, valuable information in SNS datasets have been selected and total 12,938 data have been collected in Seoul via Open API. The dataset has been geo-coded and turned into the point form. We also removed the overlapped values of the dataset to conduct spatial integration with the existing building layers. The resultant of this spatial integration process will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es and become a fundamental resource to further studies related to geospatial integration using social media data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