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nus Abie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의 내외형태학적(內外形態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enus Abies in Korea)

  • 김영두;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8-75
    • /
    • 1983
  •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 4종(種)에 대(對)하여 수종간(樹種間)의 특성(特性)과 분류학적(分類學的)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몇가지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침엽(針葉)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구과(毬果) 및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과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등 18개(個) 형질중(形質中) 엽후(葉厚)와 하표피(下表皮)의 세포층수(細胞層數) 등 2개(個) 형질(形質)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고, 14개(個) 형질(形質)은 A. koreana와 A. nephrolepis가 유사(類似)하고 A. holophylla와 A. firma가 유사(類似)하였으며, 2개(個) 형질(形質)은 A. koreana와 A. firma가 유사(類似)하게 나타났고, 특히 침엽(針葉)에 있어서 주수지구(主樹脂溝)의 위치(位置)는 A. koreana와 A. nephrolepis는 엽록부(葉綠部)인 L, LM에 위치(位置)하고, A. holophylla는 L, LM, M에 위치(位置)하고 A. firma는 L를 제외(除外)한 전지역(全地域)에 위치(位置)하나 M에 가장 많이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 PDF

한국산 나자식물 화분의 비교형태 (Comparative Morphology of Pollen Grains from Some Korean Gymnosperms)

  • 고성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203-221
    • /
    • 1994
  • 한국산 나자식물 5과 12속 19분류군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화분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고 기재하였으며, 각 과별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분류학적으로 볼 때 취급된 나자식물의 화분립은 모양, 크기, 표면상태, 표면무늬, 기낭의 유무 및 돌기의 유무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및 속 이하의 분류군에는 유용하였으나, Pinus속내의 종들은 본 연구에서 관찰된 화분립의 크기나 표면무늬에 의해서는 화분형질의 중복으로 인해 종분류는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소나무과내의 Picea속에 속하는 P. koraiensis의 화분립은 기낭의 형태가 불규칙하고, 몸체에 비해 기낭의 크기가 크며, 표벽이 얇기 때문에 기낭을 갖는 Pinus속과 Abies속의 분류군과는 차이점이 뚜렷하다. 또한 Abies속의 특징으로 기재된 모부의 중앙부위에서 기낭쪽으로 갈수록 표벽이 얇아진다는 점, 화분림 몸체의 표면이 비교적 굴곡이 심하지 않다는 점과 화분립의 크기가 크다는 점으로 볼 때 P. koraiensis는 기낭을 갖는 Pinus속과 Abies속 중 Abies속과 화분학적으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투과전자현미경관찰을 통해 기낭을 갖는 화분립을 조사한 결과 근극에는 내표벽과 외표벽이 모두 존재하나, 서로 분리되어 외표벽은 기낭과 연결되고 내표벽은 원극을 이룬다. 또한 구과목의 분류군들에 있어 소나무과를 제외한 주목과, 난우송과 및 측백나무와 일부 분류군의 내표벽이 여러 층으로 구성된 관상구조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기낭을 관찰한 결과 표면무늬는 유공상이고 미세한 pit가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낭의 표면무늬는 광학현미경상에서 망상으로 보이나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본 결과 이는 기낭내부의 망상구조가 광학현미경하에서 투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ectomycorrhizal mycorrhizal fungi in roots and rhizosphere soil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in Mt. Halla

  • Ji-Eun Lee;Ahn-Heum Eom
    • Mycobiology
    • /
    • 제50권6호
    • /
    • pp.448-456
    • /
    • 2022
  • In this study, the roots and rhizosphere soil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were collected from sites at two different altitudes on Mt. Halla. Ectomycorrhizal fungi (EMF) were identified by Illumina MiSeq sequencing. The proportion of EMF from the roots was 89% in A. koreana and 69% in T. cuspidata. Among EMF in rhizosphere soils, the genus Russula was the most abundant in roots of A. koreana (p < 0.05). The altitude did not affect the biodiversity of EMF communities but influenced fungal community composition. However, the host plan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EMF communities. The result of the EMF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even if the EMF were isolated from the same altitudes, the EMF communit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host plant. The community similarity index of EMF in the roots of A. koreana was higher than that of T. cuspidata (p < 0.05). The results show that both altitude and host plants influenced the structure of EMF communities. Conifers inhabiting harsh sub-alpine environments rely strongly on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EMF. A. koreana is an endangered species with a higher host specificity of EMF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an T. cuspidata.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EMF communities, which are symbionts of A. koreana, and our critical findings may be used to restore A. koreana.

설악산 식물군락 유기물층의 화분분석학적 연구 (Pollen Analytical Study on Humus Accumulated at Plant Communities of Mt. Seolag)

  • 강상준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4호
    • /
    • pp.267-276
    • /
    • 1987
  • A pollen analyt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accumulated humus samples collected from 27 sites under the different plant communities of Mt. Seolag. These pollen spectra were then compared with the actual vegetation. The aboreal pollen(AP) and non-abnoreal pollen(NAP) were 1 Family 25 Genus and 5 Family 5 Genus, respectively. Among the aboreal pollen identified, the pollen of Pinus, Quercus, Betula and Acer were appeared in abundance and the coniferous pollen of Pinus was occupied at least 20%-65% through all the sites studied. The pollens of Abies, Betula, accer, Quercus, Carpinus, Corylus, Fraxinus, Styrax, Prunus and Ericaceae we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vegetation but the other pollens were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vegetaton. It suggests that it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Wehseolag and Namseolag of subalpine zone in Mt. Seolag was 200 m by pollen spectra. Quercus was distributed at the lower part of Namseolag and the subalpine boreal eleme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s. The pollen spectra of each site was put together into 5 groups of pollen assemblage by cluster analysis and the community coefficient (CC) was over 60% between all sites studied.

  • PDF

백두대간 만복대.고리봉.수정봉 일대의 관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anbokdae, Goribong and Suieongbong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403
    • /
    • 2003
  • 여원재에서 만복대 사이 백두대간에 해당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4과 305속 439종 60변종 3품종 총 502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회귀 및 멸종위기종은 구름송이풀, 구상나무 금마타리, 께묵, 눈향나무(식), 땅나리. 목련(식). 산작약. 뻐꾹나리. 금강제비꽃의 총 10종류와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종은 보춘화 1종류가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 종은 개나리(식), 구상나무, 금마타리, 꽃마리, 나비나물, 노각나무, 말채나무, 병꽃나무, 분취, 뻐꾹나리, 일월비비추, 할미밀망 등의 총 24종류가 확인되 었다.

Community of Endophytic Fungi from Alpine Conifers on Mt. Seorak

  • Ju-Kyeong Eo;Ahn-Heum Eom
    • Mycobiology
    • /
    • 제50권5호
    • /
    • pp.317-325
    • /
    • 2022
  • Endophytic fungi occupy various ecological niches, which reinforces their diversity. A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ndophytic fungi of alpine conifers, we focused on four species of alpine conifers in this study-Abies nephrolepis, Pinus pumila, Taxus cuspidata var. nana, and Thuja koraiensis-and examined them for endophytic fungi. A total of 108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There were four taxa in A. nephrolepis, 12 in P. pumila, 18 in T. cuspidata var. nana, and 17 in T. koraiensis; these were divided into five classes: Agaricomycetes (3.2%), Dothideomycetes (29.0%), Leotiomycetes (15.0%), Sordariomycetes (41.9%), and Orbiliomycetes (1.6%). The most prevalent fungi were Sydowia polyspora (22.7%) and Xylariaceae sp. (22.7%) in P. pumila, Phomopsis juglandina (16.1%) in T. cuspidate var. nana, and Thuja-endophytes sp. 1 (70.0%) in T. koraiensis. However, there was no dominant species growing in A. nephrolepis. Some host plants were analyzed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We obtained 4618 reads for A. nephrolepis and 2268 reads for T. koraiensis. At the genus level, the top three endophytic fungi were Ophiostomataceae_uc (64.6%), Nectriaceae_uc (15.5%), and unclassified organism (18.0%) in A. nephrolepis and Nectriaceae_uc (41.9%), Ophiostomataceae_uc (41.8%), and Magnaporthaceae_uc (9.2%) in T. koraiensis. Our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t communities of endophytic fungi among different host plants, even if the host plants are in the same region. Such ecological niches are important in terms of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alpine conifers.

구상나무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Cohnella sp. HS21의 전체 게놈 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ohnella sp. HS21 isolated from Korean fir (Abies koreana) rhizospheric soil)

  • 지앙 링민;강세원;김성건;정재철;김차영;김대혁;김석원;이지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71-173
    • /
    • 2019
  • Paenibacillaceae계의 Cohnella 속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서식한다. 여기에 우리는 한국 한라산 꼭대기의 구상나무(Abies koreana)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Cohnella sp. HS21의 전체 게놈 서열을 보고한다. 균주 HS21은 원형 염색체 7,059,027 bp와 44.8%의 GC 함량을 가지고 있다. 5,939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와 78개의 트랜스퍼 (tRNA) 유전자, 27개의 리보솜 RNA (rRNA) 유전자, 4개의 비 코딩 RNA 유전자(ncRNA), 90개의 위 유전자가 존재했다. 박테리아는 항생제 관련 유전자 클러스터와 식물 세포벽 분해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의 핵학적(核學的) 유연관계(類緣關係) (Karyological Relationship of Genus Abies in Korea)

  • 김영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0-67
    • /
    • 1983
  • Abies 속(屬)에 있어서 한국자생종(韓國自生種)인 3종(種)과 일본(日本)에서 도입(導入)된 A. firma 등 4종(種)에 대한 유연관계(類緣關係)를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체염색체(體染色體)에 대한 핵형분석(核型分析)을 행(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체세포(體細胞)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4개종(個種) 공(共)히 2n=24 이고 2) 단완(短腕)의 길이의 순(順)으로 염색체(染色體)를 배치(配置)했을 때 (1), 9번(番) 염색체(染色體)의 long arm이 A. holophylla가 다른 3종(種)에 비(比)해 길어서 종식별(種識別)의 특징(特徵)이 될 수 있으며 (2), 장완(長腕) : 단완비(短腕比)(b/a)치(値)도 종(種) 식별(識別)에 유효(有效)했으며 특(特)히 그 평균치(平均値)가 A. koreana와 A. nephrolepis가 유사(類似)하고, A. holophylla와 A. firma가 유사(類似)했다. 3) Short arm 의 길이의 순(順)으로 배치(配置)했을 때 b/a치(値)의 순위(順位)는 8개(個)의 염색체(染色體)가 A. koreana와 A. nephrolepis가 같은 순위(順位)에 있고 A. holophylla와 A. firma는 2개염색체(個染色體)가 각각(各各) 유사성(類似性)이 있었다. 4) Total length의 크기의 순(順)으로 염색체(染色體)를 배치(配置)했을 때 7번(番) 및 8번(番)의 염색체(染色體)가 A. koreana와 A. nephrolepis에서 서로 유사(類似)한 특징적(特徵的)인 염색체(染色體)였다. 5) Total length의 길이 순(順)으로 배치(配置)했을 때 b/a치(値)의 순위(順位)는 A. koreana, A. nephrolepis에서 6개(個)의 염색체(染色體)가 같은 순위(順位)이고 A. holophylla와 A. firma에서는 2개(個)의 염색체(染色體)가 같은 순위(順位)에 있다. 6) Long arm의 길이의 순(順)으로 염색체(染色體)를 배치(配置)했을 때 1번(番) 염색체(染色體)가 A. koreana와 A. nephrolepis에 있어서 b/a치(値)가 큰데 비(比)하여 A. holophylla와 A. firma의 b/a치(値)는 공(共)히 작았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핵형분석결과(核型分析結果) 염색체(染色體)의 크기, Centromere를 중심(中心)으로 한 단(短), 장완(長腕)의 크기나 그 비치(比値), 또는 단완(短腕), 장완(長腕), 전장(全長)을 각각(各各) 기준(基準)으로 하여 크기 순(順)으로 배치(配置)했을 때의 특이성(特異性) 등이 종(種)의 특징(特徵)과 수종간(樹種間)의 유연성(類緣性)을 나타내는 좋은 기준(基準)이 될 수 있었다.

  • PDF

유전다양성 복원을 위한 지리산 구상나무 아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Korean Fir Sub-Populations in Mt. Jiri for the Restoration of Genetic Diversity)

  • 안지영;임효인;하현우;한진규;한심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17-423
    • /
    • 2017
  • 구상나무(Abies koreana)의 유전다양성 복원 전략 수립을 위해 지리산의 반야봉, 벽소령, 천왕봉 아집단들에 대한 유전다양성과 아집단 간 유전분화율을 추정하였다. 아집단 평균 유전다양성은 대립유전자수(A)가 7.8개, 평균 유효대립유전자수($A_e$)가 4.9개, 이형접합도 관찰치($H_o$)가 0.578, 이형접합도 기대치($H_e$)가 0.672이었다. 3개 아집단들의 평균 유전다양성($H_e=0.672$)은 지리산 집단 수준의 유전다양성($H_e=0.778$)과 구상나무 종 수준의 유전다양성($H_e=0.759$)보다 낮았으나, 전나무 속 타 수종들과 비교하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집단 간 유전분화율은 F-통계분석($F_{ST}$)에서 0.014였고, AMOVA 분석(${\Phi}_{ST}$)에서 0.004로 나타났다. 베이지안 군집분석에서 지리산 내 아집단 간 유전분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3개 지역으로부터 모수들을 충분히 선정하여 종자를 채취한다면, 유전적으로 다양한 복원재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 Unrecorded Genus Lambertella Höhn. (Rutstroemiaceae) and It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Choi, Jae-Wook;Park, Eunsu;Eo, Ju-Kyeo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27-131
    • /
    • 2021
  • Lambertella corni-maris Höhn., an endophytic fungus that is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was isolated and cultured from alpine coniferous Korean fir. The Lambertella sp. was found in Korean pine in Yeongwol-gun but no Lambertella spp. were recorded elsewhere in Korea.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barcode sequence of L. cornimaris were compared to its related species. We tried to explai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s, such as the conidia of L. corni-maris, compared to closely related taxa and present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