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ling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7초

적소두단백질(Red Bean Protein)과 Transglutaminase를 첨가한 돈육 근원섬유 단백질의 물성 증진 효과 (Effect of Red Bean Protein and Microbial Transglutaminase on Gelling Properties of Myofibrillar Protein)

  • 장호식;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2-790
    • /
    • 2011
  • 본 연구는 TGase 첨가에 따른 근원섬유 단백질과 비육류 단백질인 적소두단백질 또는 대두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비육류 단백질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TGase 반응시간에 따른 최적 조건을 평가하였다. 가열수율은 비육류 단백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적소두단백질 1%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가열수율을 나타내었다(p<0.05). 반면에 겔 강도 및 점성도는 근원섬유 단백질 단독 처리구와 비육류 단백질을 첨가한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또한 전기영동 결과는 가열 전 TGase 첨가 후 4시간 반응시켰을 때는 모든 처리구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실험1), TGase 첨가 후 10시간 반응시킨 모든 처리구에서는 biopolymer 밴드가 나타났다(실험2). 또한 TGase 반응시간에 따른 겔 강도는 10시간째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10시간의 반응시간은 배양시간이 너무 길어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부적합 하기 때문에 TGase함량을 0.5%로 증가시켜 효소와 단백질간의 최적 반응시간을 평가하고 비육류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물성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두단백 11S와 7S 분획의 젤 형성 특성 및 이틀 이용한 커드와 치즈의 텍스쳐에 관한 연구 (Gelling Characteristics of 7S and 11S Soybean Proteins and its Relation to the Texture of Soybean Curds and Cheeses)

  • 이경원;박은순;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8-344
    • /
    • 1989
  • 7S와 11S 대두단백 분획의 gelling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Ca^{++}$의 첨가 및 젖산 발효에 의해 커드를 조제하고 미세구조와 텍스쳐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커드를 원료로 치즈를 제조하고 Instron과 관능 경사를 통하여 텍스처를 평가하였다. 대두 커드의 미세구조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망상구조내의 단백질 입자가 응고제간에서는 lactic starter로 제조한 커드가 $CaCl_2$로 제조한 커드보다 더 컸고 단백질 분획간에는 11S 분획이 7S 분획에서보다 더 컸다. Instron에 의한 텍스처 측정치는 lactic starter로 제조한 커드와 치즈가 $CaCl_2$로 제조한 커드와 치즈에 비해 경도, 뭉치는 성질 및 저작성이 높았으며 단백질 분획간에서는 대두단백 11S분획이 분리대두단백과 7S 분획보다 경도, 응집성, 탄성 및 뭉치는 성질이 컸다. 관능검사 결과 11S 분획으로 제조한 치즈가 맛, 경도 및 저작성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선호도 검사에서는 분리대두단백으로 제조한 치즈가 색상, 저작성 및 깨지는 성질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대두단백 11S분획으로 치즈를 만들 때 색상만 개선시키면 새로운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밝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오미자(五味子)의 약배양(葯培養)에 영향(影響)하는 요인(要因) (Factors Affecting Anther Culture in Schizandra chinensis)

  • 이중호;이승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20
    • /
    • 1997
  • 오미자 약배양을 이용한 우량계통 조기고정 및 순계유지를 위하여, 약배양 효율에 미치는 배양시기, 저온전처리, 생장조절제 및 sucrose 농도, 배지응고제, 그리고 기관분화에 미치는 ABA, $AgNO_3$ 등의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배양 시기는 화뢰의 장폭이 $6.2{\times}4.0mm$ 크기의 1핵성 소포자 중기 - 후기의 약에서 13.3%의 가장 높은 캘러스 형성율을 보였다. 2. 화뢰의 저온전처리에 따른 캘러스 형성율은 $4^{\circ}C$, 8일 처리에서 12.5%로 가장 높았다. 3.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은 1.0mg/L 2, 4-D와 0.25mg/L kinetin 첨가배지에서 8.3%로 가장 높았다. 4. 배지내 sucrose농도에 따른 캘러스 형성율은 4% 첨가배지에서 10.8% 로 가장 높았다. 5.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배지응고제는 0.6% Gelrite첨가배지에서 9.0%로 가장 높았다. 6. 기관분화를 위한 배지내 ABA와 $AgNO_3$의 첨가는 캘러스의 갈변을 억제하였으며, 5mg/L ABA첨가배지에서 뿌리분화가 이루어졌다.

  • PDF

Filter membrane과 feeder세포를 이용한 벼의 원형질체 배양 (The Filter Membrane Culture Procedure with Feeder Cells in Rice Protoplast Culture)

  • LEE, Sung-Ho;SHON, Young Geol;Lee, Soo In;DAVEY Micheal R.;COCKING Edward C.;CHO, Moo Je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95-303
    • /
    • 1997
  • Japonica 벼 품종 Taipei 309 성숙 종자의 배반에서 유도된 캘러스로부터 유기 시킨 세포 현탁 배양체에서 원형질체를 분리하여 filter membrane과 feeder 세포를 이용한 여러가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은 gelling agents, feeder 세포와 원형질체 밀도, feeder 세포의 종류 및 heat shock 처리 등이며 이들이 filter membrane 배양 방법에서 원형질체 평판 효율에 미치는 효과들을 조사하였다. 원형질체 평판 효율은, Lolium multiflorum을 feeder 세포로 사용하고 (10 mL의 원형질체 배양 배지당 0.5 mL pcv) 원형질체를 mL 당 $5\;\times\;10^{5}$개로 하여 Sea Plague agarose 배지에 원형질체를 배양 했을때 최고치를 얻었다. 원형질체에 heat shock 처리를 했을 때 원형질체 평판 효율은 변화가 없었다. carbohydrate source로서 sucrose로서 sucrose 대신에 maltose를 사용했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으며 원형질체로부터 재분화된 이들 식물체들은 임성을 나타내었다.

  • PDF

초음파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lambda$-carrageenan의 특성 (Properties of Lower Molecular Weight of $\lambda$-Carrageenan Manufactured by Ultrasound)

  • 김상무;박성민;최현미;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07-611
    • /
    • 1999
  •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분자 $\lambda$-carrageenan을 제조한 다음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용한계농도에 있어서는 대조구 $\lambda$-carrageenan는 $3\%$에서 가용한계농도를 나타내었고, 초음파 처리에 의해 저분자화가 많이 될수록 가용한계농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알콜 침전도는 대조구에 비해 초음파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유화능은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으며, 분자량이 낮을 수록 유화능은 낮게 나타났다. 점도는 예상하였던 대로 초음파 처리에 의해 저분자화된 $\lambda$-carrageenan (P-1, P-2)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초음파 처리가 많이 될수록 점도는 낮게 나타났다. $\lambda$-carrageenan이 갈변반응에 대하여 크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갈변억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분자화가 많이 될수록 갈변억제효과는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lambda$-carrageenan 및 저분자화된 $\lambda$-carrageenan의 분자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lambda$-carrageenan의 분자량은 약 250,000이었으며 초음파 처리에 따른 저분자화 된 $\lambda$-cariageenan의 분자량은 각각 184,000(P-1) 및 67,000 (P-2)정도 이었으며, GPC 결과도 이와 비슷하였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고형 자외선 차단제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hysical Properties of Solid Sunscree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류상덕;허민근;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7-254
    • /
    • 2019
  • 본 연구는 친수성 겔화제인 sodium stearate가 수분이 다량 함유된 수중유형의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O/W (oil in water) type의 자외선 차단제는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W/O (water in oil) type의 자외선 차단제보다 상대적으로 안정화가 용이하다.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를 위해 유화제 종류, 전해질과 왁스나 오일 등을 이용하여 안정도를 높이는 방법 등이 연구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은 수분이 40% 이상 함유된 수중유형으로 sodium stearate를 활용하여 경도를 향상시켜 안정화시키고자 하였다. 자외선차단 화장료 경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으며, sodium stearate, 폴리올 및 오일을 각 요인으로 하였다. 반응값인 경도는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경도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 중 특히 sodium stearate가 유의미한 값(p < 0.05)을 보였다. 또한 sodium stearate 함유로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성과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녹차 theanine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품질특성 조사 (Production of green tea jelly using theanine and its physiochemical characterization)

  • 김성경;정하나;임애은;양광열;최용수;남승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53-56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저온진공조건에서 추출 시간과 농도에 따른 녹차 열수추출조건을 최적화한 후 HP-20 column으로 caffeine을 제거한 녹차 추출물을 이용해 theanine 함유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theanine 함유 젤리의 품질 특성, 제형안정성 및 항산화 효과, AChE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최적추출조건은 8% 녹차 분말을 2시간 추출하여 theanine 0.95 mg/mL, GABA 0.28 mg/mL, caffeine 1.45 mg/mL 추출액을 HP-20 column을 이용해 80% 에탄올로 카페인을 제거하였다. 3종의 겔화제와 농도별로 4종의 theanine 추출물 S1-S4(10-50%)을 제조해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젤리에 theanine 추출물이 많을수록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젤리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3가지 겔화제 중 타마린드검, 잔탄검, 로거스트콩검(2:3:5=w/w/w)을 조합한 겔화제 III이 경도와 점착성이 낮고 탄력성이 높아 조직감이 가장 뛰어났다. 제형안정성 조사 시, 35%가 첨가된 S3가 이수율 25.88%과 붕괴율 1.31%로 우수한 제형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theanine 함유 젤리는 95℃, 30분간 가열조건에도 theanine과 GABA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대부분 잔존하는 것을 TLC와 LC-MS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Theanine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 radical 소거능은 증가하며, S4(50%)는 0.075 mg/mL ascorbic acid 수준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AChE 저해 효과는 S3(35%)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donepezil 2.5 μM과 동일한 수준의 AChE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녹차 추출물에서 caffeine을 제거한 theanine 추출물로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Characteristics and Gel Properties of Gelatin from Goat Skin as Influenced by Alkaline-pretreatment Conditions

  • Mad-Ali, Sulaiman;Benjakul, Soottawat;Prodpran, Thummanoon;Maqsood, Saji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45-854
    • /
    • 2016
  •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gelatin from goat skin pretreated with NaOH solutions (0.50 and 0.75 M) for various times (1 to 4 days) were investigated. All gelatins contained ${\alpha}$-chains as the predominant component, followed by ${\beta}$-chain.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s of those gelatins were $23.02^{\circ}C$ to $24.16^{\circ}C$ and $33.07^{\circ}C$ to $34.51^{\circ}C$, respectively. Gel strength of gelatins increased as NaOH concentration and pretreatment time increased (p<0.05). Pretreatment for a longer time yielded gelatin with a decrease in $L^*$-value but an increase in $b^*$-value. Pretreatment of goat skin using 0.75 M NaOH for 2 days rendered the highest yield (15.95%, wet weight basis) as well as high gel strength (222.42 g), which was higher than bovine gelatin (199.15 g). Gelatin obtained had the imino acid content of 226 residues/1,000 residues and the gelatin gel had a fine and ordered structure. Therefore, goat skin gelatin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replacer of commercial gelatin.

Effects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and Sodium Carbonate as Phosphate Replac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fied Chicken Meatballs

  • Ozturk, Burcu;Serdaroglu, Melte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6-42
    • /
    • 2018
  • Today incorporation of natural ingredients as inorganic phosphate replacers has come into prominence as a novel research topic due to health concerns about phosphat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emulsified chicken meatballs produced with Jerusalem artichoke powder (JAP),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odium carbonate (SC) as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replacers.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ly dried JAP showed favorable technological properties in terms of water-oil binding and gelling. Emulsion batters formulated with JAP-SC mixture showed lower jelly and fat separation, higher water-holding capacity and higher emulsion stability than control samples with STPP. In final product, incorporation of JAP-SC mixture increased moisture and reduced lipid and energy values, and kept the pH value similar to control. Added JAP lead to increments in $b^*$ values whereas decreases $L^*$ values. Cook yield was similar to control in phosphate-free samples formulated with JAP-SC mix. Either low or medium ratios of JAP in combination with SC managed to protect most of the sensory parameters, while sensory scores tend to decrease in samples containing high levels of JAP. Addition of JAP to formulations presented samples that have equivalent behavior to phosphates in terms of lipid oxidation. In conclusion, our study confirms that utilization of JAP in combination with SC had promising effects as phosphate replacers by presenting natural solutions and providing equivalent quality to standard phosphate containing products.

Effect of Laser Beam on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BaTiO3 Nanoparticles during Sol-Gel Preparation

  • Mostafa, Massaud;Ebnalwaled, Khaled;Saied, Hussien A.;Roshdy, Reham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81-589
    • /
    • 2018
  • This work concentrated on the effect of different laser beams on the micro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_3$ nanoparticles at different calcinations times during the gelling preparation step. Th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A green (1000 mW, 532 nm) and red laser beam (500 mW, 808 nm), were appli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stirring raw materials. The samples were sintered at $1000^{\circ}C$ for 2, 4, and 6 h.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showed that samples prepared under the green laser have the highest purity. The FT-IR spectra showed that the stretching and bending vibrations of TiO bond without any other bonds, which are compatible to the X-ray diffraction (XRD) results.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can electron microscopy (SEM), and UV-Visible spectrophotometer. Characterization showed the samples prepared under the green laser to have the highest particle size (~ 50 nm) and transparency for all sintering durations. Laser beam effects on electrical characterization were studied. BT nanoparticles prepared under the green laser show the higher dielectric constant, which was found to increase with sintering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