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Content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32초

Microemulsion-based Hydrogel Formulation of Itraconazole for Topical Delivery

  • Lee, Eun-A;Balakrishnan, Prabagar;Song, Chung-Kil;Choi, Joon-Ho;Noh, Ga-Ya;Park, Chun-Geon;Choi, Ae-Jin;Chung, Suk-Jae;Shim, Chang-Koo;Kim, Dae-Du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5호
    • /
    • pp.305-311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preparing microemulsion-based hydrogel (MBH) for the skin delivery of itraconazole. Microemulsion prepared with Transcutol as a surfactant, benzyl alcohol as an oil and the mixture of ethanol and phasphatidyl choline (3:2) as a cosurfactant were characterized by solubility, phase diagram, particle size. MBHs were prepared using 0.7 % of xanthan gum (F1-1) or carbopol 940 (F1-2) as gelling agents and characterized by viscosity studies. The in vitro permeation data obtained by using the Franz diffusion cells and hairless mouse skin showed that the optimized microemulsion (F1) consisting of itraconazole (1% w/w), benzyl alcohol (10% w/w), Transcutol (10% w/w) and the mixture of ethanol and phospahtidylcholine (3:2) (10% w/w) and water (49% w/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ux (${\sim}1{\mu}g/cm^2/h$) with their corresponding MBHs (0.25-0.64 ${\mu}g/cm^2/h$). However, the in vitro skin drug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1 and F1-1, while F1-2 showed significantly low skin drug content. The effect of the amount of drug loading (0.02, 1 and 1.5% w/w) on the optimized MBH (F1-2) showed that the permeation and skin drug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drug loading (1.5%). The in vivo study of the optimized MBH (F1-2 with1.5% w/w drug loading) showed that this formulation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topical formulation for itraconazole.

산소대사물에 의한 심장근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운반 억제 기전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Mechanism of Calcium Binding Inhibition of Cardiac Sarcoplasmic Reticulum by Oxygen Free Radicals)

  • 김혜원;정명희;김명석;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9-89
    • /
    • 1985
  • 심근 세포의 칼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arcoplasmic reticulum (SR)의 칼슘운반 능력이 허혈 심근에서 현저히 억제됨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허혈 심근에서의 SR 칼슘운반승력 저하에 유독성 산소 대사물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그 기전에 관하여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그 기전의 일단을 규명하기 위하여 산틴 산화효소계에 의하여 발생된 유독성 산소대사물긴 돼지 심실근에서 추출한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흡수 및 막지질 과산화, sulfhydryl group 그리고 단백질 변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틴 산화 효소계와 반응시킨 sarcopl smic reticulum의 칼슘흡수는 반응시간 경과에 따라 현저히 억제되었다. 2) sarcoplasmic reticulum 막지질 과산화는 산딘 산화 효소계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3) 항산화제 ${\beta}$-phenylenediamine은 막지질 과산화의 증가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나, 칼슘흡수 억제는 부분적으로 회복시켰다. 4) 산틴 산화 효소계에 의하여 SH-group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항산화제 첨가에 의하여 그 감소가 일부 억제되었다. 5) sarcoplasmic reticulum을 DTNB로 처리하여 SH-group을 산소 대사물에 의한 산화반응으로부터 보호했을 경우 칼슘흡수의 억제가 부분적으로 방지되었다. 6) Sephadex G-200 크로마토그라피 상에서 산틴 산화효소계와 반응시킨 sarcoplasmic reticulum의 단백질분해가 관찰되었다. 7) 단백질의 polymerization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아울러 polymerization을 억제하는 semicarbazide로 칼슘흡수 감소를 방지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독성 산소대사물에 의한 sarcoplasmic reticulum의 칼슘흡수 억제는 sarcoplasmic reticulum의 막지질 과산화, SH-group의 산화 및 막 반백절의 분해 등으로 초래되는 복합적인 기전으로 추정되었다.

  • PDF

다양한 식물배양세포주에서 자유라디칼 포착활성과 Ascorbate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scorbate Content in Various Plant Cell Lines)

  • AHN, Young-Ock;CHOI, Yong-Hwa;KWON, Seok-Yoon;LEE, Haeng-Soon;KIM, Suk-Won;PARK, Il-Hyun;KWAK, Sang-So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89-293
    • /
    • 1998
  • 다양한 유도조건에서 확립한 64종의 식물배양세포주의 MPA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이 높은 세포주를 대상으로 HPLC로 ascorb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13종의 세포주는 생체중 50mg 이하에서 DPPH 라디칼의 자연산화를 억제하는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6종의 세포주의 MPA추출물을 실리카겔 TLC에 전개하여 DPPH용액을 분무한 결과, ascorbate와 같은 Rf 위치에서 DPPH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존재하였다. DPPH 양성반응을 나타낸 덩굴장미(Rosa multiflor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세포주의 ascorbate 함량($\mu\textrm{g}/g$ cell fresh wt)은 각각 48.5, 30.3, 16.8였다. 황금 캘러스 배양에서 ascorbate의 함량은 세포생장에 비례하여 정지기까지 증가한 후 계속적인 생장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쌀 품종에 따른 증편의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ure of Jeung-pyun According the Kinds of Rice)

  • 김효진;이숙미;조정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5
    • /
    • 1997
  • The composition and polymeric structure of star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rice. In an effort to rel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ts functional properties of starch in rice,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starch from 6 rice cultivars were analysed. To relat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tarch the texture of Jeung-pyun made of rice were analyzed during retrogradation. The polymeric structure of rice starch was analyzed by debranching with isoamylase after gelatinization and fractionated with Sephadex G-75 gel filteration. The size fractionated debranched starch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such as Fraction I, II, III and Intermediate Fraction depending in their max, The fractions with the max higher than 620 nm were designated as Fraction I, while those in the range of 600-620 nm and 540-600 nm as the Intermediate Fraction and Fraction II, respectively. The Fractions with the max lower than 540 were described as Fraction III.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of the Fraction I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200, and those of other fractions, i.e. the Intermediate Fraction I, Fraction II and III were 150,45 and 25, respectively. The levels of Fraction I were varied from II to 35% of total sugar. The Fraction I showed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amylse contents, and the Intermediate Fraction, which might contain the mixture of short chain of amylose and debranched long chain of amylopectin, were measured to be in the range of 2.7∼8.4%. The levels of fraction II and III, both to be considered as the branches of amylopectin, were ranged 14.5∼23.6% and 39.7∼73.0%, respectively. The ratio of Fraction III to Fraction II describing the degree of branch or compactness of amylopectin was estimated to be around 4.0 for waxy varieties and around 2.0 for high amylose cultivars. With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branch of the amylopectin may effect on amylose contents of starch or rice versa, To invertigate processing aptitude of different rice cultivars for the preparation of Jeung-pyun, its texture was analyzed by Instron,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gumminess and chewiness of Jeung-pyun made of rice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mylose content. Hardness was increased during retrogradation of produc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rdness and amylose content due to not only difference in amylose content but also difference i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arch. I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of rice starc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uring retrogradation elasticity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fore retrogradation bur during retrograd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se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branch of the amylopectin may effect on elasticity during retrogradation. Howev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hich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fore retrogradation,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structure of rice starch during retrigradation.

  • PDF

밀양 국전광산의 녹-청색 구리-아연 수화황산염 광물 (Green-blue Coloured Cu-Zn Hydrated Sulfate Minerals from Gukjeon Mine in Miryang)

  • 구효진;장정규;도진영;정기영;조현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6호
    • /
    • pp.473-483
    • /
    • 2018
  • 경남 밀양시에 소재한 납-아연 스카른 광상인 국전광산의 갱내 벽면을 따라 지하수로부터 침전된 청-녹색의 광물들이 암반을 피복하고 있는데, 이 광물들은 과거 문헌에서 남동석과 공작석으로 기재되어 왔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녹색의 광물은 데빌린(devilline), 청색의 광물은 수화구리아연황산염 광물들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동정이나 광물학적 특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녹색 이차 광물들을 외형적 특징에 따라 5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X-선회절분석와 주사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여 정확한 광물 동정과 광물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GJG-1은 밝은 청록색을 띠는 그룹으로 브로칸타이트(brochantite)와 석영, GJG-2는 연두색을 띠며 쉽게 부스러지는 특징을 가지는 그룹으로 슐럼버가이트(schulenbergite)와 소량의 석고(gypsum)로 확인되었다. 연한 청색의 GJG-3와 유리광택을 가지는 청록색의 GJG-4는 외형적 특징은 달랐지만 구성 광물은 서피어라이트(serpierite)와 석고로 동일하고, 석고의 함량이 달라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GJG-5는 연한 청색과 진한 청색의 광물들이 혼합된 겔(gel)상으로 하이드로우드워다이트(hydrowoodwardite), 글로코세리나이트(glaucocerinite), 베체러라이트(bechererite), 서피어라이트와 석고로 구성된다. 국전광산에서 산출되는 6가지의 녹-청색 광물들은 Cu:Zn 비, (Si+Al) 함량 및 Si:Al 비, Ca 함량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광물들의 형성 환경은 주변 유체 내에서 이와 같은 지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조절된 것으로 사료되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정확한 형성 환경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서피어라이트, 글로코세리나이트, 베체러라이트 등의 수화황산염 광물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며, 해외에서도 보고된 사례가 매우 적어 광물학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규산(硅酸)나트륨 수용액(水溶液)의 솔-젤 반응속도론적(反應速度論的) 고찰(考察) (A Study on the Sol-Gel Reaction Kinetics of Sodium Silicate Solution)

  • 김철주;윤호성;장희동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6호
    • /
    • pp.34-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yellow silicomolybdate method를 이용하여 규산나트륨 수용액의 특성, 핵 생성에 필요한 규산나트륨 수용액의 산화반응 특성 그리고 출발용액의 솔젤 반응특성을 기초로 하여 실리카 솔 형성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고찰을 하였다. $SiO_2$를 2wt% 함유한 규산나트륨 수용액은 황산으로 산화시키기에 적당하였으며, 규산나트륨 수용액중의 나트륨 이온을 제거한 후, 안정된 실리 케이트 수용액을 얻기 위한 용액의 pH는 9 이상이었다. 규산종과 실리카 핵 표면 사이의 축중합 반응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는 반응온도 $20{\sim}80^{\circ}C$, 수용액의 pH 10에서 수행하였다. 반응은 두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규산종의 농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축중합 반응에 의해 제한을 받으며, 낮은 농도 영역에서는 화학흡착된 규산종이 실리카로 응축되는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 축중합 반응은 규산종 농도의 1차 반응으로 진행되며, 축중합 반응은 무정형 실리카의 용해도에 접근하기 보다는 가평형점($C_x$) 향하여 진행된다. 본 연구조건에서 무정형 실리카의 용해열은 3.34 kcal/mol이었고 축중합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3.16 kcal/mol이었다.

국상(Kuksang) 뽕잎(Morus alba L.)으로부터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 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Compounds from Morus alba cv. Kuksang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 최무영;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70-879
    • /
    • 2015
  • 109종의 뽕잎 종류 중 국상 품종 뽕잎으로부터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작용을 가지는 페놀성화합물을 분리하여 저해활성을 검토하였다. 국상 뽕잎의 물추출물에서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각각 93.8%와 48.7%를 나타내었다. 국상뽕잎 추출물의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9.7±0.2 mg/g, 60% ethanol 추출물에서 14.3±0.2 mg/g으로 나타났으며, 국상뽕잎 물 추출물 200 μg/ml의 농도에서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각각 100%와 82.6%로 나타났다. 국상뽕잎으로부터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국상뽕잎 물추출물을 Sephadex LH-20과 MCI-gel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OH→H2O와 reverse phase type인 H2O→MeOH로 유기용매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gradient로 용출하여 정제하였다.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정제물은 FAB-MS, NMR과 IR spectrum을 구조 분석한 결과 quercetin으로 동정되었다.

개암종실(種實)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개암종실(種實) 탈지박(脫脂粕)의 단백질(蛋白質) 분리(分離) 및 분리단백질(分離蛋白質)의 특성(特性)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Hazel Nut - Separation of Protein from Defatted Hazel Nut Meal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tein Isolates -)

  • 윤한교;금종화;이종수;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231-237
    • /
    • 1981
  • 개암종실(種實)중의 단백질(蛋白質)을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을 억디 위하여 탈지박(脫脂粕)으로부터 단백질(蛋白質)을 추출(抽出)하여 침전(沈澱)으로 분리(分離)하고 분리단백질(分離蛋白質)의 아미노산 조성(組成)과 전기영동(電氣泳動) pattern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탈지박(脫脂粕)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54.6%로서 높은 영양가가 인정되었다. 2. 탈지박(脫脂粕)의 염용해성단백질의 추출율(抽出率)은 2.5M $MgCl_2$에 있어서 53.0%, 1.0M NaCl에 있어서 31.5%이었다. 3. 개암단백질(蛋白質)은 용해도(溶解度)에 따라 염용해성 globulin 53.0%, 수용성(水溶性)albumin 14.0%, glutelin 29.5%로 분류(分類)되어졌다. 4. 추출(抽出)된 단백질(蛋白質)의 침전율(沈澱率)은 pH5.5에서 85%이었으며 ethanol과 acetone의 농도를 60~70%로 하였을 때 90%의 단백질이 분리(分離)되어졌다. 5. 전기영동(電氣泳動)에 의하여 물과 0.01M NaCl로 추출된 단백질(蛋白質)은 3개의 band, 0.027N NaOH와 1M NaCl에 있어서는 6개의 band가 나타났다. 6. 개암종실탈지박(種實脫脂粕)과 분리단백질(分離蛋白質)이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acid, arginine, aspartic acid이었다.

  • PDF

Preparation of minor ginsenosides C-Mc, C-Y, F2, and C-K from American ginseng PPD-ginsenoside using special ginsenosidase type-I from Aspergillus niger g.848

  • Liu, Chun-Ying;Zhou, Rui-Xin;Sun, Chang-Kai;Jin, Ying-Hua;Yu, Hong-Shan;Zhang, Tian-Yang;Xu, Long-Quan;Jin, Feng-Xi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221-229
    • /
    • 2015
  • Background: Minor ginsenosides, those having low content in ginseng, have higher pharmacological activities. To obtain minor ginsenosides, the biotransformation of American ginseng protopanaxadiol (PPD)-ginsenoside was studied using special ginsenosidase type-I from Aspergillus niger g.848. Methods: DEAE (diethylaminoethyl)-cellulose an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in enzyme purification,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ere used in enzyme hydrolysis and kinetics; crude enzyme was used in minor ginsenoside preparation from PPD-ginsenoside; the products were separated with silica-gel-column, and recognized by HPLC and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Results: The enzyme molecular weight was 75 kDa; the enzyme firstly hydrolyzed the C-20 position 20-O-${\beta}$-D-Glc of ginsenoside Rb1, then the C-3 position 3-O-${\beta}$-D-Glc with the pathway $Rb1{\rightarrow}Rd{\rightarrow}F2{\rightarrow}C-K$. However, the enzyme firstly hydrolyzed C-3 position 3-O-${\beta}$-D-Glc of ginsenoside Rb2 and Rc, finally hydrolyzed 20-O-L-Ara with the pathway $Rb2{\rightarrow}C-O{\rightarrow}C-Y{\rightarrow}C-K$, and $Rc{\rightarrow}C-Mc1{\rightarrow}C-Mc{\rightarrow}C-K$. According to enzyme kinetics, $K_m$ and $V_{max}$ of Michaelis-Menten equation, the enzyme reaction velocities on ginsenosides were Rb1 > Rb2 > Rc > Rd. However, the pure enzyme yield was only 3.1%, so crude enzyme was used for minor ginsenoside preparation. When the crude enzyme was reacted in 3% American ginseng PPD-ginsenoside (containing Rb1, Rb2, Rc, and Rd) at $45^{\circ}C$ and pH 5.0 for 18 h, the main products were minor ginsenosides C-Mc, C-Y, F2, and C-K; average molar yields were 43.7% for C-Mc from Rc, 42.4% for C-Y from Rb2, and 69.5% for F2 and C-K from Rb1 and Rd. Conclusion: Four monomer minor ginsenosid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at low-cost) from the PPD-ginsenosides using crude enzyme.

가열온도와 시간이 돈육소시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Temperature and Time on Characteristics of Port Sausage)

  • 정인철;문귀임;이돈우;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32-836
    • /
    • 1994
  • 가열온도를 $58^{\circ}C\;및\;65^{\circ}C$로 하고 가각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돈육소시지의 몇가지 특성을 검토하였다. 소시지의 표면색도는 $58^{\circ}C$로 가열하였을 때에 l(명도), a(적색도) 및 b(황색도)값이 각각 64.60~65.26, 9.14~9.94 및 8.68~9.34이었고 $65^{\circ}C$ 가열의 경우는 각각 65.16~66.68, 8.78~9.62 및 7.66~8.36이었다. 그리고 gel강도는 $58^{\circ}C$에서 120분 이상 가열, $65^{\circ}C$에서 40분 간의 가열이 높앗으며, $NO_2$의 잔존량은 $58^{\circ}C가\;65^{\circ}C$의 가열 보다 더 높았고 가열시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균수는 $58^{\circ}C$의 가열이 더 많았으며 전제적으로 $8.7{\times}10^{2}~3.5{\times}10^{3}$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58^{\circ}C와\;65^{\circ}C$ 가열 사이에 현저한 차이는 없었고 Asp, Glu 및 Lys가 많이, Cys, Met 및 Tyr 등이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