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yageu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FM 방식을 이용한 가야금 음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ynthesizing the Sound of Gayageum with FM Algorithm)

  • 김재용;권민도;장호근;우종식;박주성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1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가야금 음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야금 음의 합성에 적합한 3 오퍼레이터 FM 합성방식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알고리즘에 사용될 파라메터를 MATLAB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C언어를 이용하여 음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음을 주관적인 방법과 객관적인 방법으로 비교한 결과 두 음이 아주 흡사함을 확인했다. 제안된 합성방식을 DSP를 이용하여 구현하여 만든 합성음도 원음과 비슷한 음질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 PDF

아두이노와 DSP를 이용한 물리적 모델링 기반의 현 없는 산조 가야금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Sanjo Gayageum Based on Physical Modeling Using Arduino and DSP)

  • 서준상;정인규;김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9-2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산조가야금의 음을 합성하여 아두이노(Arduino)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한 물리적 모델링 기반의 현 없는 산조 가야금을 구현한다. 아두이노는 저렴한 가격에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며, DSP는 높은 분해능과 빠른 A/D변환 기능을 지원하여 복잡한 음 합성 연산의 빠른 처리를 만족시킨다. 또한 기존 가야금의 복잡한 연주법을 초보자도 쉽게 다루기 위해 가야금의 현을 대신해 터치 패널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I/O동작은 아두이노 MEGA 2560보드를, 음 합성의 복잡한 연산을 위해 CCSv5(Code Composer Studio) 툴과 DSP칩을 내장한 DSK5510 보드를 이용하여 기능을 검증한다. 모의실험 결과 현 없는 가야금의 합성음은 기존의 음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초보자도 쉽게 제어하고 연주가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였다.

  • PDF

가야금 안족의 위치에 따른 개선된 주파수 모델링 (An Improved Frequency Modeling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Anjok of the Gayageum)

  • 권순덕;조상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6-151
    • /
    • 2014
  • 본 논문은 기존의 가야금 안족 모델을 분석하고 안족의 위치에 따른 주파수 모델링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기존의 모델은 안족의 위치별 기본 주파수의 변화를 지수 함수로 가정, 리키 적분기를 이용하여 이들 주파수를 적분한 후 선형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주파수와 안족의 위치에 관한 수식의 파라미터를 구하였다. 이 모델은 평균적으로 2.5 Hz의 오차를 보였으나 낮은 주파수에 대해서는 최대 7.75 Hz의 오차를 보였다. 이에 제안하는 모델은 안족의 위치를 세부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 내 누적 주파수에 대한 선형 회귀 모델을 적용하였고, 리키 적분기의 계수를 바꿔가며 안족 위치의 세부 구간 내 각 현의 기본 주파수와 계산된 주파수간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최소가 되는 계수를 찾음으로써 최적의 파라미터를 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모델은 기존의 오차를 최대 3배가량 줄일 수 있었다.

가야금의 실시간 음 합성을 위한 멀티코어 프로세서 구현 (Multi-Core Processor for Real-Time Sound Synthesis of Gayageum)

  • 최지원;조상진;김철홍;김종면;정의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1호
    • /
    • pp.1-10
    • /
    • 2011
  • 물리적 모델링은 실제 악기음과 유사한 고음질의 음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물리적 모델링은 악기의 소리를 합성할 때 필요한 수많은 파라미터들을 동시에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동시 발음수가 높은 악기의 경우 실시간 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의 음 합성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 단일 명령어 다중 데이터(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SIMD) 방식의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SIMD기반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가야금의 12개현을 제어하기 위해 12개의 프로세싱 엘리먼트(Processing Element, PE)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프로세싱 엘리먼트는 해당되는 가야금 현을 모델링하며, 각 현의 여기신호와 파라미터를 음 합성 병렬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받아 동시에 12개 현의 합성된 음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표본화 비율을 44.1kHz로 설정하고 16비트 양자화 데이터의 음을 합성한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SIMD기반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이용한 합성음은 원음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상용 프로세서(TI TMS320C6416, ARM926EJ-S, ARM1020E)보다 실행 시간에서 5.6~11.4배, 에너지 효율에서 553~1,424배의 향상을 보였다.

국악기 근접 마이크로폰 테크닉스를 위한 연구 (가야금, 해금, 대금, 꽹과리) (Study on Close Microphone Techniqu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Gayageum, Haegeum, Daegeum, and Kkwaenggwari))

  • 한제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753-4761
    • /
    • 2013
  • 본 연구는 국악기 방사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마이크로폰의 설치 각도와 거리를 설정하여 국악기소리를 녹음한 후 녹음된 데이터를 주파수 스펙트럼과 반복청취를 통하여 음색특징을 분석, 가장 적합한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 녹음위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대중음악에 사용되어지는 근접 마이크로폰 테크닉을 위한 실험이며 대중음악 녹음 스튜디오에서 이루어 졌다. 이 연구는 녹음 시 가장 적합한 마이크로폰의 위치 제시와 함께 다양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음색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름다운 우리 국악기 소리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다양한 음색을 표현하기 위한 국악기 근접 마이크로폰 테크닉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통음악의 전승과 미래 -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Focusing of Solo Instrumental Music for the Gayageum (12-stringed Zither) -)

  • 이용식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281-315
    • /
    • 2009
  • 20세기 초 일제강점기를 겪고 서양문화의 급격한 수입으로 인해 전통은 '과거의 진부한 유산'으로 취급받으면서 전통음악은 농경사회의 잔재 혹은 '기생문화'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이런 와중에 전통음악문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붕괴되면서 피폐화되었다. 1960년대 이후 전통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무형문화유산은 정부의 보호막에 들어갔다. 이후 많은 전통음악장르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근근이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많은 대학에 국악과가 설립되고, 국립국악원을 비롯한 각종 시립·도립 국악관현악단이 설립되면서 전통음악은 부활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권 음악계의 이런 변화는 우리의 전통음악문화의 전승방법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전통음악을 포함하는 무형문화유산은 살아있는 생명체이고, 전통음악은 이를 둘러싼 유기적인 환경이 바뀌면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스스로 소멸되기도 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변모하기 마련이다. 한번 창작되면 어느 정도의 고정성을 갖는 완성예술(product arts)인 서양예술음악과는 달리 한국 전통음악은 음악가의 손을 거치면서 시대적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예술(process arts)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인다. 이것이 한국 전통음악의 생명력이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자생적 생명력을 소진한 전통음악은 해방 이후에는 외부의 동력에 힘입어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되었다. 즉, 해방 이후의 전통음악문화는 기존의 음악문화와는 전혀 다른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이는 전통문화의 재창조·전승이라는 긍정적인 작용과 더불어 왜곡·박제화라는 부정적인 면도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전통음악의 전승과 미래를 논의하고자 한다. 전통음악의 부침과 부활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기악독주음악인 산조이다. 19세기 끝머리에 처음 만들어진 산조는 일제강점기에는 판소리의 전성시대에 힘입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룬다. 그러나 해방 후에는 전통음악의 부침과 더불어 침체기를 겪다가 1960년대 이후 중요무형문화재와 대학 교육의 영향으로 부활하여 지금은 전통음악장르를 대표하는 음악으로 성장했다.

바이올린과 가야금의 모드해석 (Modal Analysis of Violin and Gayageum)

  • 임종민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299-302
    • /
    • 1998
  • 가야금과 바이올린의 소리 발생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모드해석을 수행하였다. 바이올린과 가야금은 크게 현과 몸체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리는 이들의 유기적인 관계로부터 발생된다. 실험을 통해 살펴본 결과, 저주파 대역에서 바이올린의 진동은 크게 앞, 뒷판의 진동, 몸체와 목 부분 사이의 비틀림 진동, 바이올린 전체가 하나의 보처럼 진동하는 현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가야금 상판의 진동 형상은 약간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평판의 진동과 같은 모습을 보였다.

  • PDF

The Prevalence of Playing-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Player

  • Kim, Jung Yong;Min, Seung Nam;Cho, Young Jin;Choi, Jun Hyeo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49-756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player using a variety of traditional classical instruments: Gayageum, Geomungo, Ajaeng, Haegeum, Daegeum, Piri and Samul instruments. Background: A large percentage of instrument players have suffered from the musculoskeletal pain of each body part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players. Method: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disorders wa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parts: demographic factors, performance factors, musculoskeletal disorders symptoms, musculoskeletal disorder experience. For the survey, 118 expert players participated.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Results: Th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severe pain from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observed at neck, shoulder, back and knee.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factor of body height in Gayageum and Geomungo. In addition,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in Geomungo was related to age and career. However,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in Ajaeng and Haegeum was only related to the factor of hobby.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in Daegeum and Piri was related to stretching.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and sex in Daegum. In Samul instrument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t age, BMI, career and stretching. Conclusion: The symptoms of playing-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players were prevalently observed at neck, shoulder, back and knee. In addition, these symptoms were related to the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body height, BMI, career, sex, hobby and stretching.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injuri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players.

SDL 모델을 이용한 가야금의 물리적 모델링 (Physical modeling of Gayageum using SDL model)

  • 조상진;채진욱;정의필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1호
    • /
    • pp.291-29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Smith에 의해 제안된 이중 지연 라인을 갖는 양방향 디지털 도파관 모델을 SDL(sing1e delay line)모델로 변환하여 가야금의 단위 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각 단계의 시스템은 선형적이며 단일 지연 라인과 LPF로 구성된다. 가야금의 임펄스 응답을 기본 입력신호로 하였으며. 실제 가야금의 조율 시스템인 안족은 선분 적합성을 이용한 근사화 과정을 거쳐 구현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하였다. 실제 가야금을 조율하듯 안족에 의한 조율과 실제 음과 유사한 단위 음 생성을 할 수 있었다.

  • PDF

산조 가야금 몸체의 공명혈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sonant holes of the Sanjo-Gayageum)

  • 고현우;노정욱;성굉모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279-282
    • /
    • 2004
  • 산조 가야금의 경우 몸체의 뒷판에 세 개의 구멍(공명혈)이 있다. 이 구멍은, 몸체를 일정한 부피를 가진 용기로 보았을 때, 그 용기의 입구의 단면적, 다시 말해, 헬름홀츠 공진기 (Helmholtz Resonator) 입구의 단면적과 같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공명혈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1) 우선 기성의 산조 가야금 몸체의 세 공명혈을 모두 막은 상태, 일부만 막은 상태, 열려있는 상태에서의 몸체의 충격응답 전달함수를 측정, 분석하여 개략적으로 알아보았고, 이어서 2) 뒷판에 구멍이 전혀 없는 실험용의 산조 가야금 몸체의 제작을 의뢰하여, 뒷판 중앙에 구멍을 점차적으로 넓게 뚫어가면서, 각 단계별로 몸체의 충격응답을 측정하여, 구멍의 크기와 몸체의 충격응답 전달특성 변화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