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yield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8초

기상자료를 이용한 마늘 생산량 추정 (Garlic yields estimation using climate data)

  • 최성천;백장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969-977
    • /
    • 2016
  • 야외에서 재배되는 주요 채소류의 생산에 대한 기상변화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기상변화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의 변화는 공급과 수요의 불안정과 물가안정의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상상태에 따른 마늘의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마늘 주산지 15곳의 10a당 마늘 생산량과 해당 지역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다. 7가지 기상요인 (평균기온, 평균최저기온, 평균최고기온, 누적강수량, 누적일조시간, 평균상대습도, 평균지면온도)의 월별 (1월-12월)자료인 총 84개 기상변수중 다중회귀분석 단계선택방법을 통하여 7가지 기상변수를 선택하여 패널회귀모형에 사용하였다. 고정효과 모형과 확률효과 모형을 구분하는 하우스만 검정을 통하여 확률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평균최고기온 (1월), 누적강수량 (3월, 10월), 누적일조시간 (4월, 10월)등이 마늘 생산량 추정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별로 추정된 생산량 추정값의 추이가 실제 생산량과 동일한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제안된 패널 회귀 모형이 잘 적합됨을 확인할 수 있다.

Effects of Rapid Temperature Change on Growth Response and Yield of Garlic in Greenhouse with Thermostat Control System in Jeonnam Province

  • Lee, Kyung D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71-578
    • /
    • 2014
  • The garlic cultivation area is moved by change of grown environment due to global warming. It is important to predict changes in cultivation area, quantity and quality of each cro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yield and response of garlic growth by the rapid temperature changes in the greenhouse with thermostat control system. Seedlings of Namdo garlic were planted on September 27, 2012 and harvested on May 30, 2013. The used treatments for a rapid temperature change in March-April-May were T0 (control): $6.0-10.4-17.2^{\circ}C$, T1: $6.0-5.4(-5)-17.2^{\circ}C$, T2: $6.0-10.4-22.2(+5)^{\circ}C$ and T3: $6.0-5.4(-5)-22.2(+5)^{\circ}C$. Total dried weight per plant of garlic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 for T2, but T1 and T3 decreased by 12.5 and 4.6%, respectively, compared to T0. Total yields of bulb within the temperature change as T2 and T0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compared to T1. Decreas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p<0.05) reduced plant height, SPAD reading, crude protein and fiber contents etc., as compared to T0 and T2. ABA contents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but IAA content rapidly decreased. Conclusively, growth and yield of garlic were more affected by decreased temperature than increased temperature at bulb development stage.

MODIS NDVI와 기상요인을 고려한 마늘·양파 주산단지 단수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Garlic & Onion Yield Prediction Model on Major Cultivation Regions Consider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Elements)

  • 나상일;박찬원;소규호;박재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2호
    • /
    • pp.647-659
    • /
    • 2017
  • 마늘과 양파 재배는 작물의 생육 조건과 주산지 기상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단수를 예측할 때에는 주산지의 작황과 기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서 2015년까지의 작물의 생육 조건을 반영한 MODIS NDVI와 7개 주산지의 기상요인을 다중 회귀 모형에 적용하여 주산지별 마늘 및 양파의 단수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다중 회귀 모형에서 독립변수 채택은 단계적 선택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마늘과 양파 단수예측 모형은 2월의 MODIS NDVI가 중요한 독립변수로 채택되었다. 기상요인은 마늘의 경우, 평균온도(3월), 강우량(11월, 3월), 상대습도(4월), 최저온도(6월)가 채택되었으며, 양파는 강우량(11월), 일조시간(1월), 상대습도(4월), 최저온도(6월)가 독립변수로 채택되었다. MODIS NDVI와 기상요인을 이용한 단수예측 모형은 주산지별 마늘, 양파 평균 단수의 84.4%, 75.9%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RMSE는 각각 42.57 kg/10a, 340.29 kg/10a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모형은 MODIS NDVI와 기상요인에 따른 마늘과 양파의 단수 변화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부지방 마늘 녹병의 발생 현황 (Occurrence of Garlic Rust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 이동현;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21-124
    • /
    • 2003
  • 1998년과 1999년 2년 동안 전남 고흥군과 경남 남해군의 주요 마늘 재배지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마늘 품종인 대서마늘과 남도마늘에 발생한 녹병의 발병 현황을 조사하였다. 마늘 녹병의 발병도는 최저 1.2에서 최고 85.8까지 조사년도와 품종에 따라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1999년에 비해 1998년에 녹병 발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1998년 마늘 생육기에 잦은 강우와 습도가 현저하게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대서마늘에서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였지만 남도마늘에서는 발생이 낮아 마늘 품종에 따라 녹병에 대한 감수성 또는 저항성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녹병 발병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한 수량 감소를 나타내어 녹병이 마늘 재배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염류 및 pH, Acidulants, 다당류 분해효소가 마늘 추출 수율 및 변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s, pH, Acidulants and Carbohydrolase on Extraction Yield and Color Change of Garlic)

  • 조진숙;김동희;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11-1215
    • /
    • 1999
  • 마늘을 물로 추출할 때 효소분해와 pH, 그리고 유기산, 유기 또는 무기염의 첨가가 추출액의 고형분 수율과 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업적다당류 분해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고형분 수율을 $15{\sim}20%$ 증가시켰으나 녹변현상이 더 발생하였고 노란색과 밝기가 감소되었다. 추출시 pH의 조정은 수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지만, $4.4{\sim}5.0$의 범위에서 녹색의 강도가 증가되어 적절치 않았다. 여러가지의 염과 유기산의 첨가 결과, $CaCl_2$와 sodium oxalate, tartaric acid, phosphoric acid가 수율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K_{4}P_{2}O_{7}$은 수율향상과 녹변방지에 효과가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Multiplex RT-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Garlic Viruses and the Incidence of Garlic Viral Disease in Garlic Genetic Resources

  • Nam, Moon;Lee, Yeong-Hoon;Park, Chung Youl;Lee, Min-A;Bae, Yang-Soo;Lim, Seungmo;Lee, Joong Hwan;Moon, Jae Sun;Lee, Su-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90-96
    • /
    • 2015
  • Garlic generally becomes coinfected with several types of viruses belonging to the Potyvirus, Carlavirus, and Allexivirus genera. These viruses produce characteristically similar symptoms, they cannot be easily identified by electron microscopy (EM) or immunological detection methods, and they are currently widespread around the world, thereby affecting crop yields and crop quality adversely. For the early and reliable detection of garlic viruses, virus-specific sets of primers, including species-specific and genus-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To effectively detect the twelve different types of garlic viruses, primer mixtures were tested and divided into two independent sets for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multiplex PCR assays were able to detect specific targets up to the similar dilution series with monoplex reverse transcription (RT)-PCR. Seventy-two field samples collected by the Gyeongbuk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x RT-PCR. All seventy two samples were infected with at least one virus, and the coinfection rate was 78%. We conclude that the simultaneous detec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ffectively detect and differentiate mixed viral infections in garlic.

Exreaction of Thiosulfinates from Garlic Using Gas-in-Liquid-Dispersion

  • Lee, Won-Yiong;Bae, Dong-Ho;Park, Yong-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179-185
    • /
    • 1996
  • Extraction yields of thiosulfinates from garlic were studied by using gas-in-liquis-dispersion(GLD) system to maxmize the thiosulfinate extraction. Extracted thiosulfinates were spectrophotometically quantified using synthesized dially1 thiosulfinate. The conditions for maximum extraction were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volatile components extrac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hexane extraction,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GLD system, were compar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hiosulfinate yield was increased by incresaing temperature and nitrogen gas flow rate, while the effects of bubble sizes on thiosulfinate extraction were not significant at the ranges tested. Application of GLD system resulted in extraction of more volatile components than other extraction methods, Therfore, it was suggested that GLD system was one of the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mong the ever introduced ones, for thiosulfinate extraciton.

  • PDF

Optimization of Culture Media for Solid-state Culture of Pleurotus ferulae

  • Cha Wol-Suk;Choi DuBok;Kang Si-Hy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5호
    • /
    • pp.369-373
    • /
    • 2004
  • In order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production of p. ferulae by solid-state culture, the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was carried out. When $NH_4H_2PO_4$ and $CaCO_3$ were used in the cultures using test tube with 30 g of Populus sawdust at $25^{\circ}C{\pm}1$ in the dark, the favored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with $1\%$ of $NH_4H_2PO_4$ and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was 7.85 mg/100 mg of mycelium with $1\%$ of $CaCO_3$. The mixtures of $80\%$ of Populus Sawdust and $20\%$ of rice bran at $60\%$ of water content were determined to be optimal for the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in the sawdust culture. When three treatments containing various ratios of garlic powder were conducted, yields of fruiting bodies were drasti[ally higher than those of Synthetic mixture without garlic powder The highest yield (143 g/bag) was obtained with $7\%$ garlic powder. The yield of synthetic mixture containing $7\%$ of garlic powder was $83\%$ higher than that of Sawdust culture. The reason why garlic powder did support growth was not clear but it is possible that garlic powder might contain effective components for the formation of fruiting body. The optimal synthetic mixture composition consisted of cotton seed $77\%$, lime $6.4\%,\;K_2HPO_4\;0.2\%,\;KH_2PO_4\;0.2\%,\;CaHPO_4\;0.2\%$, corn flour $4\%$, wheat flour $5\%$, and garlic pow-der $7\%$.

효소처리에 의한 마늘 착즙액의 수율 및 향미성분변화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Yield and Flavor Compounds of Garlic Extracts)

  • 신동빈;허우덕;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6-282
    • /
    • 2007
  • 마늘의 향미성분을 가급적 그대로 유지하고 착즙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착즙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rotopectinase와 복합요소(cellulase, pectinesterase 및 ${\beta}-glucanase$ 등이 혼합된 효소)를 마늘펄프로부터 1차로 착즙하고 남은 잔사에 적용하여 마늘주스의 수율증가율과 향미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착즙 전 마늘펄프 무게에 대하여 효소를 0.04, 0.08 및 0.12%씩 가하여 30, 60, 90 및 120분간 각각 가수분해하였다. 마늘주스의 수율 증가는 최대수율에 도달할 때까지 효소의 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0.12%의 protopectinase를 첨가하여 90분간 가수분해하여 착즙한 결과 수율은 13.8%가 증가하였다. 복합효소를 0.12% 첨가하여 90분간 가수분해 후 착즙한 경우에는 최대수율인 14.5%의 증가효과가 있었다. GC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와 총 피크면적으로 계산하여 비교할 경우 감소하였다. 0.12%의 protopectinase를 가하여 60분간 분해 후 제조한 마늘 주스의 휘발성 향기성분 향량은 약 6%가 감소하였다. 마늘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0.12%의 protopectinase를 가하여 60분간 분해후 제조한 마늘 주스가 대조구와 가장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사용한 효소의 종류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0.12%의 protopectinase를 마늘착즙잔사에 가하여 60분간 분해 후 착즙한 액을 마늘펄프로부터 직접 착즙한 액과 혼합하면 착즙수율을 최대로 증가시키고 향미 성분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작물 재배에 의한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억제효과 (Effect of Crop Rotation Cultivation on the Suppression of Garlic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한은정;최재필;김용기;홍성준;박종호;심창기;김민정;김석철;윤석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3-121
    • /
    • 2015
  • 본 연구는 전작물 재배에 따른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피해 경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 년간 수행되었다. 콩 참깨 호박 네마장황, 대파를 전작물로 재배하였으며, 대조구로 휴경처리구와 병원균 무접종구를 두었다. 전적물 재배 후 마을을 파종하고 재배하면서, 흑색썩음균핵병 이병주율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2013년 흑색썩음균핵병은 병원균 무접종구, 콩, 네마장황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014년에는 네마장황, 콩, 대파처리구에서 흑색썩음균핵병 이병주율이 낮았으며,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처리구 별 마늘의 수량은 2013년에는 콩, 네마장황, 대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2014년에는 콩, 네마장황, 대파처리구에서 높았고,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적어 이병주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콩-마늘과 네마장황-마늘재배체계가 흑색썩음균핵병을 억제하기 위한 윤작체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