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den Desig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3초

경주시 남천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Namcheon Stream in Gyeongju City)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4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cologically important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iver ecosystem. Namcheon Stream, the study site, is a local river flowing from the east to the west of Gyeo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8 taxa including 98 families, 321 genera, 467 species, 9 subspecies, 32 varieties, 4 forms, 4 hybrids and 2 cultivars.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Koelreuteria paniculata, Hydrocharis dubia and Sparganium stolonifer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27 taxa including 2 taxa of grade IV, 4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I and 14 taxa of grade I.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92 taxa including Pterocarya stenoptera, Conyza canadensis, Vulpia myuro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대구광역시 금호강 주변의 3개 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가남지, 안심습지, 점새늪을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ree Wetlands around Geumho River, Daegu Metropolitan City - Ganam Reservoir, A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9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cological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ree wetlands by surveying the vascular plants in Ganam reservoir, Ah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The whole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376 taxa including 90 families, 252 genera, 341 species, 7 subspecies, 24 varieties, 2 forms, 1 hybrid and 1 cultivar, and the planted species were 66 taxa including Ginkgo biloba and so on.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Euryale ferox(VU), Aristolochia contorta(LC), Koelreuteria paniculata(VU), Sagittaria trifolia(DD), Hydrocharis dubia(LC), Ottelia alismoides(LC) and Sparganium stoloniferum(VU).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1 taxon of Lespedeza maritima. In total, there were 21 taxa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cluding 1 taxon of garde V, 2 taxa of grade IV, 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7 taxa of grade I . The hydrophytes were 51 taxa including 36 taxa of emergent species, each 6 taxa of floating-leaved and submerged species and 3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79 taxa including 75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4 taxa of casual alien plant.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6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Paspalum distichum and Humulus scandens.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 현황 및 문제점 양상 (Current State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Problems Aspects, in Overseas Countries)

  • 박은영;윤상준;홍광표;황민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82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할 수 있는 기준점 마련과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외에 조성된 사례를 바탕으로 조성내용과 표현방식에 있어서 현황과 문제점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9개의 사례지를 선정하여 직접 현장조사와 모니터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전통의 단순한 재현으로 인한 대중적 보편성과 시대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전통성과 실험적 해석에서의 오류가 나타나고 있었다. 디자인측면에서는 전통정원의 점경물, 장식물 위주의 편집된 디자인 형태로 나타나며, 경관적인 면에서는 전통정원의 공간규모 및 체험위계에 대한 전달이 미흡하고, 주변 경관의 맥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안내 및 정보전달측면에서는 다양한 명칭으로 인하여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이 결여되어 있어 명칭에 대한 통일이 요구된다. 조성 관리 및 이용측면에서는 공간성격에 적합한 식재 수종과 유사 대체수종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고, 이용행태를 고려한 수용적 자세가 요구된다.

거투르드 지킬(Gertrude Jekyll)의 와일드 가든(Wild Garden)에서 사용된 식물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Plant Relationships used in Gertrude Jekyll's Wild Gardens)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3-80
    • /
    • 2019
  • 본 연구는 거투르트 지킬(Gertrude Jekyll)이 조성한 와일드 가든 형식의 작품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와 식물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식재패턴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사례지는 코츠월드 코타지(Cotswold Cottage), 드라이톤 우드(Dryton Wood), 리틀 애스톤(Little Aston), 클랭프 코트(Frant Court) 4개소이다. 작품별로 사용된 식재 패턴에서 식물간의 직접적인 연결관계를 보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R을 이용하여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상위그룹의 3순위에 속하는 식물을 도출하여 식물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철쭉류로 나타났고, 야생 장미가 그 다음 순이었다. 내한성이 강한 교배종의 철쭉류는 하부식재로 여러 수종과 연결되어 비정형식의 숲정원 느낌을 추구하였다. 야생 장미 또한 자생 수종으로 생태적인 면과 미적인 면에서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층식재를 이루고 있다. 또한, 마가목, 채진목, 둥글레, 서양매발톱 등 흰색의 작은 꽃이 피는 수종을 식재하여 드리프트를 통한 식물 종을 자연스럽게 연결지을 수 있는 식물군락으로 와일드 가든을 조성하였다.

구조물 축소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에 의한 구조물 안전도 평가

  • 이명규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1호
    • /
    • pp.80-89
    • /
    • 1998
  • 본 기사에서는 기존 구조물의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 구조물 축소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안전도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절차에 관하여 지하철 정차장 구조물을 예로하여 살펴보았다. 구조물의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한 구조물 축소모형 시험에서는 원형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나타내는 모형의 제작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를 위해서 적절한 상사율을 가지는 구조재료의 선정, 합리적인 경계조건의 설정, 실제하중을 고려한 재하방법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구조재료의 선정과 모형의 축소율은 모형구조의 거동이 탄성범위 내인가 또는 극한거동인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전도 평가를 위한 모형구조물의 제작과정에서는 원형구조물 거동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예측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사전해석(pre-analysis)을 통하여 구조물의 개략적인 거동과 측정항목을 정하며, 또한 합리적인 재하방법을 결정하게 된다. 모형구조물에 대한 재하시험을 통하여 원형구조물의 거동을 상사비를 적용하여 바로 예측할 수 있으나 재하하시험후 측정된 사항에 대하여는 모형구조물에 대한 사후해석(post-analysis)를 수행하여 측정값과 비교 검토하여 거동의 일치성을 입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검증된 수치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에서 고려하지 않은 여러가지 하중조건에 수치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안전도검토와 적절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사전해석-모형시험-사후해석의 절차에 따른 구조물의 모형실험의 사례는 미국과 유럽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치해석기법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구조물 모형실험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편이며, 상대적으로 경험이 적게 축적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치해석기법의 발전과 실제구조물의 안전도를 합리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구조물모형 실험이 필수적이며 앞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분야로 사료된다.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싸리버섯은 중성지질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n the part of special landscape management are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system to more effective landscape management.ch served as supporting organizations. The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held by decision makers, executors of works and management. 2) The gener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cluded Sangji and Kyuho다 as the first step; In ca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former examples and drawings, the most of the planning and design was already fixed. In the case of landscape, those things aimed a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The works in the 2nd step; This process was divided into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and planting. In case of construction of facilities, those works were done by Togam and

  • PDF

민가정원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공원화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as a Park)

  • 염성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57
    • /
    • 2015
  • 한국의 전통정원은 자연과 인공구조물의 조화를 기반으로 조성되어져 당시의 시대상, 생활상, 문화, 예술 등의 다양한 문화, 역사적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전통정원 중,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사유재산으로 소유주의 고령화, 상속, 관리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훼손, 손실되어 가고 있는 민간정원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원화를 도입하여 효율적인 이용과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는 일본의 전통정원의 공원화 사례조사와 국내의 민가정원의 현황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 소유주의 공원화에 대한 의지, 공원화에 필요한 조건에 대한 청문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민가정원의 공원화 도입에 있어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적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전통정원의 경우, 소유주체를 법인화하여 입장료에 의해 생기는 수입을 유지관리에 조달하고 있으며 지자체와 연구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이용과 보전을 기반으로 공원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의 민가정원의 조사결과 소유주 대부분이 관리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공원화를 통한 체계적 유지관리에 긍정적인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 구성요소의 특질과 변용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nents and Conversion of Sandan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 정우진;유기석;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4호
    • /
    • pp.24-47
    • /
    • 2013
  •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의 조영 특성과 공간성격을 구명하는 것으로서, 권역 내의 공간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조영개념, 경관설계기법 및 변화과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산단 권역에는 인조, 숙종, 순조 연간과 일제 강점기 및 근래의 보수공사 등 여러 시대에 걸친 경관 층위가 존재하고 있었다. 인조 연간에 취승정(聚勝亭)의 건립으로 개발된 산단 권역은 임금의 휴게시설로 조성되었고 이러한 용도는 숙종이 낙민정(樂民亭)을 건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렇지만 순조 연간, 즉 동궐도 제작 이전에 산단과 백운사(白雲社)가 건립되면서, 이 일대는 산신을 제사 지내는 제례공간의 성격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조성된 건축요소들은 당시 통용되던 토지신(后土神)에 대한 제례시설을 구비했던 것이거나 유교례로 해결될 수 없는 왕실의 신앙적 욕구를 충족시킬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산단 권역의 성격을 규정지을 수 있는 특징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창덕궁 평면도의 분석 결과, 일제 강점기까지 산단은 존치되어 있었으나 해방 후 어느 시점에 철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초에는 이 일대가 '빙천'이라는 관람지로 개발되면서 대대적인 변형이 이루어졌다. 이때 빙천을 거치는 신작로의 공사가 병행되었는데, 현 상태는 당시 공사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1970년대 빙천 보수공사에 참여한 관계자의 인터뷰 결과, 당시의 공사가 음용수를 위한 2개소의 배수시설을 신설할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옥류천 어정(御井)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대(山臺)를 통해 본 석가산 조영 문화 (An Implications of the Korea's Traditional Seokgasan through the Studying Traditional Sandae)

  • 윤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48
    • /
    • 2020
  • 본 연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궁궐 왕의 행차, 나례, 사신영접, 연회 등의 목적으로 조설되었던 전통공연예술분야의 무대장치인 산대(山臺)의 유형, 구조적 형상, 표상의 원리를 고찰하여 동시대 석가산(石假山) 조영 문화의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대의 발달사와 그 의미를 통해 외부공간에 '산'의 형상을 실체화하고자 한 석가산의 조영 문화와의 동질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대를 만드는 행위 자체는 명산을 숭배하는 전통과 관련이 깊다. 이는 고려 예종 '청연각' 앞뜰에 조성된 석가산에서 중국의 명산명호(名山名湖)가 표상적으로 비유되어 모사(摹寫)된 사실과도 일치한다. 둘째, 산대와 석가산은 그 구조적 형상과 재료, 기술적 제작방식은 달랐으나 산의 형상을 조형하여 완상하거나 국가행사의 무대배경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산을 모사한 산대의 형상과 상징적 의미는 요산요수(樂山樂水)로 대표되는 당대의 정원 및 예술적 관심사가 산수의 다양한 조형적 표현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신재효의 고택의 정원 중앙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연(蓮)이 심겨진 방지와 이에 인접한 수각과 석가산은 정원을 수식하는 요소일 뿐 아니라 신재효의 문하생의 수련 및 공연무대의 배경으로 기능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 광진구 광장동 기능 복합적 근린공원 설계 (Design for Gwangjang-dong Neighbourhood Park in Gwangjin-gu, Seoul)

  • 이관규;한선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68
    • /
    • 2006
  • A park will soon be developed in an area of Gwangjang-dong, Gwangjin-gu. The place has been a patch of green space for years, isolated by driveways and apartment complexes and abandoned. This article describes plans to infuse the abandoned green space with history, ecology, culture, and sports. The facilities that are to be constructed in and around the green space are positioned to take into account the path of the sun and the location of the curvilinear green space axis. The cultural space is planned as a centerpiece of the park, linked with the sports facilities. The overall framework is arranged in harmony with nearby elementary schools, parks, public facilities, athletic facilities, parking lots, and apartment complexes. The themed circulation rout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spatial plan. In addition, the historical space is planned to work in close conjunction with the cultural space, and the streets and pedestrian pathways have characters of their own. The established contour lines will be carefully preserved, and an ecological pond will. The facilities, such as the outdoor performance stage, the outdoor art gallery, the Monument of Wind represented by a sail, and the pedestrian bridge in memory of Acha-sansung, are positioned for spatial balance and to provide a nexus. The bamboo forest, designed to foster the experience of sound effects, the architectural thematic plants, and the ecological pond are positioned to connect to each other around the greenspace axis. The main facilities are the outdoor theater, the bamboo forest, the Acha-sansung bridge, the Monument of Wind, the ecological pond, the four-season flower garden, parking lots, playgrounds, circulatory athletic pathways, and the tennis court.

노인요양병원의 공간구성에 대한 간호사 요구 (Nurses' Need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Geriatric Hospital)

  • 오찬옥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16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urses' need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geriatric hospital. Methods : The survey method was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The subjects were 110 nurses who worked at 6 geriatric hospitals in Busan.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 by the self-administered metho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which asked the spatial composition of patient room, bathroom, dining space, resting space, care-givers' room, and garden. Results : 1) The patient room using a bed on ondol floor would be useful. Also, it would be desirable that most patient rooms consisted of 4 or 6 persons per patient room and the others were 1 or 2 persons per room. 2) The bathroom for only patients and the shower room for their families or care-givers are needed in the geriatric hospital. 3) The dining room for patients in each floor would be useful to old patients. In addition to that, the cafeteria for their families or care-givers are needed. 4) The resting spac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or the staff, and for care-givers are needed. 5) The personal locker and refrigerator are necessary fixtures in care-givers' room. Also, table, sofa, sink, and shower booth are also needed. 6) On the base of activities of care-givers, the space for preserving, washing, and heating foods are needed. Also, the storage space for personal items and the fitting space are needed. Implicat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the fundamental data for space planning of the geriatric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