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oderma lucidiu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미생물 발효 영지버섯 추출액의 다당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ysaccharide of Ganoderma lucidium Extract by Microorganism Fermentation)

  • 황유연;정명수;김혜자;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506-1512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tale yield, the content of soluble polysaccharide and the others of FEW extract from the yeast fermentated Ganoderma lucidium by supersonic method, the yeast strain was inoculated after pretreatment and subsequently followed fermentation and supersonic extract.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extract method is composed of the main glucose and together with the xylose, fucose, galactose and mannose. Results show that because of the generated lactic acid and ethanol, pH value of extract decreases and the safety as well as the preservation is improved. The extract yield, the total soluble polysaccharide, SOD-like activity, cytotoxic effect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cancer cell line are much higher in FE method than RE method, especially FEW3 extracts fermented during 24hrs. It is concluded that yeast fermentation makes the extract yield increase because of the cell disintegration, the useful ingredients of the germ body, the metabolic products, the insoluble ingredients due to the generation of ethanol, and the cell fragmentation caused by the supersonic waves vibration. Content of generated ethanol, total soluble polysaccharide and extract yield all in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from 24 to 72 hours and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is at $27^{\circ}C$ for 72 hours. The bitter taste and smell of the Ganoderma lucidium extract is diminished, fragrant-bitter taste and smell is generated so that the whole functional quality is improved.

조직 혈액응고인자에 대한 식용버섯류의 저해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the Tissue Thromboplastin (Tissue Factor))

  • 황금희;김현구;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1-166
    • /
    • 1997
  • 식용버섯류를 대상으로 혈액응고계를 활성화시키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tissue factor에 대한 저해활성을 시험관내에서 측정하였으며 몇 가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분획을 조제하고 이들의 TF에 대한 저해활성을 비교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색된 버섯류의 메탄올 추출물들은 모두 TF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표고버섯은 비교적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양송이버섯과 영지버섯 역시 TF 저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송이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의 $IC_{50}$은 in vitro에서 $1.30\;{\mu}g$이었고 영지버섯은 $4.32\;{\mu}g$, 표고버섯은 $0.25\;{\mu}g$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고 각 용매분획의 TF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고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강한 TF 저해활성이 확인되었고 영지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도 TF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났으며 표고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얻은 결정성 물질 역시 TF를 저해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버섯의 물층에서는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영지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IC_{50}$$107\;{\mu}g$, 표고버섯의 경우 $770\;{\mu}g$의 값을 나타냈고 표고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얻은 결정성물질의 $IC_{50}$은 10.2 mg이었다.

  • PDF

Buprofezin이 Ganoderma및 Coriolus 속균(屬菌)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및 재생(再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uprofezin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and Reversion of Protoplast of Ganoderma spp. and Coriolus versicolor)

  • 신관철;황의일;황경숙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33-39
    • /
    • 1992
  • Chitin합성 저해제인 buprofezin이 Coriolous versicolor, Ganoderma lucidum, 및 G. applanatum 균사의 생장과 원형질체 나출 및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uprofezin은 C. versicolor, G. lucidum 및 G. applanatum의 균사생장을 심히 저해하였고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균사생장 억제가 심하였다. Buprofezin처리에 의하여 기균사 및 oidia 형성량은 증가하였으나 균사의 형태에는 변화가 없었다. G. applanatum은 buprofezin 처리에 의하여 원형질체 나출량과 재생율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G. lucidum은 원형질체의 나출량과 재생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 versicolor의 경우에는 원형질체 나출량이 증가하였으나, 재생율은 무처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모노아민 산화효소에 대한 식용버섯류의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the Monoamine Oxidase)

  • 황금희;김현구;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6-160
    • /
    • 1997
  • 식용버섯류들의 MAO 저해활성을 검색할 목적으로 몇가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분획을 조제하고 이들의 MAO에 대한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검색된 3종 버섯류의 유기용매 추출물들은 영지버섯 bud의 $CHCl_3$ 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MAO-A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지 bud의 경우 $CHCl_3$ 층에서 비교적 강력한 MAO-A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영지 bud의 항암활성이 영지의 항암활성과 비교하여 더욱 강력하다는 기존의 보고와 관련하여 아주 흥미로운 결과로 영지의 성분연구에 아주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검색된 3종 버섯류의 유기용매 추출물들은 영지 bud, 표고버섯의 EtOAc 층에서 각각 51.3, 55.9%로 역한 정도의 저해활성이 관찰되었으며 그 외의 다른 버섯류들에서는 전혀 MAO-B에 대한 저해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영지버섯의 경우, $CHCl_3$ 층, EtOAc 층, $H_2O$ 층 모두에서 아주 미약하나마 MAO-B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나 영지 bud의 경우 $CHCl_3$ 층에서 전혀 MAO-B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EtOAc 층에서 약한 MAO-B에 대한 저해활성이 확인되어 MAO-A와 MAO-B에 대한 영지버섯의 작용성분이 다른 성분일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생약재에 의한 중금속의 체내흡수 억제 효과 (Suppressing Effect of Medicinal Plants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Heavy Metals)

  • 최성인;황진봉;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6-460
    • /
    • 1998
  • 음용수 중에 납과 카드뮴이 오염되었을 때 치커리, 당귀, 영지버섯의 중금속의 장내 흡수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장내 흡수 조건을 고려한 투과막을 이용하여 in vitro실험을 실시하였다. 납과 카드뮴이 음용수 수질기준의 10배 또는 50배로 오염된 음용수에서 단독오염의 경우 납은 치커리, 당귀, 영지버섯에서 $40{\sim}60%$의 제거효과를 보였고 카드뮴의 경우는 치커리, 당귀, 영지버섯에서 $20{\sim}40%$의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납과 카드뮴이 혼합오염된 경우에 납은 치커리, 당귀, 영지버섯의 세 시료에서 비슷하게 $30{\sim}50%$의 제거효과를 나타냈으며 카드뮴은 $10{\sim}30%$의 제거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치커리, 영지버섯에 비해 당귀가 높은 제거효과를 보여주었다. 추출조건별로 비교해보면 $70^{\circ}C$, 2분 추출조건의 경우가 $95^{\circ}C$, 10분의 경우보다 더 제거효과가 높았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여과지 및 투과막에도 상당량의 중금속이 흡착되어 제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오염된 중금속의 농도가 높을수록, 음료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중금속이 흡착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투과막이 중금속에 흡착되기 쉬운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치커리, 당귀, 영지는 음용수중에 오염된 중금속의 장내흡수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감마선 처리에 의한 변이주의 배양 및 균막형성 특성 (Culture and mycelim-mat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mutant strains by gamma-ray treatment)

  • 김현석;오찬진;정광주;최문희;신현재;오득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3-397
    • /
    • 2020
  • Mycelium composites and leathers have versatile material properties based on thei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o prepare mycelium mat for the production of mushroom leather, several strains were mutated by gamma rays. Some mutant strains, including Lentinula edodes, Ganoderma lucidium, and Schizophyllum commune showed good hyphae growth rate and density on saw-dust media. Irradiation power (Gy), time, and height from the radiation source to the sample were examined. Based on the preliminary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ompreh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the optimal strains and culture conditions for mycelium-based leather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