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anglion cell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Proteomic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associated with no stress in retinal ganglion cells

  • Kim, Jum-Ji;Kim, Yeon-Hyang;Lee, Mi-Young
    • BMB Reports
    • /
    • 제42권7호
    • /
    • pp.456-461
    • /
    • 2009
  • Proteomic analyse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in rat retinal ganglion cells (RGC-5) following S-nitrosoglutathione (GSNO), an NO donor, treatment were conducted. Of the approximately 314 protein spots that were detected, 19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GSNO. Of these, 14 proteins were up-regulated and 5 were down- regulated. Notably, an increase in GAPDH expression following GSNO treatment was detected in RGC-5 cells through Western blotting as well as proteomics. The increased GAPDH expression in response to GSNO treatment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Herc6 protein, an E3 ubiquitin ligase. Moreover, GSNO treatment resulted in the translocation of GADPH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and its subsequent accum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 stress-induced apoptos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nuclear translocation and accumulation of GAPDH in RGC-5 cells.

Distribution of Ion Channels in Trigeminal Ganglion Neurons of Rat.

  • Kim, A.K.;Choi, K.K.;Choi, H.Y.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81.1-581
    • /
    • 2001
  • Trigeminal nerve functions movement and sensation on orofacial reg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in dental clinic. Neurons with their cell bodies in trigeminal ganglion of trigeminal nerve root are primary sensory neurons and playa role of tactile sense, pressure, vibration and pain of orofacial area. Transmission of these senses depends on ion channels, we know that trigeminal ganglion neuron exists many kind of ion channels. Methods of definition on ion channel are several, but in this study we use immunostaining for detection of ion channels.(omitted)

  • PDF

Fine Structure of Diapause Regulator Cell in the Suboesophageal Ganglion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Park, Kwang E.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7
    • /
    • 1971
  • 전자현미경관찰에 의하여 가잠의 식도하신경구에서 휴면요인세포(diapause factor cell)에 어떤 정보를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휴면조절세포(diapause regulator producing cell)를 발견하였다. 휴면조절세포의 과립은 이 세포가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휴면요인세포의 과립의 직경보다 크며(직경 .2,000∼5,000A), 휴면란을 산란하는 개체의 휴면조절세포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리소좀이 관찰되었으나, 비휴면란을 산란하는 개체에서는 이것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수의 세포질과립이 리소좀과 결합되었다가 소형의 과립으로 되어 리소좀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발견되었다. 휴면요인세포와 휴면조절세포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증식성 근막염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roliferative Fasciitis)

  • 최윤정;이상엽;양우익;정순희;이광길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56
    • /
    • 1993
  • Proliferative fasciitis is a benign pseudosarcomatous mesenchymal lesion occurring in the subcutis. The lesion occurs clinically as a tumorous mass that develops within a rather short time in elderly patients. We recently experiecened a cas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roliferative fasciitis in the left anterior chest wall of a 72 year-old male patient. The smear revealed two types of cells. One was the large and mostly oval cell with one or two nuclei lying at the periphery of the cell body and abundant basophilic cytoplasm like the ganglion cell. The nuclei were round to oval, had vesicular chromatin and contained prominent nucleoli. The other was the spindle shaped fibroblast with an oval nucleus.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s a true tumor such as ganglioneuroma, rhabdomyosarcoma, and liposarcoma and therefor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s very much indicated in order to exclude these possibilities.

  • PDF

조구등(釣鉤藤)이 산소자유기(酸素自由基)에 의하여 손상(損傷)된 배영척수감각신경절세포(培養脊髓感覺神經節細胞)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Ramulus et Uncus Uncariae (REUU) on the Cultured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Damaged by Oxygen Free Radicals)

  • 강형원;박진성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8
    • /
    • 2000
  • To study the effects of Ramulus et Uncus Uncariae (REUU) on oxygen free radical-mediated damage by hydrogen peroxide $(H_{2}O_{2})$ on cultured spinal sensory neurons, in vitro assays such as MTT assay, NR assay, neurofilament enzymeimmuno assay (EIA), sulforhodamine B (SRB) assay, assay for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and assay for lipid peroxidation were used in cultured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derived from mice,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H_{2}O_{2}$ for 5 hours, after which the neurotoxic effect of $H_{2}O_{2}$ was measured by in vitro assay.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herb extract, Ramulus et Uncus Uncariae (REUU) against H2O2-induced neurotoxicity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NR assay and MTT assay, $H_{2}O_{2}$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cultured mouse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according to exposure concentration in these cultures. An additional time course study was done on these cultures. 2. Cultured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which were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H_{2}O_{2}$ showed a quantitative decrease of neuronal cells by EIA and of total protein by sulforhodamine B (SRB) assay, while they showed an increase of both lipid peroxidation and LDH activity. 3. The effect of Ramulus et Uncus Uncariae (REUU) on $H_{2}O_{2}$ induced neurotoxicity showed a quantitative increase in both neurofilament and total protein, but showed a decrease of lipid peroxidation and LDH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_{2}O_{2}$ has a neurotoxic effect on cultured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from mice and that the herb extract, Ramulus et Uncus Uncariae (REUU), was very effective in protecting $H_{2}O_{2}$ induced neurotoxicity by decreasing lipid peroxidation and LDH activity.

  • PDF

Cytosine Arabinoside 전처리가 척수후근절 외식편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tosine Arabinoside Pre-treatment in Dorsal Root Ganglion Explant Culture)

  • 정호영;한성민;박종웅;윤인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296-301
    • /
    • 2015
  • Explant culture condition of dorsal root ganglion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y of peripheral nerve injury, while applying for the various clinical symptom such as trauma, pressure, and stretch. However, explant culture is usually contaminated by mitotic cells, which may observed as a newly divided cells including fibroblast or glia. The mitotic cells could be able to interrupt and change the cell signaling that make it difficult to avoid detrimental effects during the experiments. To eliminate mitotic cells, anti-mitotic reagents like mixture of uridine and 5-fluorodeoxyuridine or cytosine arabinoside were added to the cultures on the following day, but there is no research that investigate viability of anti-mitotic reagent in dorsal root ganglion explant cultu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inhibition effect of cytosine arabinoside to mitotic cells in dorsal root ganglion explant culture. Also we visualized and analyzed anti-mitotic effect and toxicity of cytosine arabinoside in various concentration condition. This dorsal root ganglion explant culture condition can be applied to research that effect and mechanism of various stimulation and chemical application which affect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광릉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 중추신경계 발생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the Wolf Spider Arctosa kwangreungensis (Araneae: Lycosidae))

  • 양성찬;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77-86
    • /
    • 2012
  • 배회성거미류인 광릉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를 실험재료로 배후발생에 따른 거미 중추신경계의 형태적 분화와 그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식도를 중심으로 위쪽의 식도상신경절과 아래쪽의 식도하신경절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지닌 광릉늑대거미의 중추신경계는 부화가 이루어지는 후기배아 시기 이전에 확립되었고, 전대뇌(protocerebrum) 영역도 구분되었다. 후기배아 단계에서는 시각정보를 수용하는 시엽(optic lobe)의 발달이 미진하였으나 알주머니를 벗어나 본격적인 먹이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시기를 전후하여 성체와 동일한 신경계의 체제가 구축되었다. 후기배아 시기에 관찰된 식도상신경절의 미분화 세포들로부터 시각기 신경절이 발생되었고, 식도하신경절에서는 네 쌍의 부속지 신경절과 복부 신경절이 분화되었다. 또한, 발생 중인 유충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조직학적 특성이 다른 세 유형의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고, 발생단계에 따라 이들 세포집단의 이동과 분포상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국산 낙지 (Octopus minor) 상완신경절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Brachial Ganglion in Korean Octopus, Octopus minor)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265-272
    • /
    • 2000
  • 낙지 Octopus minor의 상완 신경절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낙지의 상완신경절은 각각의 흡반 밑에서 둥근 형태로 관찰되었는데 그들의 크기는 흡반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둥근 형태의 상완신경절은 피질부와 수질부 두 부분으로 구분되었던 바, 피질부에서는 신경세포의 집단이, 수질부에는 신경망이 위치해 있었다. 신경세포의 집단에서는 3종류(소, 중, 대형)의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는데 소신경세포는 직경이 $0.9{\mu}m$정도인 둥근 형태의 작은 세포인데 비해 중신경세포는 직경 $1.6\times1.3{\mu}m$정도인 타원형세포였다. 대신경세포는 직경이 $2.8{\mu}m$정도 크기의 난원형의 큰 세포로 확인되었고 이들 3종류의 세포들은 모두 전자밀도가 낮아서 밝게 관찰되었으며 세포소기관의 발달은 미진하였다. 또한 중신경세포인 경우에는 $0.6\times0.4{\mu}m$정도 크기의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방추형 신경교세포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수질부의 신경망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수상돌기와 축색돌기들이 복잡한 그물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들은 돌기내에서 4종류의 화학연접소포 (chemical synaptic vesicle)들을 소지하고 있었는데, 전자밀도가 매우 높고 직경이 100 nm 정도인 electron-dense synaptic vesicle과 전자밀도가 중등도이며 직경이 90nm 정도인 median electron-dense synaptic vesicle 그리고 중앙에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핵을 포함하는 직경 90nm정도의 electron-dense cored synaptic vesicle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자밀도가 투명한 연접소포(electron-lucent synaptic vesicle)는 직경이 50nm정도로 가장 작은 형태를 하고 있었다.

  • PDF

백서 삼차신경절내 신경세포체의 치아이동에 따른 CGRP 면역염색성의 변화 (Changes of CGRP immunoreactivity in rat trigeminal ganglion neurons during tooth movement)

  • 박효상;박국필;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07-621
    • /
    • 1997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에서는 동통의 전달을 조절하며 말초조직에서는 혈관 이완, 면역체계의 조절, 탐식기능 조절 등의 염증에 관여되며 골 생성에도 관여하여 치아이동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CGRP의 생성 장소인 삼차신경절내의 세포체의 크기에 따른 CGRP면역 반응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삼차 신경절내 CGRP면역양성을 띄는 각 크기의 세포들의 치아이동의 시간 경과에 따른 반응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생후 9 주령의 Sprague-Dawley계 백서 30 마리를 정상 대조군 6 마리, 3 시간 교정력 적용군 5 마리, 12 시간군 4마리, 1 일군 5마리, 3 일군 5 마리, 7 일군 5 마리로 나누어 실험군은 각 해당 시간동안 상악 우측 제 1대구치에30gm내외의 교정력을 가한 후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백서의 삼차 신경절을 적출 하여 냉동 절편을 형성한 후 토끼의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삼차 신경절의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를 크기에 따라 소형 ($20{\mu}m$ 미만), 중형($20-35{\mu}m$), 대형($35{\mu}m$ 초과)으로 나누어 교정력 적용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1. 삼차 신경절내 전 신경세포체중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정상 대조군이 33.0%였으며 교정력 적용후 1 일 후에는 24.5%로 감소하였으나 7 일 후에는 41.8%로 증가하였다. 2. 정상 대조군에서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중 소형, 중형, 대형은 각각 51.4%, 44.0%, 4.7%였다. 3. 소형의 CC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3시간, 12시간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4. 중형의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3일, 7일군에서 대형의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7 일군에 높게 나타났다. 위를 종합하여 볼 때 치아이동 초기에는 CGRP 면역양성 신경세포체중 소형의 세포가, 후기에는 중형, 대형의 세포가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랫드 척수신경절내 zinc의 분포양상: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Histochemically-reactive Zinc in the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 김이석;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15-19
    • /
    • 2010
  • 이번 연구에서는 성체 랫드(Sprague-Dawley)의 척수신경절내 분포하는 zinc의 분포 관찰하기 위하여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y(AMG)로 염색하였다. H-E염색표본에서 척수신경절 속에는 신경절세포들이 무리지어 분포하고 있었고, 세포체는 둥글거나 타원형이었으며, 작은 신경절세포, 큰 신경절세포로 대별되었다. 모든 신경절세포의 세포체는 한 층의 납작한 위성세포(satellite cell)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었다. AMG 염색표본에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경우 강한 양성반응이 핵 주변부에서 관찰되었으나, 큰 신경절세포의 경우 전반적으로 미약한 AMG 양성반응을 보였고, 염색양상도 서로 달랐다. 그러나 큰 신경절세포를 둘러싸는 위성세포에서는 뚜렷한 AMG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조직화학적 본 연구의 결과는 zinc가 감각신경절인 랫드 척수신경절에서 통증을 포함한 감각의 전달과정에 의미있는 기능을 영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