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proteobacteria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1초

A report of 37 unrecorded anaerobic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the Geum River in South Korea

  • Lee, Changsu;Kim, Joon Yong;Kim, Yeon Bee;Kim, Juseok;Ahn, Seung Woo;Song, Hye Seon;Roh, Seong W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05-116
    • /
    • 2020
  • A total of 37 anaerobic bacteria strains within the classes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Bacteroidia, Flavobacteriia, Bacilli, Clostridia, and Fusobacteriia were isolated from freshwater and sediment of the Geum River in Korea. The unreported species were related with Rhizobium and Oleomonas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Acidovorax, Pseudogulbenkiania, and Aromatoleum of the class Betaproteobacteria; Tolumonas, Aeromonas, Cronobacter, Lonsdalea, and Phytobacter of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Bacteroides, Dysgonomonas, Macellibacteroides, and Parabacteroides of the class Bacteroidia; Flavobacterium of the class Flavobacteriia; Bacillus and Paenibacillus of the class Bacilli; Clostridium, Clostridioides, Paraclostridium, Romboutsia, Sporacetigenium, and Terrisporobacter of the class Clostridia; and Cetobacterium and Ilyobacter of the class Fusobacteriia. A total of 37 strains, with >98.7%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with validly published bacterial species, but not reported in Korea, were determined to be unrecorded anaerobic bacterial species in Korea.

해양퇴적물로부터 분리된 Pseudoalteromonas sp. meg-B1의 유전체 분석 (Draft genome sequence of Pseudoalteromonas sp. meg-B1 isolated from marine sediment)

  • 박수제;박세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2
    • /
    • 2018
  •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Pseudoalteromonas sp. meg-B1을 제주도 해양 퇴적물로부터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략 4.15 Mb의 크기와 41.2%의 평균 G + C 함량을 가진 meg-B1 균주의 완전한 유전체를 보고한다. 유전체는 3,606개의 코딩 서열, 9개의 리보솜 RNA 및 94개의 전사 RNA 유전자가 존재하며, 한 개의 완전한 프로파지 영역이 발견되었다. 본 유전체는 해양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삼투화합성 용질합성과 관련된 유전자(예, choline dehydrogenase)들이 확인되었다.

동해 남부 해역 퇴적물과 저층 해수 세균 군집 조성의 계절적 변화 연구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Sediments and Overlying Waters of the South East Sea)

  • 최동한;김병모;최태섭;이정석;노재훈;박영규;강성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2호
    • /
    • pp.147-154
    • /
    • 2014
  • 해양 환경에서 세균은 다양한 생지화학적 순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들의 다양성에 대한 정보는 생태계에서 세균의 생지화학적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CO_2$ 해양지중저장의 후보지인 동해 남부해역의 표층 퇴적물과 퇴적물 위의 저층 해수에서 최신 연구 기법인 pyrosequencing을 통하여 세균의 계절적 다양성을 분석함으로써, 동해 퇴적물 세균상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퇴적물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Gammaproteobacteria가 우점한 반면, 저층 해수에서는 Alphaproteobacteria가 우점하여 두 서식처에서 세균의 다양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속 수준의 다양성 분석에서도 저층 해수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SAR11 그룹에 속하는 Pelagibacter가 가장 우점한 반면, 퇴적물 시료에서는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미동정 속이 가장 우점하였다. 그러나 두 서식처 모두에서 5%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속의 수는 10 속 미만으로 소수였으며, 낮은 점유율을 갖는 많은 종류의 세균들이 군집 내에 공존하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세균 다양성 연구는 동해 저층 해수 및 퇴적물의 세균 다양성에 대한 특성의 이해와 더불어 $CO_2$ 해양지중저장 사업의 진행에 따른 세균의 다양성 및 기능 변화에 대한 사전 자료 및 해역이용영향평가 배경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gar-Degrading Marine Bacterium, Gayadomonas joobiniege gen, nov, sp. nov., from the Southern Sea, Korea

  • Chi, Won-Jae;Park, Jae-Seon;Kwak, Min-Jung;Kim, Jihyun F.;Chang, Yong-Keun;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509-1518
    • /
    • 2013
  • An agar-degrading bacterium, designated as strain $G7^T$, was isolated from a coastal seawater sample from Gaya Island (Gayado in Korean), Republic of Korea. The isolated strain $G7^T$ is gram-negative, rod shaped, aerobic, non-motile, and non-pigmented. A similarity search based on its 16S rR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it shares 95.5%, 90.6%, and 90.0% similarity with the 16S rRNA gene sequences of Catenovulum agarivorans $YM01^T$, Algicola sagamiensis, and Bowmanella pacifica W3-$3A^T$,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es demonstrated that strain $G7^T$ formed a distinct monophyletic clade closely related to species of the family Alteromonadaceae in the Alteromonas-like Gammaproteobacteria. The G+C content of strain $G7^T$ was 41.12 mol%. The DNA-DNA hybridization value between strain $G7^T$ and the phylogenetically closest strain $YM01^T$ was 19.63%. The genomes of $G7^T$ and $YM01^T$ had an average ANIb value of 70.00%.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of this particular strain was ubiquinone-8, whereas that of C. agarivorans $YM01^T$ was menaquinone-7. The major fatty acids of strain $G7^T$ were Iso-$C_{15:0}$ (41.47%), Anteiso-$C_{15:0}$ (22.99%), and $C_{16:1}{\omega}7c/iso-C_{15:0}2-OH$ (8.85%), which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YM01^T$. Comparison of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rbon utilization, enzyme production, and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also demonstrated that strain $G7^T$ is distinct from C. agarivorans $YM01^T$. Based on its phenotypic,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G7^T$ was considered a novel genus and species in the Gammaproteobacteria, for which the name Gayadomonas joobiniege gen. nov. sp. nov. (ATCC BAA-2321 = $DSM25250^T=KCTC23721^T$) is proposed.

울릉도 항구의 해양환경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분포 변화 (Phylogenetic diversity of marine bacteria dependent on the port environment around the Ulleng Island)

  • 강용호;안민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12-317
    • /
    • 2015
  • 울릉도에서 7곳의 항구(천부항, 현포항, 태하항, 남양항, 사동항, 도동항, 저동항)와 1곳의 해변(구암)에서 표층해수를 채취하였다. 배양하지 않은 시료(uncultured samples)와 배양한 시료(cultured samples)에서 각각 미생물의 16S rDNA를 pyrosequencing하여 해양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태하항과 사동항의 해수처럼 청정한 해수에서는 Alphaproteobacteria 분포율이 높았고, 남양항, 도동항, 저동항의 해수처럼 생활하수나 하천수의 유입이 많은 곳에서는 Gammaproteobacteria 분포율이 증가하였다. Marine broth로 배양한 시료(cultured samples)에서는 Alteromonas (천부항, 태하항, 구암해변, 남양항, 사동항), Shewanella (저동항), Vibrio (현포항, 도동항) 속이 우점으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항구로 유입되는 하천수나 생활하수가 해양미생물의 분포에 큰 변화를 초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DGGE에 의한 남태평양 해면 Dactylospongia metachromia의 공생세균 다양성 (Bacterial D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Sponge, Dactylospongia metachromia Based on DGGE Fingerprinting)

  • 정인혜;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7-382
    • /
    • 2013
  • 2012년 2월 미크로네시아의 축(Chuuk)주에서 채집한 해양해면 Dactylospongia meachromia의 공생세균의 주요 군집구조를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 metachromia의 두 개체 CH607과 CH840를 이용하여 DGGE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동종의 두 개체 해면에서 동일한 밴드 패턴을 나타내었다. DGGE 밴드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알려진 염기서열들과 93-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밴드로부터 밝혀진 모든 서열들은 배양되지 않은 세균 클론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D. metachromia (CH607, CH840)의 공생세균 군집구조는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Chloroflexi, Cyanobacteria, Spirochaetes로 총 6문 8강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일한 지역에서 채집한 같은 종의 해면은 동일한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해면 Callyspongia elegans에 서식하는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y Inhabited in Callyspongia elegans)

  • 박소현;김지영;김영주;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2-157
    • /
    • 2014
  • 이 논문은 Callyspongia elegans에서 서식하는 세균군집에 관한 내용이다. 해양세균은 marine agar를 사용하여 해면동물 C. elelgans에서 분리하였다. 그 결과 112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현미경 및 그람 염색을 통해 형태학적 표현형질을 측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집락 색소는 노란색, 갈색, 아이보리색, 흰색으로 나타났다. 그람염색 결과 37균주는 그람양성균이였으며, 75균주는 그람 음성균이었다. 균주의 형태는 분리균주 중 79균주는 구균형태로 관찰되었고, 16균주는 간균이었다.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균주들의 계통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112균주는 5개의 주요 계통군이 확인되었으며, Alphaproteobacteria는 39%, Gammaproteobacteria는 22%, Acinobacteria는 14%, Firmicutes는 9%, Bacteroidetes는 6%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해 계통분석 결과 15균주가 새로운 속 또는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을 나타났으며, 앞으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한 실정이다.

장기간 호밀을 풋거름작물로 시용한 유기농 토양의 생물학적 특징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Soil applying Rye (Secale cereal L.) as Green Manure for the Long Term)

  • 백계령;이계준;김태영;지삼녀;김창석;이형복;이은경;송재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27-437
    • /
    • 2018
  • In this study, microorganism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naged soil which applied rye (Secale cereal L.) as green manure for 25 years, were determin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soil showed high level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_2O_5$, while the level of exchangeable cation was low. The analysis of dehydrogenase activity and carbon source utilization indicated that the values in on organic soi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t suggested that the microorganism community of organic soil had high microorganism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In addition, when the 16S rRNA gene-targeted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lass of bacterial community, the class level of bacterial taxon composition on organic soil showed higher portion of Sphingobacteriia, Acidobacteriia, Gammaproteobacteria, Solibacteres and Planctomycetia. By base on the results of various reports in which organic managed soil had high portion of Acidobacteriia and Planctomycetia, the characteristic of taxon composition in organic soil, which showed the high percentages of Ktedonobacteria, Sphingobacteriia, Acidobacteriia and Gammaproteobacteria, was 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of rye as a green manure for the long term. However, further researches were needed because the crop effect wa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16S rDNA-DGGE를 이용한 2종의 제주도 해양 해면의 공생세균의 군집 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wo Marine Sponges from Jeju Island Based on 16S rDNA-DGGE Profiles)

  • 박진숙;심정자;안광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0-176
    • /
    • 2009
  • 제주도에 서식하는 2종의 해양 해면, Dictyonella sp.와 Spirastrella abata의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16S rDNA-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해면으로부터 total genomic DNA를 추출하여 GC clamp가 추가된 세균에 특이적인 341f primer와 518r primer를 이용하여 16S rRNA gene의 V3 부위를 증폭한 후 DGGE 전기 영동하고 재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Dictyonella sp.에서 8개, Spirastrella abata에서 7개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통된 주요 band가 없는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DGGE band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서열들과 93%~98%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Dictyonella sp.의 주요 해면 공생세균은 uncultured Gammaproteobacteria, Spirastrella abata의 경우 uncultured Alphaproteobacteria, Firmicutes에 각각 포함되어 해면 종에 따른 숙주 특이적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ulture-Based Study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within the Guts of Nine Longicorn Beetle Species and their Exo-enzyme Producing Properties for Degrading Xylan and Pectin

  • Park, Doo-Sang;Oh, Hyun-Woo;Jeong, Won-Jin;Kim, Hyang-Mi;Park, Ho-Yong;Bae, Kyung-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394-401
    • /
    • 2007
  • In this study, bacterial communities within the guts of several longicorn beetles were investigated by a culture-dependent method. A total of 142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nine species of longicorn beetle, including adults and larvae. A comparison of their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most of the bacteria constituting the gut communities can typically be found in soil, plants and the intestines of animals, and approximately 10% were proposed as unreported. Phylogenet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bacterial species comprised 7 phyla, and approximately half were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were the second most populous group (19%), followed by Firmicutes (13%) and Alphaproteobacteria (11%). Betaproteobacteria, Flavobacteria, and Acidobacteria were minor constituents. The taxonomic compositions of the isolates were variable according to the species of longicorn beetle. Particularly, an abundance of Actinobacteria existed in Moechotypa diphysis and Mesosa hirsute, which eat broadleaf trees; however, no Actinobacteria were isolated from Corymbia rubra and Monochamus alternatus, which are needle-leaf eaters. Considerable proportions of xylanase and pectinase producing bacteria in the guts of the longicorn beetles implied that the bacteria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gestion of woody diets. Actinobacteria and Gammaproteobacteria were the dominant xylanase producers in the guts of the bee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