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bling control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대학생의 도박성 게임 경험이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ge Student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 이옥희;서우순;남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3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Methods: The study included 260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and collected data from March 1, 2018 to March 31, 201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0. Results: First, gambling experience showed high frequency among males (68.5%), 21 years of age and older (45.5%), boarding house (66.1%), and two or more siblings (40.5%). Second, the gambling problem based on the experience of gamb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ademic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gambling control. Third, the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was highly correla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gambling recognition and academic problem. Also, academic problem was highly correlated in order of gambling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effects of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were identified as gambling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ambling awareness and mental health. Conclusion: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gambling problem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gambling problem, the government,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promote the harmful effects of gambling and provide regular mental health. education at universities.

대학생의 문제도박 예방에 대한 설명모형 구축 및 검증 (Testing an Explanatory Model for Preventing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 박향진;김석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7
    • /
    • 2018
  • Purpose: A mediated mod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based on Blaszczynski and Nower's pathway model is developed and tested to explore mediating roles of self-control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ly vulnerable variables and problem gambling. Methods: 273 student participants recruited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Korea responded.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rising measures of problem gambling,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s,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self-control. Results: The modified research model provides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Depression, anxiety, reflective coping, irrational beliefs, and self-control turned out to have direct effects on problem gambling, while indirect effects were reported in some suppressive and reactive styles. These predictors account for 38% of the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depression,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increasing reflective coping and self-control are needed to prevent Korean college students'problem gambling.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

  • Jeong, Byeong-Il;Baek, Sang-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9-97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gambling behaviors through their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For this,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on life stress, self-control, family support and gambling behavior with 387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Gwangju city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escribed bel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life stress on gambling behavior,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life stress had the positive effect on gambling behavior and it meant that when the university students couldn't cope with the life stress effectively and felt frustrated, they were likely to be involved in gambling behavior to escape from their helplessne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life stress on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it was found that life stress had negative effect on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The more experiences of life stress they had, the lower their self-control was. As their life stress was higher, they didn't make supportive relationship network with family members. As a result of mediating effects, it was shown that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played the partially negative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and it suggested that as the life stress was perceived less, self-control was performed better and as family support was higher, gambling behavior was effectively reduced.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ed that life stress could be handled actively through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an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program to cope with life stress could minimize the gambling behaviors. Als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문제도박자의 단도박 의도를 예측하는 계획된 행동 이론 검증 (Verif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Predicts the Intention for Gambling Abstinence of Problem Gamblers)

  • 박근우;서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32-238
    • /
    • 2019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문제도박자의 단도박 의도를 예측하는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지역사회 기관을 이용하는 문제도박자 100명을 대상으로 단도박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과 단도박 의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반한 모형검증을 위해 단도박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이 단도박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형 분석결과 단도박 의도에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은 지각된 통제력이고 그다음이 단도박 태도였다. 그러나 주관적 규범은 단도박 의도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가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들은 문제도박자의 회복을 위해 단도박 효능감과 단도박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행동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즉, 도박문제로부터 회복할 수 있다는 신념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지지와 대처기술훈련이 필요하고, 긍정적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도박문제 정보제공과 교육 역시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독관리기관을 중심으로 도박문제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 차원의 개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Development of a Gambling Addictive Behavior Scale for Adolescents in Korea

  • Park, Hyun Sook;Jung, Sun Yo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957-96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ambling addictive behavior scale for adolescents. Methods: The process involv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initial item search,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selection of secondary items, and extraction of final items. The participants were 299 adolescents from two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criterion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ROC curv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or the final scale, 25 item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4 factors which accounted for 54.9% of the total variance. The factors were labeled as loss of control, life dysfunction from gambling addiction, gambling experience, and social dysfunction from problem gambling. The scores for the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dictive personalit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adolescent's gambling addictive behavior.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25 items was .94. Scale scores identified adolescents as being in a problem gambling group, a non-problem gambling group, and a non-gambling group by the ROC curve.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gambling addictive behavior scale has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can be used with adolescents in Korea.

도박 범죄에 대한 경찰의 수사체제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Police's Investigation System Against Gambling Crime)

  • 김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76-18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는 도박공화국의 오명에 시달리고 있다. 매우 치욕스럽지만 작금의 실태를 들여다보면 크게 잘못된 비난도 아닌 듯하다. 그간 우리나라에서 도박은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며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낮은 경각심과 비범죄화적인 분위기로 말미암아 적절한 제재가 부족하였다. 경찰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경찰의 도박단속을 효율성면에서 미흡하였다. 이제부터라도 경찰은 도박범죄의 심각성을 깨닫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수사상 도박범죄에 대한 대응방안을 범죄정보획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경찰은 도박범죄의 정보획득 체계를 개선하고 범죄정보관리시스템의 적극적 활용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수사종합검색시스템 상에서 도박범죄 활용방안이 검토되어야 하고 우범자첩보수집등에관한규칙상 관할지역의 우범자에 도박범죄 경력자를 포함하는 조치도 요망된다.

사행산업 매출총량제가 사행산업 구조에 미친 영향 분석 (How does the CAP System Influence the Structure of Gambling Industry in Korea)

  • 최성락;박준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4-45
    • /
    • 2018
  • 한국에는 사행성과 관련하여 독특한 제도가 다수 존재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사행성 규제가 사행산업 총량제이다. 사행산업 총량제는 사행산업 전체의 매출액을 경제 규모의 일정 수준 내로 한정하고자 하는 규제로 외국에서 예를 찾기 힘든 독특한 규제이다. 이러한 사행산업 총량제는 2009년부터 실시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행산업 총량제가 실시된 이후 한국의 사행산업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행산업 총량제 실시 이후 사행산업 구조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첫째, 사행산업 총량제 도입 이후에는 사행산업 매출 변화량이 감소하였고, 매출 증가율이 GDP 증가율과 거의 유사하게 변화한다. 둘째, 사행산업 총량제 도입 이전에는 사행산업의 독점도가 크게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사행산업 총량제가 도입되면서 사행산업의 독점도가 안정되었다. 즉, 사행산업의 경쟁 구도가 고착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사행산업 각 종목별로도 매출액 변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행산업 총량제는 사행산업의 구조를 고착화하고 변화가 적은 정체 시장으로 변화시켰다. 사행산업 총량제는 사행산업 간 경쟁을 막으며, 성장도 쇠퇴도 없는 고정적 산업 구조를 만드는 효과를 가진다.

누가, 왜 불법도박을 할까?: 불법도박 경험 수준에 따른 심리적 특성 (Why and Who Participate in Illegal Gambl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legal Gamblers)

  • 이준복;윤상연;허태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55-176
    • /
    • 2014
  • 최근 불법도박의 경제적 규모는 합법사행산업의 매출 규모를 뛰어 넘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유명 연예인들의 불법도박이나 프로스포츠에서의 승부조작과 같은 불법도박과 관련된 사건들 역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박 중독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 도박 연구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불법도박의 불법성에 주목하여 참여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리서치 회사의 패널들 중 도박 경험자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3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불법도박 경험 수준에 따라 불법도박 무경험 집단(n=1,317), 불법도박 경험 집단(n=177), 불법도박 주도박 집단(n=37)으로 구분하여 개인 성향(위험감수성향, 조절초점성향, 내적통제성향), 법인식(불법성, 처벌가능성, 처벌강도) 및 오해, 도박동기(금전동기, 흥분동기, 사교동기), 도박하는 동안의 감정(느긋함-불안, 무관심-몰입, 권태-흥분, 자신감-걱정)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불법도박 주도박 집단과 경험 집단은 무경험 집단에 비해 위험감수성향이 높았고, 경험 집단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향상초점성향이 높았다. 둘째, 불법도박 경험 집단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불법도박의 불법성을 낮게 인식했고, 불법도박에 대한 오해가 더 많았다. 셋째, 불법도박 주도박 집단과 경험 집단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더 강한 금전동기, 흥분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주도박을 하는 동안의 감정에서는 느긋함-불안 차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주도박 집단이 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에 비해 불안을 더 많이 느꼈다. 논의에서는 불법성을 중심으로 불법도박자들의 특징을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법도박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PDF

대학생의 도박행동: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및 다집단 분석 (College Students' Gambling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Multiple Group Analysis)

  • 김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97-20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도박행동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함으로써, 예방적 차원에서 학교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 실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학생의 도박행동과 관련된 선행요인으로는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포함시켰다. 인지적 요인(비합리적 도박신념), 심리적 요인(우울, 불안), 사회적 요인(부모의 감독, 부모의 지지, 친구의 지지)은 외생변수로, 자기통제력과 도박행동(도박경험, 도박수준)은 내생변수로 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성별, 음주, 흡연, 인터넷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시간, 친구의 도박행동, 가족의 도박행동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적모집단은 국내의 대학생이며, 근접 모집단은 1개 광역도시와 4개의 지역도시에 소재한 7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246명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25일부터 3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도박행동을 예측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자기통제력의 효과가 가장 크고, 예측된 모든 변수들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도박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개발 시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과 개인의 인지적,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을 개선시킴으로써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성별을 고려한 접근 및 가족이나 친구를 포함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아동 도박성게임 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to reduce child gambling game behavior)

  • 김선희;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229-24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도박성 게임 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적·행동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재발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예방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분석하였다. 남학생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8명을 선별하여 실험,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주 1회 프로그램을 진행 후 실험집단에 한하여 3개월 후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아동 도박성 게임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문제 수준, 아동용 자동적 사고, 도박문제수준이 감소되었다. 도박성 게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적응적 사고의 변화는 도박성 게임행동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었다. 둘째, 행동적 변인인 자기통제력, 충동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전체 평균에서는 감소하였다. 인지적 변인의 변화가 행동적 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 후에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행동적 변인의 변화는 추후 아동의 도박성 게임행동을 감소시키고 적응적인 사고를 통해 학교생활과 또래 관계에 도움이 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