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lic Acid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35초

비스무스코팅 탄소섬유전극과 갤릭산 착물을 사용한 구리 이온의 흔적량 분석 (Bismuth Coated Carbon Fiber Microelectrode with Gallic Acid n-Propyl Ester for Trace Copper Analysis)

  • 이수영;이장현;정영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0호
    • /
    • pp.1111-1118
    • /
    • 2007
  • A bismuth-coated carbon fiber microelectrode was prepared using cyclic voltammetry (CV). An analytical application was performed for the copper analysis with Square Wave Stripping Voltammetry (SWSV). Gallic acid n-propyl ester (PG) was used for the complex formation with a copper ion, and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ith a pre-amplifier of a low-current module for nano am per detection.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on the response were optimized. Analytical working ranges of $0.03-25.9\;{\mu}gl^{-1}$ and $0-25\'mgl^{-1}$ Cu(II) were obtaine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at $13\;mgl^{-1}$ Cu was 0.9% (n = 12) in optimum conditions. The detection limit was found to have been $0.019\;{\mu}gl^{-1}$, with a 30-sec accumulation time. The developed methods were applied to a copper assay in water samples.

Gallic acid caused cultured mice TM4 Sertoli cells apoptosis and necrosis

  • Li, Wanhong;Yue, Xiangpeng;Li, Fad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5호
    • /
    • pp.629-636
    • /
    • 2019
  • Objective: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cytotoxic effect of gallic acid (GA), obtained by the hydrolysis of tannins, on mice TM4 Sertoli cells apoptosi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non-tumorigenic mice TM4 Sertoli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A for 24 h. After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using WST-1, mitochondrial dysfunction, cells apoptosis and necrosis was detected using JC-1, Hoechst 33342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 The expression levels of Cyclin B1,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and Caspase-3 were also detect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blott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20 to $400{\mu}M$ GA inhibited viability of TM4 Sertoli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400{\mu}M$ GA significantly inhibited PCNA and Cyclin B1 expression, however up-regulated BAX and Caspase-3 expression, caused mitochondrial membrane depolarization, activated Caspase-3, and induced DNA damage, thus, markedly increased the numbers of dead cells. Conclusion: Our findings showed that GA could disrupt mitochondrial function and caused TM4 cells to undergo apoptosis and necrosis.

정향의 화학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Eugenia caryophyllata)

  • 박만기;박정일;신영근;신언경;김경호
    • 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9-152
    • /
    • 1997
  • Thre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n-BuOH fraction of buds of Eugenia caryophyllata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3,3',4-tri-O-methylellagic acid, 3-O--${\beta}$ -D-glucopyranosyl-3,5,4'-trihydroxy-7,3'-dimethoxyflavone and gallic acid by 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

  • PDF

자색고구마에서 추출한 anthocyanin의 광안정성 (Photo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 임종환;이장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46-349
    • /
    • 2002
  • 자색고구마에서 anthocyanin 색소를 추출한 후 EDTA, gallic acid, phosphoric acid, propyl gallate 및 sodium ascorbate 등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20,000 lux의 백색광을 조사하면서 색소의 광에 대한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EDTA와 sodium ascorbate가 자색고구마 색소의 광안정성을 증진시켰으며, 이들은 각각 100 ppm, 1,000 ppm 이상 사용하였을 때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in Paeonia lactiflora extracts using the HPLC-UV method

  • Kim, Juree;Choi, Jungwon;Kang, Sam Sik;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13-17
    • /
    • 2021
  • Qantitative analysis of six compounds: (+)-catechin, benzoic acid, gallic acid methyl ester, paeonol, paeoniflorin, and albiflorin from Paeonia lactiflora extracts was perfo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an ultraviolet (UV) detector, follow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 reverse-phase column was used in a gradient elution system, and UV detection was performed at 280 n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y of paeoniflorin was the highest in ethanol and water extracts (73.89 and 57.87 mg/g, respectively) among the six compounds. This study contributes a good analysis method for the contents of P. lactiflora and would be propitious for developing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대두유에 대한 율피의 용매분획별(Ether, Butanol, Water)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Solvent(Ether, Butanol, Water) Extrats from Chestnut Inner Shell in Soybean Oil)

  • 오승희;김용욱;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03-708
    • /
    • 2005
  • 대두유에 율피의 용매분획별(에테르, 부탄올, 물) 추출물과 tocopherol, BHA를 각각 0.02% 첨가한 후 자동산화 및 가열 산화시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1. 자동산화시 과산화물가를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 $45^{\circ}C$에서 42일간 저장한 경우 부탄올추출물 > 에테르추출물 > 무첨가구 > BHA > 토코페롤 순으로 항산화력이 있었고, $60^{\circ}C$에서 32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부탄올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에테르추출물은 무첨가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가열산화의 경우 에테르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3.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성분의 분석결과 에테르추출물에는 ellagic acid, quercetin, morin, naringenin, flavanol로서 주요성분은 ellagic acid이었다. 이들 성분의 총량은 에테르추출물 49.09%(w/w), 부탄올추출물 76.26%(w/w)로서 부탄올 추출물에 폴리페놀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우수한 항산화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부탄올추출물에는 ellagic acid, naringenin, gallic acid, flavanol이 있었으며, 주요성분은 naringenin, gallic acid로서 이들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처리 조건에 따른 작약근 생리활성 성분 함량 변화 (Bioactive Component Content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안영남;강광희;김재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9-464
    • /
    • 2002
  • 작약근이 수확되어 적절한 조제과정을 거쳐 약품으로서의 생약재 작약이 가공되는 과정 중 약성을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수치 및 건조방법의 차이가 작약근 함유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년생 의성작약의 뿌리를 이용하여 코르크층을 제거한 거피근과 코르크층을 제거하지 않은 유피근으로 가공하고, 유피근, 거피근 모두 상온 음건, $50^{\circ}C$ 화력건조, 수증건법 및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한 후 이들에 함유된 작약근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paeoniflorin, albiflorin 및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의 함량은 상온 음건 조건의 건조법에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건조방법에 따른 유피근과 거피근간의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의 함량을 비교할 때 상온 음건을 제외한 모든 건조법에서 거피근의 함량이 더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gallic acid의 함량은 유.거피근 모두 $80^{\circ}C$ 수증건법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법이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4. benzoic acid의 함량은 gallic acid와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어 동결건조법이 유.거피근 모두 가장 높았고, $80^{\circ}C$ 수증건법이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5. 건조방법에 따른 (+)-catechin 및 (-)-epicatech고 함량은 동결건조법이 다른 건조법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6.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catech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건조 및 처리 온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괴근과 잎자루 식이섬유의 항산화 효과 및 인간 대장암세포에 대한 항암작용 (Antioxidant Activity of Dietary Fibers from Tubers and Stalks of Sweet Potato and Their Anti-cancer Effect in Human Colon Cancer)

  • 정행순;주현;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525-52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구마 괴근과 잎자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측정하고, 이들로 인한 항산화 효과와 HT-29 대장암 세포에서의 증식억제를 통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구마 잎자루와 괴근 식이섬유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5{\pm}0.001$ mg naringin/g dry basis와 $2.0{\pm}0.008$ mg naringin/g dry basis 이었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8{\pm}0.01$ mg gallic acid/g dry basis와 $6.3{\pm}0.03$ mg gallic acid/g dry basis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잎자루 식이섬유가 괴근 식이섬유에 비해 2.4배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암 세포주의 세포사멸효과를 측정한 결과, 두 경우 모두 식이섬유 첨가량에 대해서 농도의존적 세포 증식 억제를 보여주었다. 또한 잎자루와 괴근 식이섬유는 종양억제 p5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고구마 괴근과 잎자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항산화 및 대장암에서의 항암 효과를 통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예방에 있어 잠재적인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홍경천(Rhodiola sachlinensis)에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linensis)

  • 심창주;이규희;정재홍;이상덕;김영호;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70
    • /
    • 2004
  • 홍경천의 천연 보존료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로 홍경천 추출물을 제조하고 극성에 따라 순차 분획, silica-gel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의 분리과정을 거쳐 순수 분리된 각 물질을 GC/MS(EI) spectrum, $^1$H-NMR, $^{13}$C-NMR spectrum, 을 이용하여 항균물질을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홍경천에 대해 acetone, ethyl acetate, ethanol, methanol, chloroform, water의 각 용매로 추출한 결과 항균성분의 추출 용매로는 methanol이 가장 우수하였다. 홍경천 methanol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 ether, ethyl acetate, n-butyl alcohol로 분획한 결과 ethyl acetate와 n-butyl alcohol 분획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홍경천 methanol 추출물은 그람양성 4균주와 그람음성 4균주에 대해 고체 배지의 경우 대체로 500 $\mu\textrm{g}$mL에서 최소저해를 나타냈으며, 액체배지의 경우 100 $\mu\textrm{g}$mL 내외에서 최소저해를 나타내었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 용매의 비율을 높여가며 용출한 결과 chloroform methanol(8:2, v/v)의 비율에서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리된 항균성분을 silica-gel TLC plate에 용매의 비율을 높여가며 전개시켜 chloroform methanol(9:1, v/v)에서 9개의 물질군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중 항균력이 확인된 3개의 물질군을 HPLC와 NMR spectrum을 분석한 결과 gallic acid, (-)-epicatechin 및 kaempferol로 동정되었다. gallic acid, (-)-epicatechit kaempferol의 항균물질 각각의 최소저해농도는 Staphylococcu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 gallic acid와 kaempferol이 500 $\mu\textrm{g}$mL(-)-epicatechin이 100 UgfmL에서 저해를 나타내었다.

Simultaneous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Caffeic Acid, Gallic Acid, and Quercetin in Some Aromatic Herbs, Using Chemometric Tools

  • Kachbi, Abdelmalek;Abdelfettah-Kara, Dalila;Benamor, Mohamed;Senhadji-Kebiche, Ounissa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54-25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n effective, less expensive, rapid,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ree phenolic compounds (caffeic acid, gallic acid, and quercetin) widely present in food resources and known for their antioxidant powers. The method relies on partial least squares (PLS) calibration of UV-visible spectroscopic data. This model was applied to simultaneously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caffeic acid (CA), gallic acid (GA), and quercetin (Q) in six herb infusion extracts: basil, chive, laurel, mint, parsley, and thyme. A wavelength range (250-400) nm, and an experimental calibration matrix with 21 samples of ternary mixtures composed of CA (6.0-21.0 mg/L), GA (10.0-35.2 mg/L), and Q (6.4-17.5 mg/L) were chosen. Spectroscopic data were mean-centered before calibration. Two latent variables were determined using the contiguous block cross-validation procedure after calculating the root mean square error cross-validation RMSECV. Other statistic parameters: RMSEP, R2, and Recovery (%) were use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ability of the model. The results obtained demonstrated that UV-visible spectrometry and PLS regression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simultaneously quantify the three phenolic compounds in synthetic ternary mixtures. Moreover, the concentrations of CA, GA and Q in herb infusion extracts were easily predicted and found to be 3.918-18.055, 9.014-23.825, and 9.040-13.350 mg/g of dry sample,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