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OF TREES

검색결과 1,007건 처리시간 0.031초

조경수의 손실보상 감정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Improve the Assessment Method for Loss Compensation of Landscape Plants)

  • 박율진;임연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31
    • /
    • 2017
  • Plants are the basis for sustainable green growth, and the value of existence and importance of trees including landscape Plants can't be emphasized enough. Therefore, they are precious living things thriving in all sorts of public services, and continuous civil complaints for justifiable compensation of landscape Plants are filed. First, the standard formula of planting intervals according to production target specifications is calculated using root-collar caliper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apply (1) standard medium sized trees which have not yet reached commercialization [deciduous tree production goal (R(B) less than 6cm]= (target standard)= [target standard $R(cm){\times}15{\times}0.7$]. (2) In case of commercialization(R6~R10)= [target standard $R(cm){\times}15{\pm}5%$], (3) In case of more than R12= [target standard $R(cm){\times}15{\times}130%$] shall be applied. In case of using diameter at breast height (4) In case of commercialization(B6~B10)= [target standard $B(cm){\times}20{\times}15{\pm}5%$], (5) In case of more than B12= [target standard $B(cm){\times}20{\times}130%$] shall be applied. Second, appraisal methods based on tree classification of compensation for los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lanted locations. (1) landscape trees within a house=[price of arrival at the site+planting cost], (2) landscape trees in places such as arboretum=[management technology of tress + relocation expenses considering scarcity of the trees (3) landscape trees in a place of loads= [landscape tree production cost + work out added price. In case of producted landscape threes (4) landscape trees ready to be commercialized as sales loss.

Allelopathic Potential of Select Gymnospermous Trees

  • da Silva, Jaime A. Teixeira;Karimi, Javad;Mohsenzadeh, Sasan;Dobranszki, Jud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09-118
    • /
    • 2015
  • Allelopathy is an ecological phenomenon that refers to the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f one plant on another plant, both crop and weed species, by the release of organic chemicals (allelochemicals) from plant parts by leaching, root exudation, volatilization, residue decomposition in soil and other processes in both natural and agricultural systems. Allelopathy can affect many aspects of plant ecology including occurrence, growth, plant successi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survival, dominance, diversity, and plant productivity.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concept of allelopathy, some mechanisms of operation within plants and then focus on a select number of gymnospermous tree genera: Ephedra, Pinus, Taxus, Cedrus, Juniperus, Picea, Cunninghamia and Araucaria. Pinus, Taxus (yew) and Cedrus (cedar) trees have a strong negative allelopathic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or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forest community.

Allelopathic Effects of Fir Tree (Abies holophylla)

  • Kim, Young-Sik;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307-310
    • /
    • 2004
  • It was found that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lected species were inhibited by phytotoxic substance released from fir trees. The aqueous extracts of leaves caused significant inhibition in the seed germination of the receptor plants, Whereas seed germination of some species was not inhibited in extracts of leaves, but seedling elongation of the receptor plants was also decreased by the aqueous extract. Dry weight growth was slightly increased in lowe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while that was proportionally inhibited by highe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Chemical substances of fir trees were shown the biological toxicity. The GC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of phytotoxic chemicals and sixteen chemical substances were identified such as benzoic, phenylacetic, etc. Also 33 volatile substances were identified from the fir tree. These chemical compounds are assumed the substances related to allelopathic potential of Abies holophylla plant species.

In Vitro Propagation of Commonly Used Medicinal Trees in Korea

  • An, Chan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272-280
    • /
    • 2019
  • Forest medicinal resources, which constitute one of the non-timber forest products, have been regarded as healthy and highly valued product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medicin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pagation methods of medicinal plants. In vitro propagation not only allows an opportunity for propagating plants in large numbers but also allows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desired functional component of a plant by altering the growth factors, such as medium, carbon sourc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influence plant.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f in vitro propagation methods, such as axillary bud culture, shooting, and embryogenesis, on Kalopanax septemlobus,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Hovenia dulcis, and Schisandra chinensis in Korea between from 2000 through 2010. Furthermor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proliferate callus and plantlets for producing useful natural compounds by using bioreactors. Here, we provide an account of the in vitro propagation methods of medicinal trees in Korea based on a review of several micropropagation studies.

관리시설에 따른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상태 분석 (An Analysis on Vitality Status of Big Old Trees Preserved as Natural Monuments Based on Artificial Management)

  • 손지원;신진호;이재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22
    • /
    • 2016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와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수목활력도를 측정하고, 관리시설물에 따른 노거수의 수목활력도 차이를 규명하였다. 수목활력도 측정 결과 소나무의 전기저항 값은 평균 $14.9K{\Omega}$이고, $8.5{\sim}37.5K{\Omega}$사이에 분포하며, 은행나무의 전기저항 값은 평균 $13.5K{\Omega}$로, $6.4{\sim}40.5K{\Omega}$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시설물 현황조사 결과 소나무, 은행나무 모두 과반수 복토 및 석축이 이루어졌고, 특히 복토 여부에 따라 수목의 활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나무와 은행나무 모두 복토 된 수목의 형성층 전기저항 값이 복토되지 않은 수목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상대적인 생육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토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필요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 외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호수에 대한 관리방안 실태조사도 실시하여 전반적인 복토 제거 등 관리시설물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韓國)에서 테-다 소나무의 생육가능성(生育可能性) (Growth Feasibility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n Korea)

  • 노의래;최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33
    • /
    • 1973
  • 테-다소나무 자연분포구역내의 종자산지별(種子産地別) 묘목(苗木)의 미국내조림 활착율(活着率)은 대체로 종자산지(種子産地)가 서북쪽으로 갈수록 높았으며 생장은 종자산지(種子産地)가 동남쪽으로 갈수록 좋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내륙지방에 알맞는 산지로는 Arkansas Texas산(産)이 적합할 것으로 추정되며, 서해안 및 동해안 지방에는 Maryland, North Carolina 구능산이, 또 남해안에 North Carolina 해안산이 가장 유망시 되는 산지로 추정된다.

  • PDF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있어서의 간벌수확이 뽕나무의 발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Thin Out of Mulberry Branches in Summer or Early Autumn on the Growth of Branches and the Yield of Mulberry Leaves)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1976
  •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각주마다 뽕나무지조중 잔가지와 정상가지 2개씩을 솎아베기하였을 경우에 가지의 발육과 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하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42일간)에 수확을 한 경우에 있어서 (1) 추잠기까지에 그 평균조장이 19% 가 증가하여 솎아베기를 하지않은 경우의 증가율 8% 보다 11% 나 그 증가비율이 높았다. (2) 솎아베기를 하면 이것을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하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지만 9% 정도 증수가 된다. 2) 여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초추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15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와 만추잠기(이 기간 29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1) 그 평균조장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나 하지않은 경우나 다 같이 추잠기까지는 6∼7%, 만추잠기까지는 8% 정도 증가하여 솎아베기의 효과를 인정할 수가 없었다. (2) 초추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6%가 증수가 되어 유의성은 없지만 증수의 경향이 있고 초추잠인와 만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보다 12%가 단수가 되어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솎아베기가 평균조장의 증가에는 별로 효과가 없지만 수량증가에는 효과를 나타낸 것은 솎아베기를 하므로 말미암아 뽕나무주내의 생활조건을 개선하여 광합성작용을 왕성하게 하므로써 엽중을 증가시킨 까닭이라고 생각된다.

  • PDF

잣나무 임분의 개체목 거리독립생장모델을 이용한 간벌효과 분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inning Effect Analysis Model (TEAM) Using Individual-Tree Distance-Independent Growth Model of Pinus koraiensis Stands)

  • 권순덕;김선영;정주상;김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42-7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거리독립생장모델을 이용한 잣나무 임분의 간벌효과 분석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모델은 간벌시업계획의 주요 인자로 간벌의 횟수와 시기, 강도 그리고 간벌방법을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간벌시업계획에 따른 7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임분생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간벌시업 형태에 따른 개체목의 직경급별 본수, 수고, 재적과 임분의 평균흉고직경, 평균수고, ha당 본수 및 재적변화에 관한 생장을 예측할 수 있었다. 1개소의 잣나무 현실임분을 대상으로한 모델의 적용성 검토에 있어서, 간벌시나리오별 임분생장량을 비교한 결과, 간벌시업에 의한 임분밀도조절로 주벌시점의 재적량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벌량과 주벌량을 포함하는 총수확량은 무간벌의 경우보다 간벌시업을 한 경우에 ha당 약 $40{\sim}75m^3$의 증가효과를, 그리고 임분의 평균흉고직경에서는 5 cm이내, 평균 수고에서는 1 m이내의 증가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현실임분의 구성여건에 따라 간별의 실시 여부 및 간벌시업체계의 선택문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지원도구로서 활용가능 할 것이다.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ephaleuros virescens Occurring in Mango Trees

  • Vasconcelos, Camila Vilela;Pereira, Fabiola Teodoro;Duarte, Elizabeth Amelia Alves;de Oliveira, Thiago Alves Santos;Peixoto, Nei;Carvalho, Daniel Diego Co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157-162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accomplish the isolation,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ing the physiology of the causal agent of the algal spot in mango trees. For this purpose, the pathogen growth was assessed in different culture media, with subsequent observation and measurements of the filamentous cells.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was made using mycelium obtained from leaf lesions and pure algae colonies grown in culture medium. Descriptions based on DNA sequencing indicated that the algae is Cephaleuros virescens. The algae must be isolated primarily in liquid medium for further pricking into agar medium. The highest mycelial growth average in Petri dishes occurred when the algae were grown in Trebouxia and BBM. Trebouxia enabled larger cells in the filamentous cells when compared to other culture media.

8개(個) 시험지(試驗紙)에서 소나무 산지별(山地別) 생장특성(生長特性) 변이(變異) (Variation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 et Z. at Eight Experimental Plantations of Korea)

  • 김규식;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19-127
    • /
    • 1997
  • 본 연구(硏究)는 태백산맥(太白山脈) 주위(周圍)에 분포(分布)하는 형질(形質)이 우수(優秀)한 소나무를 전국적(全國的)으로 확대(擴大) 조림(造林)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遂行)하였다. 경북(慶北) 천진(薦珍) 등(等) 6개(個) 천영임분(天然林分)에서 채종(採種)된 종자(種子)를 양묘(養苗)하여 1987년(年) 4월(月) 충남(忠南) 태안(泰安) 등(等) 8개(個) 지역(地域)에 1-1묘(苗)를 난괴법(亂塊法) 3반복(反復)으로 식재(植栽)하였다. 생장조사(生長調査)는 식재(植栽) 후(後) 2, 4년생(年生)일때 수고생장(樹高生長)을, 6년생(年生)일 때 수고(樹高)와 근원경(根元徑)을 조사(調査)하였다. 식재(植栽) 후(後) 2, 4, 6년생(年生)의 수고생장(樹高生長)은 시험간(試驗地間)에 많은 차이(差異)가 있었고, 6년생(年生) 수고생장(樹高生長)과 시험지(試驗地)의 위도(緯度), 토양중(土壤中)의 치환성(置換性) 인산, 칼륨, 칼슘함량(含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경도(經度), 표고(標高)와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또한 수고생장(樹高生長)은 산지간(産地間)에 많은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6년생(年生) 수고생장(樹高生長)이 가장 우수(優秀)한 봉화산(奉化産)은 전(全) 산지(産地) 평균(平均)보다 16% 더 좋은 생장(生長)을 하였고, 가장 저조(低調)한 경주산(慶州産)은 전(全) 산지(産地) 평균(平均)보다 11% 더 저조(低調)한 생장(生長)을 하였으며, 소나무 산지간(産地間) 생장(生長) 양상의 차이(差異)가 있어 태백산맥(太白山脈) 주위(周圍)에 분포(分布)하는 형질(形質)이 우수(優秀)한 소나무, 일명 강송(剛松)을 전(全) 지역(地域)에 식재(植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