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OF TREES

검색결과 997건 처리시간 0.029초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한 소나무, 곰솔 및 리기다소나무의 상대성장 비교 (Comparisons on Relative Growth of Red Pine, Black Pine and Pitch Pine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 박만춘;이윤근;최기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5-3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of red pine(Pinus densiflora), black pine(Pinus thunbergii) and pitch pine(Pinus rigida)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according to Graybill hypothesi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nges of rainfall have affected to tree growth during the periods of 1975 through 1978. 2. Among these pine trees, red pine was most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3.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was sensi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s of rainfall and air temperature. 4. Among the heavy metals analyzed, the concentrations(ppm) of Lead(Pb) and Copper(Cu) were negatively effected on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of pine trees. 5. The analytical technique of annual ring width may be useful for estimation of the pollution in forest areas near industrial complexes.

생태복원지에 식재된 낙엽활엽수종의 이식 후 생장량 분석을 통한 관리기간 설정 연구 (Management Period Setting Study of through Analysis of the Growth Amount after Planting of Deciduous Broadleaf Species Planted in Ecological Restoration Sites)

  • 이수동;배순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96-506
    • /
    • 2022
  • 이식 과정을 통해 식재된 수목은 뿌리 절단, 수관 훼손과 같은 극단적인 교란으로 인해 식재 직후 생장량은 급격히 감소한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원래의 생장량을 회복하는데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수종별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식 후 활착을 위한 수목관리를 위해 수종별 연간생장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관리 기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지역에 식재된 낙엽활엽수를 대상으로 생장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관리 기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식과정에서 수목 활착율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사전 작업인 뿌리돌림, 단근, 가지치기 등으로 인해 식재 직후의 생장량 둔화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원래의 생장량을 회복하게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종별, 식재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수목은 이식 직후 급격한 생장량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수종별로 상이하긴 하나 대부분 2년 이후부터 서서히 생장량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이식 직후 급격한 생장량 감소를 보인 후, 이식전의 생장 수준을 회복하기 까지는 수종에 따라 2~4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생태복원 및 오염물질 저감이라는 본 사업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식재한 수목의 하자율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정한 기반환경을 조성하는 것 외에 최소 2년간의 수목 관리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륜해석에 의한 참나무류의 직경생장과 기상요인과의 상관관계 (Interpretation of Diameter Growth Pattern and Correlation of Climatic Factors with Diameter Growth for Quercus Species Based on Tree-Ring Measurement)

  • 신창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5-151
    • /
    • 2006
  • 우리나라 중북부의 산림에서 참나무류의 연년 직경생장 변화와 온도, 강수량, 일조량 등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년직경생장은 262개의 참나무에서 채취한 생장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참나무류의 연년직경생장은 월악산보다 중왕산에서 더 좋았으며, 종별로는 졸참나무>굴참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악산과 중왕산 두 지역간의 참나무류 생장패턴은 서로 달랐으며, 중왕산에서는 참나무류의 직경생장이 7월의 기온이나 일조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월악산에서는 3월의 일조량과 6월의 강수량이 연륜생장과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지역의 산림내에서 참나무류의 직경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조건이 같아도 해발고, 지형, 토심과 같은 식생환경에 따라 기상인자의 영향정도가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수목 존치 방목지와 주변 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와 임목 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ison of stand structure and tree growth btween the pasture area and the nearby deciduous forest)

  • 강성기;양희문;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1권2호
    • /
    • pp.51-61
    • /
    • 2002
  • 이 연구는 산림확립 기원이 같지만, 수목 존치 후, 방목을 목적으로 목초지 조성을위해 많은 임목을 벌채한 방목지와 산림이 조성된 후 자연적인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방목지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수종 구성 및 임목 제원을 파악하고, 임목의 생육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목 존치 방목지와 산림지역에서는 각각 9개의 교목수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7개 수종이 방목지와 산림지역 모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밀도 및 출현빈도 등 수종구성의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당 임목수는 방목지역이 71본, 산림지역이 1,433본으로 큰 차이를 보였고, 임목들의 연륜폭과 생장상태를 고려할 때 1996년의 벌채당시 생장이 좋았던 우량목만을 잔존시켰던 것으로 예측되었다. 3. 방목지에서 임목의 평균직경과 평균수고 및 흉고단면적은 주변 활엽수림의 임목보다 높았으며, 재적 생장의 경우, 방목지는 높은 평균직경과 평균수고에도 불구하고, ㏊당 재적이 주변 활엽수림의 15%에도 미치지 못했다. 4. 방목지는 잔존목들에게 충분한 생육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을 양호하게 이끌었지만, 임목들의 계신에 의한 수관폭 확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당 적정 잔존 본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PDF

간척지 성토지 식재 포플러의 SCB액비 처리에 따른 클론별 생장특성 (Effects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on Growth Characteristic of Poplar Clones in a Reclaimed Land Mounding Soil)

  • 박정현;여진기;구영본;이원우;김현철;박치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8-323
    • /
    • 2008
  • 간척성토지에서 SCBLF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80일 동안 SCBLF 처리 후 포플러의 클론별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엽면적은 SCBLF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6% 증가하였다(P<0.05). 엽록소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5%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엽면적의 경우 Suwon, Clivus, 72-30, Dorskamp, 97-19서 처리구와 대조구간 통계적 차이가 있었고 (P<0.05), 엽록소 함량은 97-19에서 유의성을 나타났다(P<0.01). 잎의 T-N함량은 P<0.01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클론별로는 97-19, I-476, Suwon, 72-30이 P<0.05, Clivus가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은 SCBLF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20%, 41% 증가하였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수고생장은 Clivus, 72-30, Suwon에서(P<0.05) 흉고직경생장은 Clivus, Eco28, Dorskamp,72-30, 72-31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특히 현사시(Clivus, 72-30)의 경우 잎의 엽면적, T-N함량,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CBLF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거나 우수하였다.

사과 유기재배 시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피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on the Damages of Organic Apple Trees)

  • 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87-602
    • /
    • 2017
  • 온난다습 한 기후대의 미국 남부지방에서 2008년에 유기인증을 받은 '엔터프라이즈' 사과나무(Malus${\times}$domestica Borkh.)를 대상으로 수체피해[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Newman), 설치류, 고사율, 잡초밀도]에 대한 잎과 토양의 무기성분 및 수체생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과원은 유기질 멀칭 4종류와 비료 3종류를 복합으로 처리하였고, 멀칭은 초생, 종이, 우드칩, 식물성퇴비를 포함하였고, 비료는 무비료, 계분, 상업용 유기질비료를 매년 4월에 수체 주위에 시용하였다. 수체피해인 설치류와 잡초밀도는 무기성분이나 수체생장과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왜콩풍뎅이에 의한 잎 피해는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높았고(26.5%), 고사율은 초생멀칭구에서 가장 높았다. 주당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우드칩과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약 3,700 g으로 나머지 처리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잎의 왜콩풍뎅이 피해율은 토양과 잎의 무기성분이 증가하면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영양생장 지표인 주간 단면적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r^2=0.585$)가 관찰되었다. 수체 고사율은 토양 내 무기성분보다는 수체의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에 미국 남부지방 과원에서 시용된 우드칩은 유기물함량을 증가시키고 유목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토양 내의 풍뎅이류 등의 해충과 설치류의 피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피복자재로 판단되었다.

목초의 임간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ltuer of Cool-Season Grasses in Forest)

  • 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6
    • /
    • 1985
  • 牧場에 林間栽培함에 있어서 閉度의 多少가 牧草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자 리기데타 人工造林地의 閉度를 0(露光區), 25, 50, 75%로 調節하여 Orchard grass를 栽培하였던 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林地內의 Orchard grass의 葉面積은 各 刈取時期 모두 閉度 25, 0, 50, 75%區의 順位이며 特히 閉度 25%區는 0%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加傾向 이었다. 2. Orchard grass의 草長은 閉度가 높을수록 伸長하는 傾向이나 閉度 0%區와 25%區 間에는 差異를 認定할 수 없었다. 3 閉度의 差異에 따른 草長과 葉面積의 關係는 負의 利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 林地內의 Orchard grass 年間 總 乾物收量은 페도 25%구가 露光區 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收效果가 있었으며 50%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약간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으나 統計的인 有意性은 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閉度 75%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減收를 나타내었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Bacteria with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Biocontrol Potential from Wild Pistachio Trees

  • Etminani, Faegheh;Harighi, Behrouz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08-217
    • /
    • 2018
  • In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healthy wild Pistachio trees (Pistacia atlantica L.) from various locations of Baneh and Marivan regions, Iran. In total, 61 endophytic bacteria were isolated and grouped according to phenotypic properties. Ten selected isolates from each group were further identified by partial 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Based on the results,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acteria belonging to Pseudomonas, Stenotrophomonas, Bacillus, Pantoea and Serratia genus. The ability of these isolates was evaluated to phytohormone production such as auxin and gibberellin, siderophore production, phosphate solubilization, atmospheric nitrogen fixation, protease and hydrogen cyanide production. All strains were able to produce the plant growth hormone auxin and gibberellin in different amounts. The majority of strains were able to solubilize phosphate. The results of atmospheric nitrogen fixation ability, protease and siderophore production were varied among strains. Only Ba66 could produce a low amount of hydrogen cyanide. The results of biocontrol assay showed that Pb78 and Sp15 strains had the highest and lowest inhibition effects on bacterial plant pathogens,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Pss20 and Pseudomonas tolaasii Pt18 under in vitro condition. Pb3, Pb24 and Pb71 strains significantly promote root formation on carrot slic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endophytic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Pantoea, 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and Stenotrophomonas genus from wild pistachio trees with plant growth promoting potential and biocontrol activity.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을 접종한 자작나무로부터 버섯의 생장 (Growth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가강현;전성민;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1-245
    • /
    • 2017
  •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은 살아있는 나무에서만 자라는 귀중한 약용버섯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공재배가 아닌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2007년에 자작나무시루뻔버섯 톱밥종균을 자작나무에 접종하였으며, 그 후 균을 접종했던 자작나무에서의 버섯 생장을 9년간 조사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은 연간 1 cm 미만으로 생장하였고, 9년간 가장 크게 자란 버섯 개체의 경우에는 9 cm까지 생장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이 생존한 것과 생존하지 않은 것의 나무 생장(diameter at breast height, DBH)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인공재배는 성공적이었으며, 버섯 생산성을 고려할 때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을 접종할 기주는 가능한 한 큰 자작나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접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개선 방법 또한 필요하다.

일본산(日本産) 자작나무의 생장(生長)에 관한 연구(硏究) (Growth Performance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Introduced from Japan)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38-243
    • /
    • 1996
  • 일본산(日本産) 자작나무 3 가계(家系)의 종자(種子)(자연(自然) 수분(受粉)된 것)를 도입(導入) 대구(大邱) 지역(地域)에 식재(植栽)하여 국내(國內) 재배종(栽培種)(종자(種子) 기원(起源) 미상(未詳))과 유시(幼時) 생장력(生長力)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도입(導入)된 3 가계(家系) 중(中) 2 가계(家系)는 4년(年) 생(生) 때 수고(樹高) 및 직경(直徑) 생장(生長)이 국내(國內) 비교목(比較木)에 비해 월등(越等)히 빨랐다. 6년(年) 생(生) 때에는 3 가계(家系) 중 1 가계(家系)만이 비교목(比較木)에 비해 수고(樹高) 및 직경(直徑) 생장(生長)이 빨랐다. 일본산(日本産) 자작나무의 생장력(生長力)을 국내산(國內産) 비교목(比較木)과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이들은 생장(生長) 및 기타(其他) 특성(特性)이 국내산(國內産) 자작나무에 비해 우수(優秀)하여 조림용(造林用) 묘목(苗木) 생산(生産) 또는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잡종(雜種) 종자(種子) 생산용(生産用) 교배(交配) 모수(母樹)로서 이용(利用) 가치(價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