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MFC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f the Usefulness of Pediatric Balance Scale as a Prediction Indicator for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Lim, Hyoung-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1호
    • /
    • pp.22-2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PBS scores and GMFCS levels and to examine whether pediatric balance scale (PBS) scores were useful for predicting gross motor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conducted for to evaluatione of PBS and GMFCS using in 2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16 males and 10 females with GMFCS level I to III). PBS total and item scores at different levels of GMFCS were measured. Results: The hHigh PBS item average scores obtained from standing and postural change dimensions except sitting dimension were observed at the low levels of GMFCS and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relation between PBS (standing and postural change dimensions) and GMFCS levels w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the relation between PBS sitting dimension and GMFCS levels showing a ceiling effect. Conclusion: GMFCS is designed to for classificationy of gross motor functions emphasizing on walking movement and PBS is was developed to for evaluatione of functional bal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high relation between GMFCS levels and PBS scores, PBS scores can be used for predicting GMFCS levels.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운동기능 수준에 따른 흉곽발달 양상 (Development of the Chest Wall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ccording to GMFCS Levels)

  • 정지운;고주연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5호
    • /
    • pp.246-25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quantitative data regarding development of the chest wall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ccording to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s and age using the radiological image diameter measurement method. Methods: Subjects included 112 children with CP and 110 healthy children, All of the children underwent simple chest x-ray. The diameters of the upper chest ($D_{apex}$) and lower chest ($D_{base}$) were measured on the anteroposterior (AP) view of a chest x-ray, and the $D_{apex}$ to $D_{base}$ ratio was calculated. Chest wall ratios were compared among children with CP at GMFCS levels I ~ III, GMFCS levels IV and V, and healthy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est wall diameters of children with CP at GMFCS levels IV and V, and healthy children (F=4.54, p=0.01; F=3.20, p=0.04).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he chest wall ratios of children with CP and healthy children, showed that the upper chest walls of healthy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children younger than 48 months (p<0.05), and both the upper and lower chest walls of healthy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arger compared to children with CP in children older than 48 months (p<0.05). Conclusion: Radiographic measurement for examination of chest wall development is relatively simple, and the results yield quantitative data on development of the chest wall for children with CP. In addition, therapeutic interventions may be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y-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기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62-2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직성 뇌성마비아동 57명으로 최근 6개월 사이에 보톨리눔 독소나 수술적 병력이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작기능 측정(GMFM)와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를 기능적 변화와 기능적 수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낮병동 프로그램은 8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병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치료 전 후 대동작기능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연령별 운동발달은 1-2세, 3-4세 뇌성마비아동이 5-6세 뇌성마비아동보다 사후검정 결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 수준l에 따른 대동작기능 측정(GMFM)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특히 경도와 중등도 뇌성마비아동이 중증도 뇌성마비아동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낮병동 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의 운동발달에 효과적이며, 경도, 중등도와 4세 이하의 뇌성마비아동에게 조기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사물조작기능, 대동작기능의 상관관계 연구 (The Correlation Among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Manual Ability and the Gross Motor Function)

  • 고유정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0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도구인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사물조작 기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와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장애판정 지표인 MBI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자는 전문재활병원에서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뇌성마비 아동 82명을 대상으로 MBI, MACS, GMFC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사물조작기능, 그리고 대동작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는 MBI와 MACS간의 상관계수가 -.765(p<0.001)로 높은 음의 상관을 나타냈고, MBI와 GMFCS 는 상관계수가 -.851(p<0.001)로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MACS와 GMFCS의 상관계수 또한 .615(p<0.0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뇌성마비 유형에 따른 MBI의 각 항목과 MACS, GMFCS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는 모든 뇌성마비 유형과 관련하여 MBI의 항목과 MACS와 GMFCS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 기준으로 사용하는 MBI와 MACS, GMFCS와의 높은 상관관계는 장애판정 지표인 MBI를 뇌성마비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뇌성마비 아동의 활동 능력과 참여 사이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Ability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지영;김훈주;안선정;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1-219
    • /
    • 2012
  • 본 연구는 대동작 기능 분류 체계 확장판(GMFCS E&R)과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CS)를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활동 제한을 알아보고,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영역에서의 제약 정도를 파악하여 활동 제한과 참여 제약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0년 5월 1일부터 2010년 8월 31일까지 부산, 경남 지역의 병원과 복지관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4세~12세 뇌성마비 아동 152명 대상으로 GMFCS E&R과 MACS를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활동 제한 정도를 평가하고,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제약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12.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활동 제한과 참여 제약 정도를 분석하고 활동 제한과 참여 제약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활동제한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GMFCS E&R 5 단계, MACS 5단계는 이동, 교육, 사회적 활동에 대해 심한 참여 제약이나 완전한 참여 제약이 있는 아동이 가장 많았다. 활동 제한과 참여 제약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참여 영역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움직임에 대해 평가하고 중재 계획을 세우는 데 유용할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의 유용성 (Utility of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09-5714
    • /
    • 2011
  •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의 기간 동안 뇌성마비 아동 217명을 대상으로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MFCS), 손 기능 분류 체계(MACS),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고 도구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와 일상 생활 활동은 모든 하위 영역 및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손 기능 분류체계와 일상생활 활동은 이상운동형 아동에서 일상생활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과 상관이 유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영역 및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GMFCS와 MACS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낸 것은 GMFCS의 경우 1수준(20.3%)과 5수준(40.6%)이었고, MACS의 경우는 2수준(48.8%)과 5수준(16.6%)이었다. 결론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인 GMFCS와 MACS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평가 체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뇌성마비의 기능성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 GMFCS, GMFM 과 PEDI 중심으로 - (A Study of Functional Asse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유선애;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42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for assesment of cerebral palsy(CP), especislly focusing on function assesment Methods: We searched the recent date of the publication and paper in Cerebral Palsy Results: Measuring the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mobility, self-care and social ability. Early adequate evaluation of motor development and prognosis of degree of long-term motor disability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parents, but also for correct management of goal oriented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for planning of preventive measures. 1.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is valuable to prognostication about gross motor progress in children with CP, using longitudinal observation. 2.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is the instrument most commonly used to measure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3.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assessments for children with a disability. Conclusions: The functional Assesment of children with CP are used GMFCS, GMFM and PEDI.

GMFM-88과 GMFM-66의 신뢰도와 타당도 비교 (Comparis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etween GMFM-88 and GMFM-66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은영;박소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47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88-item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88) and a 66-item version of GMFM (GMFM-66)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 GMFM was completed in 154 children with CP (age range = 6~12).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GMFM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lpha}$ for judging reliability. The reliability of GMFM-88 and GMFM-66 were both above .99. The validity of measurement obtained by the GMFM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unidimensionality of items and by comparing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s with tests of the GMFM. Both the GMFM-88 and GMFM-66 were satisfied with unidimensionality.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on significant decreases in scores with increasing GMFCS levels in both measurements. However, GMFM-66 was a more sensitive discriminant in GMFCS level 1 and level 2 and in level 2 and level 4. This study reported a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MFM-88 and GMFM-66.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information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versions of GMFC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tools in clinics.

물리 및 작업치료 1년 후 대동작 기능분류체계에 따른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 변화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ccording to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fter One Year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 이관우;김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31-440
    • /
    • 2019
  • 이 연구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1년간 물리 및 작업치료 후 대동작 기능분류체계에 따라 일상생활동작 변화정도가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소아장애척도지수와 아동용 일상생활 기능독립 측정 중 어떤 평가도구가 일상생활 동작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48명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이 참여하였고, 대동작 기능분류체계, 아동용 일상생활 기능독립 측정, 그리고 소아장애척도지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대동작 기능분류체계는 소아장애척도지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지만(p<0.05) 아동용 일상생활 기능독립 측정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중재 전과 후 일상생활동작의 변화는 아동용 일상생활 독립측정인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아장애척도지수인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동작 기능분류체계에 따라 일상생활동작의 변화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수준이 높은 경우 일상생활동작이 변화가 유의하게 컸었다(p<0.05). 물리 및 작업치료 후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에 따라 일상생활동작의 향상정도는 다르지만 임상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는 것으로 보이며, 소아장애척도지수는 일상생활동작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임상에서 폭 넓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Relationships between Gross Motor Capacity and Neuromusculoskeletal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fter Short-Term Intensive Therapy

  • Kim, Ki-Je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0권3호
    • /
    • pp.90-95
    • /
    • 2018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ss motor capacity and neuromuscula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rough a short-term intensive intervention. Methods: Twenty-four children younger than 6 years of age (17 boys, 7 girls, mean $age{\pm}standard$ deviation, $42.71{\pm}14.43months$) who were diagnosed with CP underwent short-term intensive treatment for 8 weeks. An evaluation of gross motor function capacity using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66 and GMFM-88) was performed to measure muscle strength, selective motor control (SMC), and spasticity, factors related to neuromusculoskeletal function. Changes in spasticity, strength, range of motion, selective motor function, and exercise intensity scor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and ages. Results: The GMFM-88 and GMFM-66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by $4.32{\pm}4.04$ and $2.41{\pm}1.51%$, respectively, following the 8-week intervention. The change in the GMFM-66 score did not reflec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MFCS level.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MFM-88 score change in individuals at GMFCS Level III, the strength and spasticity of subjects at GMFCS Levels I-II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p<0.05). The changes in the GMFM-66 scores for strength, SMC, range of motion (ROM), and spasticity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age (p<0.05) in children aged 36 months and older. Overal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ngth, SMC, and spasticity (p<0.05) before and after intensive short-term treatment. Conclusion: The 8-week short-term intensive care intervention improved the motor function score of study participants, emphasizing the need for early intervention and additional research in this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