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G/l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6초

Methanol 자화성 세균 Pseudomonas sp. ILS-003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ic$ acid by methanol assimilating bacterium, Pseudomonas sp. ILS-003)

  • 이일석;방원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73-278
    • /
    • 1991
  • Methanol 자화성 세균 Pseudomonas sp. ILS-003 균주를 이용하여 methanol로부터 PHB생산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PHB 생산에 있어서 초기 pH 6.4, 온도 $30^{\circ}C$ 및 methanol 농도가 1.0(v/v)일 때 최적이었으며, 질소원으로는 $(NH_4)_2SO_4$가 최적이었으며 농도는 0.8g/l로서 C/N비가 17.4이었다. 또한 2가 금속이온의 결핍은 PHB축적효과를 나타내었다. Fed-batch culture에서 methanol 첨가의 효과는 0.25%(v/v)씩 첨가했을 때 가장 좋았다. 상기의 최적조건하에서 96시간 배양시 균체량은 2.78g/l였고 PHB의 양은 1.94g/l로서 건조균체량의 69.8%이었다.

  • PDF

Determination of agrochemical residues in tobacco using matrix solid-phase dispersion and GC/MS

  • Lee, Jeong-Min;Min, Hye-Jeong;Park, Jin-Won;Lee, Moon-Young;Jang, Gi-Chul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19
    • /
    • 2014
  • A matrix solid-phase dispersion (MSPD) method was developed for extracting and cleaning-up the selected agrochemicals in tobacco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ith 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Different parameters of the method were investigated and optimized, such as the type of solid-phase (alumina, $C_{18}$ and Florisil) and eluent (acetone, acetonitrile, ethylacetate and n-hexane).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using 0.5 g of tobacco sample, 1.0 g of $C_{18}$ as dispersant sorbent, 1.0 g of Florisil as clean-up sorbent and acetonitile saturated with n-hexane as eluting solvent. The method was validated using tobacco samples fortified with agrochemicals at their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This method gave good linearity for the selected agrochemicals of ranging from $0.01{\mu}g/mL$ to $0.1{\mu}g/mL$. Recoveries of the selected agrochemicals in tobacco were more than 80 % and reproducibilitie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10 % RSD.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tical procedure including MSPD method in combining with GC/MS could be applicable to the rapid determination often the selected agrochemicals in tobacco.

죽초액을 사용한 음식물퇴비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 (Ammonia Removal in Food Waste Compost Using Bamboo Smoke Distillate)

  • 권기운;안종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9-4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퇴비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 암모니아 가스를 탈취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탈취제로 죽초액(bamboo smoke distillate, BSD)을 사용하여 첨가량과 반응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최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범위내에서는 음식물퇴비(food waste compost, FWC) 600 g 당 죽초액 74 mL (0.123 mL BSD/g FWC)를 첨가하고 3시간 반응하였을 때 제거량(8.47 ppm $NH_3$/600g FWC)이 가장 높았다. 탈취제로 식초를 사용하였을 때의 암모니아 제거량보다 죽초액을 사용하였을 때 암모니아 제거량이 높았다(p < 0.05).

Pseudomonas sp.에 의한 nicotinic acid로부터 6-hydroxynicotin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6-hydroxynicotinic acid by nicotinic acid-assimilating Pseudomonas sp.)

  • 홍정진;황기철;방원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95-500
    • /
    • 1992
  • 미생물을 이용하여 nicotinic acid로부터 6-hydroxynicotinic acid를 생산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nicotinic acid를 탄소원, 질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균주를 70종 분리 하였으며, 이들 균주로부터 nicotinic acid hydroxylase의 비활성이 가장 높은 균주인 SH-007를 선별하였고,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Pseudomonas sp.의 SH-007의 nicotinic acid hydroxylase의 비활성은 배지 중 2 g/l nicotinic acid, 1 g/l($(NH_4){_2}SO_4$ 및 0.5 g/l peptone을 사용하여 초기 pH 7.5로 조정한 후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할 때 가장 높았으며, Pseudomonas sp. SH-007를 24시간 배양한 후 1.5 g/l nicotinic acid를 첨가하고 18시간 배양을 계속하면 24시간 배양 때보다 nicotinic acid hydroxylase의 비활성이 12% 증가하였다. 한편, 휴지세포를 이용한 6-hydroxynicotinic acid 생산을 위하여 2 g/l nicotinic acid이 함유된 최적 반응조건하에서 3시간 반응시킨 결과 생성된 6-hydroxynicotinic acid는 2.22 g/l이었으며, 이때의 전환율은 98.2 %이었다.

  • PDF

Phellinus sp.의 분리 및 균사체의 액체배양 (Isolation and Mycelial Cultivation Submerged of Phellinus sp.)

  • 강태수;이동기;이신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57-267
    • /
    • 1997
  • 강원도 양양군 일원 야산의 뽕나무에서 자생하고 있는 상황버섯 형태의 자실체를 채집하고, 그 자실체로부터 Phellnus속의 한 균주를 분리동정하였으며, 액체배양에 의하여 분리 균사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배지조성 및 배양장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실체는 표면이 검으며 거칠고, 갓의 안쪽은 황갈색으로 평평하였으며, 자실층이 두터웠고(5-7 cm), 말굽형으로 조직이 매우 단단하여 전형적인 상황버섯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 조직 일부를 water agar에 이식하여 순수분리한 결과, 분리된 균사체는 황갈색으로, PDA 평판배지에서 자갈색의 색소를 분비하였으며, 균사는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지 않았고, 많은 branch가 있었다. 또 laccase, tyrosinase 및 peroxidase activity를 가지고 있어, 본 균주는 Phellinus속의 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균사체 생성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접종비 5%(v/v), 배지액량 70 mL, 교반속도 150rpm, 초기 pH 6, 배양온도 $30^{\circ}C$ 및 배양기간은 8일이었다. 또,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최적 배지조성은 glucose 12.12 g/L, sucrose 12.12 g/L, yeast extract 11.15 g/L, malt extract 11.15 g/L, $KH_2PO_4$ 0.855 g/L 및 $CaCl_2$ 0.855 g/L 이었으며, 배양 4일 및 8일 후 균사체량은 각각 1.95 및 9.89 g/L 이었고, 최대 비생육속도 $0.020\;hr^{-1}$, 생산성은 1.25 g/L/day이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3종의 배양장치를 사용한 결과, 3 L air-lift fermentor에서 통기량 2.5 vvm으로 4일간 배양하였을 때, 약 7.5g/L의 균사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최대 비증식속도는 $0.033\;hr^{-1}$, 생산성은 1.9g/L/day로, 같은 기간내 플라스크 배양시 보다 각각 1.7 및 4.2배가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흑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 신정혜;이현지;강민정;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33-940
    • /
    • 2010
  • 흑마늘의 기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만들어 100, 250, 500 및 $1,000\;{\mu}g/m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hexane 분획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butanol, methanol 및 물 분획물에 비하여 5.5~11.6배 더 많았다. 흑마늘 계통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 농도에서는 butanol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 모두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아, $1,000\;{\mu}g/mL$ 농도에서는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1,000\;{\mu}g/mL$ 농도에서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50.27~81.02%의 범위로 높은 반면 SOD 유사활성은 26.73~47.64%로 비교적 그 활성이 낮았다. Linoleic acid 반응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수록, 시료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으며, 또 극성 용매보다는 비극성용매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비교적 그 활성이 높아 $100\;{\mu}g/mL$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제주 야생 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ild Mushroom Extracts from Jeju Island)

  • 이혜자;김기옥;박진오;주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5-1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12종의 야생 버섯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염증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미백 효능 검정을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항염 효능 검정을 위하여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 활성($FSC_{50}$)에서는 참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74.8{\mu}g/mL$), 서어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182.6{\mu}g/mL$)이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IC_{50}$)에서는 참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346.8{\mu}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421.6{\mu}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염증 억제 효능 관련 NO 생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100{\mu}g/mL$ 처리 시 참나무 잔나비버섯과 때죽나무 잔나비버섯에서 각각 74.1%, 62.9%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들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참나무 잔나비버섯, 서어나무 잔나비버섯, 때죽나무 잔나비버섯에서 화장품 효능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Solid-Phase Extraction을 이용한 담배연기 중 Aromatic Amino의 분석 (Analysis of Aromatic Amines in Mainstream Cigarette Smoke Using Solid-Phase Extraction)

  • 김익중;이존태;이정민;민혜정;장기철;김효근;황건중;민영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2-157
    • /
    • 2006
  • A new procedure has been developed for the quantitation of aromatic amines in mainstream cigarette smoke. Two solid-phase extraction (SPE) clean up steps, using a different retention mechanisms, are required to process the samples. The first step used a cation-exchange cartridge, followed by a second step that used a cartridge with a hydrophobic retention character. The aromatic amines eluted from the second SPE cartridge are derivatized with pentafluoropropionic anhydride. This new method have advantages over other reported techniques, being sensitive, robust, and easily automated. The detection limits were ranged from 0.12 ng/mL for 1-aminonaphthalene to 0.16 ng/mL for 3-aminobiphenyl and the recoveries were from 97 to 106%. Compared with other reports for analysis of 2R4F reference cigarette, this method shows a close analytical data and good repeatability.

Effect of replacement feed ingredients of Micropterus salmoides in exotic species

  • Min-Gi Han;Ran Lee;Hyun Jung Park;Kyung Hoon Lee;Hyuk Son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5-235
    • /
    • 2023
  • Background: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s introduced species that has caused aquatic ecology activity both in vitro and in vivo were investigated for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bass extract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Methods: The bass oil was extracted using a 1-L supercritical extractor, while the protein was extracted from 250 g of bass dry matter, which was dissolved in 1 mL of H2O at 50℃. Both oil and protein extracts were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level of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ssay with lipopolysaccharide response. Oral administration of 6.6 µL/g bass protein and 5.38 µL/g bass oil conducted for investigating ser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 Results: DPPH radical scavenging showed similar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50 µM of ascorbic acid at 200 ㎍ of protein and 10% of oil treatment. NO concentration was diminished by the treatment of bass oil. Oral administration of both bass oil and proteins to mice showed that the body weight increase rate of the bass oil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55 g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BC) was increased by 4.52 k/µL in the bass protein-treated group and 4.44 k/µL in the bass oil-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erum IgG level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ss extract-treated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both bass oil and proteins extracted from the bass not only provide excellent effects of antioxidant and immune activity but can also be used as functional food supplements.

Direct Fermentation of D-Xylose to Ethanol by Candida sp. BT001

  • LEE, SANG-HYEOB;WON-GI B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56-62
    • /
    • 1994
  • A yeast strain, BT001, which can directly ferment D-xylose to ethanol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s, and then identified as Candida sp. Cultural conditions for the optimum ethanol production, along with the effects of aeration on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Aeration stimulated the cell growth and the volumetric rate of ethanol production, but decreased the ethanol yield. Optimum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the ethanol production were $33{\circ}^C$ and 6.0, respectively. In a shake flask culture, this strain produced 52.3 g ethanol per liter from 12%(w/v) D-xylose after incubation for 96 hours. Ethanol yield was 0.436 g per g D-xylose consumed. This corresponds to 85.8% of theoretical yield. Also, this yeast strain produced ethanol from D-galactose, D-glucose and D-mannose, but not from L-arabinose and L-rhamnose. Among these sugars, D-glucose was the fastest in being converted to ethanol sug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