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O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지구관측데이터 공동활용을 위한 K-GEOSS 시범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a K-GEOSS Pilot Service for Sharing and Utilizing Global Earth Observation Data)

  • 정창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60-361
    • /
    • 2018
  • 지구관측데이터 공동활용체계로 GEOSS가 제안되면서 한국에서도 K-GEOSS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지구관측데이터의 활용 확산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GEOSS 시범서비스로 환경 분야의 생물 종 분포 변화 예측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미래 생물 종의 서식지 보호를 위한 지구관측데이터의 효과적 사용 사례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범서비스는 K-DMSS 플랫폼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전처리, 모델 학습 평가, 실제 분포 변화 예측까지 모두 자동화하여 수행한다. 최종단에서 다양한 기후모델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여러 종류의 예측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대체 서식지 보호 및 정책수립을 위한 종합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범서비스 개발 및 지구관측데이터의 공동활용 사례 발굴을 통하여 GEOSS 체계의 정착을 보다 앞당길 수 있다.

Concentric Double Pipe 열교환기에서 냉각수 급랭 현상의 모사에 대한 연구 (Study on Simulation of Cooling Water through Concentric Double Pipe Heat Exchanger )

  • 최안철;이성우;신익호;최성웅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741-747
    • /
    • 2023
  • In this study,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were numericall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ooling water using liquid nitrogen. From the study, as the mass flow rate of the hot fluid increased, the heat transfer rate increased by 8.9-81.7%. And lowering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hot fluid resulted in increase in the heat transfer rate by 33.8-71.5%. As for the filling level of liquid nitrogen, as higher filling level led to a decrease in the outlet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위성자료와 모델 재분석에서 유도된 중간 및 상부 대류권의 전지구 온도 경향 (Global Temperature Trends of Middle and Upper Tropospheres Derived from Satellite Data and Model Reanalyses)

  • 유정문;이지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25-540
    • /
    • 2000
  • 중간 및 상부 대류권의 전구 온도 경향을 1980-97년 기간의 위성관측 MSU 직하점 채널2-3의 밝기온도와 1981-93년 기간의 세 종류의 대순환모델(NCEP, ECMWT, GEOS) 재분석 자료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전구, 북반구, 남반구, 열대 지역에 대한 이들 자료의 아노말리가 공통 기간에 대하여 다음 지역에서 세부적으로 계산된 후 비교되었다; 해양, 육지, 해양 및 육지, 중간 대류권의 경우에 MSU에 대한 모델들의 상관은 ECMWF에서 가장 높았으며(r=0.81${\sim}$0.95), 이러한 경향은 열대에서 현저하였다. 상부 대류권에서의 상관은 MSU 채널3 자료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낮았으며(r=0.06${\sim}$0.34), 이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였다. 중간 대류권에서의 전구 온도 경향은 위성관측과 모델들에서 0.01${\sim}$0.18K decade$^{-1}$의 온난화를 보였다. 여기서 엘니뇨 기간인 1987, 1991년에 양의 아노말리, 그리고 라니냐 기간인 1993, 1994년에는 음의 아노말리를 보였다. MSU에서 온난화 경향의 세기는 해양과 육지에서 비슷하였다(0.12${\sim}$0.13K decade$^{-1}$). 상부 대류권에서 MSU와 모델들 사이의 가장 큰 불일치는 MSU 채널3 자료의 오차로 인하여 NOAA 9와 10의 교체 기간(1984. 12-1985. 1)에 나타났다. 한반도 부근의 중간 대류권에서 온도 경향은 1981-93년 기간에 위성관측에서 거의 무시할 만하였으나(-0.02K decade$^{-1}$), 모델들에서 상당한 온난화(0.25${\sim}$0.43K decade$^{-1}$)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들을 Spencer and Christy(1992a, 1992b)의 독립적인 MSU 결과들과 비교 ${\cdot}$ 토의하였다.

  • PDF

전지구에 대한 TOMS 오존전량과 반사율의 경년 변화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TOMS Total Ozone and Reflectivity over the Globe)

  • 유정문;전원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03-718
    • /
    • 2000
  • 전지구(全地球)에 대한 오존전량과 반사율의 경년(經年)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79-92년 기간의 Nimbus-7/TOMS 자료의 월평균과 그 아노말리 값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대기 열적 변화에 따른 오존의 경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TOMS 자료 외에 위성관측 MSU채널4(하부성층권) 자기온도와 두 개의 대기대순환 모델(NCEP, GEOS) 재분석 온도를 이용하였다. 또한 대기의 열적 및 강수(구름)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경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MSU 채널1(하부 대류권)밝기온도를 이용하였다. 오존전량의 시계열은 뚜렷한 계절 변화와 함께 전구적으로 감소 경향(-6.3${\pm}$0.6 DU/decade)을, 그리고 엘니뇨보다는 화산폭발이 있었던 기간에 더 뚜렷한 변동을 보였다. 오존전량과 위성관측 및 모델 재분석의 하부 성층권 온도는 1980-92년 기간의 경년 변화에 있어서 서로 양의 상관(0.2-0.7)을 보였다. 반사율은 같은 기간에 전구적으로 다소 증가 경향(0.20${\pm}$0.06 %/decade)을 보였으며 1982-83년, 1991-92년의 엘니뇨 특징을 잘 반영하였다. 열대 지역에서의 반사율의 연주기 변동은 양반구의 고위도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으며, 이는 아열대 고압대 및 열대 용승 지역에서 대기 침강으로 인하여 구름이 소산되거나 하층운의 발달로 인하여 낮은 반사율과 함께 그 변동도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구에 대한 반사율과 MSU 하부 대류권 온도는 경년 변화에 있어서 서로 음의 상관(-0.9)을 보였으나, 대류활동이 활발한 열대 해양에서는 낮은 양의 상관(0.2)을 보였다. 이러한 양의 상관은 해양에서 구름 및 강수의 증가에 따라 채널1 밝기온도를 증가하게 하는 마이크로파 방출율의 효과를 반영하였다. 오존과 하부 성층권 온도 사이에, 그리고 반사율과 하부 대류권 온도 사이에 존재하는 유의적인 상관은 오존 및 반사율의 위성관측 자료가 기후변동에서의 피이드백 작용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음을 본 연구는 제시한다.

  • PDF

1991~2004년 동아시아에서 관측한 일산화탄소의 지역적 배경 농도 (Regional Background Levels of Carbon Monoxide Observed in East Asia during 1991~2004)

  • 김학성;정용승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3-652
    • /
    • 2006
  • 동아시아에서 일산화탄소의 지역적 배경 농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04년까지 장기간 중국 Waliguan(WLG), 몽골이아의 Ulaan Uul(UUM), 한국의 태안반도(TAP), 일본의 Ryori(RYO)에서 관측한 일산화탄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평균 일산화탄소 농도는 $WLG(135{\pm}22ppb),\;UUM(155{\pm}26ppb),\;RYO(171{\pm}36ppb),\;TAP(233{\pm}41ppb)$ 순서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었다. WLG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봄철에 높고 여름철에 낮은 계절 변동의 특징은 동아시아 다른 지점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TAP는 WLG, UUM, RYO와 비교하여 전체 계절에 높은 일산화탄소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히스토그램에서 넓은 농도 분포를 보이는데 동아시아 대륙, 특히 중국의 가까운 풍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광역적 대기 오염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TAP는 중국 동부 지역을 경유하는 RPC가 봄, 가을, 겨울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여름철에는 저위도 북태평양으로부터의 OBG에 의해 낮은 일산화탄소 농도를 갖고 있는 해양성 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다. NOAA 위성 영상과 GEOS-CHEM 모델 시뮬레이션은 중국 남동부 연안으로부터 황해를 거쳐 한반도와 동해로 확산하고 있는 광역적 대기오염 이동 사례를 확인하고 있다.

공간 센서 데이타의 효율적인 실시간 처리를 위한공간 DSMS의 개발 (Development of a Spatial DSMS for Efficient Real-Time Processing of Spatial Sensor Data)

  • 강홍구;박치민;홍동숙;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5-57
    • /
    • 2007
  • 최근 센서 장치의 발달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진보된 기술에 대한 연구를 가속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보유한 공간 센서는 공간 정보와 비공간 정보를 동시에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에 있어서, 공간 센서 데이타에 대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DSMS(Data Stream Management System)라 불리는 새로운 개념의 데이타 처리 시스템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DSMS들이 공간 센서 데이타 처리를 위한 공간 함수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STREAM(STanford stREam datA Manager)을 확장한 공간 DSMS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즉, Geometry 타입과 공간 함수를 공간 센서 데이타 처리를 위해 추가하였고, 또한 시스템에서 공유되는 공간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간 객체 관리자를 추가하였다. 특히, 상호운용성을 위하여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제시한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SQL을 구현하였고, GEOS(Geometry Engine Open Source)의 알고리즘을 본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 PDF

지상국 추적 데이터를 이용한 저궤도 위성의 궤도결정 특성 분석 (Orbit Determination of LEO Satellite using Ground Tracking Data)

  • 정옥철;최수진;정대원;김은규;김학정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170-1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상국에서 추적한 저궤도 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관측자료로 이용하여 궤도결정을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상국 추적 데이터는 발사 후 초기 궤도결정을 위한 관측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를 위해 지상국 추적데이터에 대한 표준 인터페이스 포맷을 정리하였고, 특정 지상국에 대한 추적 데이터의 통계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궤도결정을 위해 연속되는 교신패스를 통해 얻은 아리랑 2호의 방위 각/고도각을 축적하여 관측자료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에 따른 궤도결정 결과를 분석하였고, 궤도결정 성능 검증을 위해 GPS 항행해를 이용한 궤도결정 값과 비교하였다.

지형공간정보의 획득과 항법을 위한 DGPS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l GPS method for Navigation and Acquisition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 이용창;;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지형공간정보의 획득과 항법을 위한 DGPS측량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절대측위 및 DGPS 기법의 해석알고리즘을 정립,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시험모델에 적용한 해석결과를 상업용 S/W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특히,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정지위성을 매체로 한 실시간 확대위성시스템(Satellte-Based Augmentation System)중 OO사의 SLX 수신기를 활용한 시험모델의 WADGPS 해석결과와도 비교ㆍ고찰하였고 아울러, SA 해제 전ㆍ후의 절대측위와 WADGPS에 의한 절대측위의 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지형정보의 구축에 각종 DGPS기법이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지형공간정보 카탈로그 서비스 기본요소의 PostgreSQL 연동 시험모델 구현 (Prototyping of Basic Components in Catalog Services of Geo-spatial Information Linked to PostgreSQL)

  • 한선묵;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42
    • /
    • 2010
  • 웹 기반 공간정보 서비스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카탈로그 서비스 관련 기술이나 표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탈로그 서비스를 위한 OGC CSW 표준 인터페이스의 기본 요소를 지원하는 시험 모델을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인 PostgreSQL와 연계하여 설계, 구현하였다. 카탈로그 서비스 모델의 기본요소와 함께 메타데이터 서버 구성요소로서 PostgreSQL의 XML 질의 처리 함수를 적용하였다. XML 메타데이터 서버 구축에서는 ISO 메타데이터 표준사양을 이용하였다. 대상 공간정보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경우에 본 시험 모델은 직접 적용이 가능하며, 국제 표준 사양을 지원하므로 기존의 웹 기반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과도 연동이 가능하다.

시베리아 산불이 2003년 봄철 동아시아 오존 농도에 끼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Siberian Wildfires on Ozone Concentrations over East Asia in Spring 2003)

  • 박록진;정재인;윤대옥
    • 대기
    • /
    • 제19권3호
    • /
    • pp.227-235
    • /
    • 2009
  • Global climate warming induced by long-lived greenhouse gases is expected to cause increases in wildfire frequencies and intensity in boreal forest regions of mid- and high-latitudes in the future. Siberian forest fires are one of important sources for air pollutants such as ozone and aerosols over East Asia. Thus an accurate quantification of forest fire influences on air quality is crucial, in particular considering its higher occurrences expected under the future warming climate conditions. We here use the 3-D global chemical transport model (GEOS-Chem) with the satellite constrained fire emissions to quantify Siberian fire effects on ozone concentrations in East Asia. Our focus is mainly on spring 2003 when the largest fires occurred over Siberia in the past decade. We first evaluated the model by comparing to the EANET observations. The model reproduced observed ozone concentrations in spring 2003 with the high $R^2$ of 0.77 but slightly underestimated by 20%. Enhancements in seasonal mean ozone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from the difference in simulations with and without Siberian fires and amounted up to 24 ppbv over Siberia. Effects of Siberian fires also resulted in 3-10 ppbv incresases in Korea and Japan. These increases account for about 5-15% of the ozone air quality standard of 60 ppbv in Korea, indicating a significant effect of Siberian fires on ozone concentrations. We found however that possible changes in regional meteorology due to Siberian fires may also affect air quality. Further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regional air quality and meteorology is necessary in the future.